• 제목/요약/키워드: celiac disease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9초

소장의 전암성 병변 (Premalignant Lesions of the Small Intestine)

  • 김수환;김지원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 /
    • 제9권2호
    • /
    • pp.60-67
    • /
    • 2021
  • Tumors of the small intestine are rare and generally asymptomatic or with nonspecific symptoms. The small intestine is difficult to approach using conventional endoscopy, and early diagnosis of the small intestinal tumors is difficult. Therefore, many of the small intestinal tumors are diagnosed at an advanced stage, which makes the prognosis poor. Premalignant lesions of the small intestine or known risk factors of small bowel cancer are sporadic adenoma, adenoma associated with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hamartomatous polyp associated with Peutz-Jeghers syndrome, Crohn's disease, and celiac disea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small bowel cancer can occur in these patients with premalignant lesions or risk factors of small bowel cancer.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small bowel cancer or to detect at an earlier stag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screening and surveillance of these patients with premalignant lesions or risk factors of the small bowel cancer.

Alagille 증후군 환아에서 발생한 Moyamoya병 1례 (A Case of Moyamoya Disease in a Child with Alagille Syndrome)

  • 임미랑;이소연;김덕수;김경모;고태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호
    • /
    • pp.86-90
    • /
    • 2003
  • Alagille 증후군은 간내 담도 형성 부전으로 인한 만성 담즙 정체, 말초 폐동맥 협착, 골격 이상, 눈의 이상, 특징적인 얼굴 모양 등을 주요 증상으로 하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으로 말초 폐동맥 협착 이외에도 여러 말초 혈관 병변들이 동반된다. 관련된 유전자로 20번 염색체 위에 존재하는 JAG1이 발견되었고, 이 유전자의 결손으로 인한 Notch 신호전달체계의 결함이 혈관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고 있다. Alagille 증후군에서 만성 뇌동맥 폐색질환인 moyamoya병이 발생한 예들이 보고된 바 있는데, Alagille 증후군의 혈관병증의 또 다른 한 발현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들은 생후 2개월에 Alagille 증후군을 진단받고 추적 관찰 중에 갑자기 편측 마비가 발생하여 뇌혈관 조영술을 통해 moyamoya병을 진단받은 25개월 여아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우위대망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술 후 역행성 혈류 발생가능성의 연구 (Evaluation of the Potential of Retrograde Flow Competition in the Right Gastroepiploic Artery Graft fo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정봉규;선경;권준;김광호;정재승;손호성;이성호;김광택;김형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호
    • /
    • pp.20-26
    • /
    • 2002
  • 배경: 관상동맥수술에서 동맥도관의 장점이 확인되면서, 우위망동맥(right gastroepiploic artery)의 사용이 점차 늘고 있다. 우위망동맥을 근위부 협착이 심하지 않은 관상동맥에 유근이식편(pedicled uaft)으로 사용할 경우 역행성 혈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보고들이 많아지면서, 수술 전에 역행성 혈류를 예측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상 관상동맥과 우위망동맥 사이에 생리적으로 존재하는 혈압차(Vessure difference: PD)를 증명하고 협착 관상동맥의 경협착 맥압차(trans-stenosis pressure gradient: TSPG)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우위대망동맥을 유근이식편으로 사용할 때 역행성 혈류가 발생할 수 있는 근위부 협착의 정도를 예측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7월부터 1999년 2월까지 관상동맥 조영술에서 정상으로 판정된 12명의 환자에서 우관상동맥과 우위망동맥(혹은 복강동맥; celiac uef)의 압력을 측정하여 혈관 사이의 혈압차(PD)를 측정하였다. 관상동맥협착이 확인된 29명의 환자에서는 경협착 맥압차(TSPG)를 측정하였다. 결과:정상 환자군에서 우관상동맥과 우위망동맥의 수축기혈압은 143$\pm$23 : 134$\pm$17 mmHg(p<0.005), 이완기혈압은 74$\pm$13 : 73$\pm$14 mmHg(p=NS), 평균혈압은 100$\pm$16 : 97$\pm$15mmHg이었다(p<0.05). 동맥 사이의 압력차(PD)는 수축기혈압 -8~25 mmHg, 이완기혈압 -4~7 mmHg, 평균혈압 -1 ~ 10mmHg이었다(p<0.05). 관상동맥협착 환자군에서 경협착맥압차(TSPG)는 75% 미만의 협착의 경우 -4~l9(7$\pm$5.8) mmHg이고, 75% 이상의 협착의 경우 7~74(27$\pm$18.3) mmHg이었다(p<0.005). 75% 이상의 협착에서는 관상동맥의 경협착 맥압차(TSPG)가 우위망동맥과의 생리적 혈압차(PD) 보다 크고, 협착 원위부 관상동맥의 혈압도 우위망동맥 혈압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01). 결론: 관상동맥우회술 후 역행성 혈류의 발생원인이 우위대망동맥과 협착하부 원위부 관상동맥 사이의 압력차이라고 가정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우위대망동맥을 75%이상 협착병소에 유근이식편으로 사용할 경우 역행성 혈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어진다는 것을 시사할 수 있다.

Treatment outcomes of extended-field radiation therapy for thoracic superficial esophageal cancer

  • Lee, Doo Yeul;Moon, Sung Ho;Cho, Kwan Ho;Kim, Tae Hyun;Kim, Moon Soo;Lee, Jong Yeul;Suh, Yang-Gu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5권3호
    • /
    • pp.241-248
    • /
    • 2017
  •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extended-field radiation therapy for patients with thoracic superficial esophageal cancer (SEC).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2007 to October 2016, a total of 24 patients with thoracic SEC (T1a and T1b) who underwent definitive radiotherapy and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median total radiotherapy dose was 64 Gy (range, 54 to 66 Gy) in conventional fractionation. All 24 patients received radiotherapy to whole thoracic esophagus and 23 patients received elective nodal irradiation. The supraclavicular lymph nodes, the celiac lymph nodes, and both of those nodal areas were included in 11, 3, and 9 patients, respectively. Results: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28.7 months (range 7.9 to 108.0 months). The 3-year overall survival, local control, and progression-free survival rates were 95.2%, 89.7%, and 78.7%, respectively. There were 5 patients (20.8%) with progression of disease, 2 local failures (8.3%) and 3 (12.5%) regional failures. Three patients also experienced distant metastasis and had died of disease progression. There were no treatment-related toxicities of grade 3 or higher. Conclusion: Definitive extended-field radiotherapy for thoracic SEC showed durable disease control rates in medically inoperable and endoscopically unfit patients. Even extended-field radiotherapy with elective nodal irradiation was safe without grade 3 or 4 toxicities.

Helicobacter pylori Associated Lymphocytic Gastritis in a Child

  • Kim, Min Jeong;Eom, Dae Woon;Park, Kieyoung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7권3호
    • /
    • pp.186-190
    • /
    • 2014
  • Lymphocytic gastritis (LG) is a rare subtype of chronic gastritis. It is defined as dense proliferation of intraepithelial lymphocytes (IELs) more than 25 lymphocytes per 100 epithelial cells. The known major causes of LG are celiac disease and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H. pylori associated LG (HpLG) has more enhanced cytotoxic and apoptotic tendencies than chronic H. pylori gastritis. A 12-year-old girl with postprandial epigastric pain was diagnosed HpLG on endoscopic biopsy. After the 1st eradication therapy, H. pylori bacilli were still found, and urea breathing test was positive. Although the endoscopic finding was partially improved, clinical symptoms and histologic finding were persisted. We could achieve the improvement of clinical symptoms and disappearance of IELs after the 2nd eradication. The discordant of histopathologic and endoscopic improvement occurred after the 1st eradication therapy of HpLG. Therefore the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evalu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as endoscopic findings.

Autoimmunity and intestinal colonization by Candida albicans in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at the time of the diagnosis

  • Gursoy, Semra;Kockar, Tuba;Atik, Sezen Ugan;Onal, Zerrin;Onal, Hasan;Adal, Erda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1권7호
    • /
    • pp.217-220
    • /
    • 2018
  • Purpose: Type 1 diabetes mellitus (T1DM) is a chronic and immune-mediated disease,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progressive destruction of pancreatic beta cells. T1DM precipitates in genetically susceptible individuals through environmental factors.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the impact of autoimmunity and intestinal colonization of Candida albicans on the development of T1DM. Methods: Forty-two patients newly diagnosed with T1DM and 42 healthy subjects were included in this monocentric study. The bas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ere recorded. T1DM-, thyroid-, and celiac-associated antibodies were evaluated. Stool cultures for C. albicans were performed to assess whether or not gut integrity was impaired in patients with T1DM. Results: The evaluation of T1DM- and thyroid-associated antibodies showed that the prevalences of islet cell antibodies and antithyroperoxidase positivity were higher in the study patients than in the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the direct examination and culture of fresh stool samples revealed that 50% of the patients with T1DM and 23.8% of the control subjects had fungi (C. albican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we suggest that the presence of intestinal C. albicans colonization at the time of the diagnosis of T1DM may indicate impairment of normal intestinal microbiota. We also suggest that there may be a tendency of T1DM in patients with a high prevalence of intestinal C. albicans.

2기(T3 또는 N1) 췌장암 환자들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 및 고찰 (The Outcome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for Patients with Stage II Pancreatic Cancer (T3 or N1 Disease))

  • 김상원;김명욱;김욱환;강석윤;강승희;오영택;이선영;양주노;전미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5권4호
    • /
    • pp.213-218
    • /
    • 2007
  • 목적: 근치적 절제술을 받고 AJCC 병기 2기(T3또는 N1)로 진단된 췌장암 환자들 중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이들을 대상으로 국소 제어율 및 생존율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수술 후 보조적 요법으로 방사선치료 단독 내지는 동시 항암화학 방사선치료를 받은 28명의 환자들의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들에게서 병리 소견상 췌장 주변 조직으로의 침윤이 있거나 체장 주변 또는 후복강 내 대동맥 주변 임파절 전이가 확인되었다. 방사선치료는 수술 전 영상학적인 자료에서 침범된 종양의 위치 및 수술 변연 부위를 중심으로 $40{\sim}57.6$ Gy (중앙값 50 Gy)를 조사하였으며 병리 소견상 주변 임파절 전이가 확인된 경우엔 제 3 요추부위까지의 대동맥 주변 임파절 부위도 조사야에 포함시켰다. 동시 항암화학요법은 10명의 환자들에게서 병용되었다. 결 과: 최초의 실패 양상이 국소 재발이었던 환자는 13명(46%)였으며 이들 중에서 원격 전이가 같이 동반된 환자는 5명이었다. 호발 부위는 복강축(4명)과 대동맥 주변 임파절 부위였다. 또한 원격 전이가 최초의 실패 양상으로 나타난 환자는 국소재발이 동반된 환자들을 포함하여 72명이었다. 원격전이가 가장 흔히 나타난 곳은 간(10명)이었으며 복강전이, 폐전이 순이었다 임파절 전이가 있는 환자들은 없는 환자에 비해 원격 전이의 가능성이 높았다. (57.1%). 수술 변연 부위에 종양이 남아있는 환자들은 없는 환자들보다 국소 재발의 가능성이 높았다(57.1%). 전체 환자들의 무병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6개월이었으며 1년 및 2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27.4%와8.2%였다. 전체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11개월이었고 2년, 3년 생존율은 31.5%, 15.8%였다. 결 론: 2기 췌장암 환자들은 국소 재발 및 원격 전이의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으로 국소 제어율 및 전체 생존율의 향상을 위해서 수술 후 효과적인 방사선치료의 적극적인 시행 및 이후의 보조적인 전신 항암화학요법을 권고하여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대 간혈관종 1례(例) (A Case of Hepatic Hemangioma)

  • 김시환;이영현;이헌주;정문관;최수봉;김종설;권굉보;황미수;장재천;이태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권1호
    • /
    • pp.161-169
    • /
    • 1984
  • 저자 등은 상복부종양을 주소로 영남대학병원 내과에 입원하여 거대 간혈관증으로 진단하여 성공적으로 절제해 낸 1례(例)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절제 불가능한 식도암의 근치적 항암화학방사선치료의 성적 (Results of Definitive Chemoradiotherapy for Unresectable Esophageal Cancer)

  • 노오규;제형욱;김성배;이진혁;박승일;이상욱;송시열;안승도;최은경;김종훈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195-203
    • /
    • 2008
  • 목 적: 절제 불가능한 식도암에서의 근치적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의 치료 성적과 재발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2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절제불가능한 국소진행된 식도암으로 진단 받거나 내과적으로 수술이 불가능한 식도암으로 진단 받은 후 근치적 목적의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1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원발병소와 종격동, 그리고 원발병소와 림프절 전이의 위치에 따라 쇄골상부림프절과 복강림프절을 포함하여 $42{\sim}46\;Gy$의 외부방사선을 조사하였고, 이후 원발병소와 림프절 전이 부위에는 $54{\sim}66\;Gy$까지 추가 조사하였다. 분할조사 방법은 분할조사선량 $1.8{\sim}2\;Gy$씩 1일 1회 조사하거나, 1.2 Gy씩 1일 2회 조사하였다. 고선량률관내 방사선치료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Ir-192를 이용한 고선량률 방식으로 3 Gy씩 $3{\sim}4$회 시행하였다. 항암치료는 5-FU와 cisplatin을 이용하여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5-FU $1,00\;mg/m^2$/day, days $2{\sim}6$, $30{\sim}34$, cispiatin $60\;mg/m^2$/day, days 1, 29)를 2주기 시행하고 방사선치료 후에 2 주기를 추가하여 시행하였다. 결 과: 분석 가능한 환자는 160명 이었으며, 추적관찰 기간은 1개월에서 149개월(중앙값 10개월)이었다. 환자의 AJCC 병기는 I, II, III, IV 기가 각각 5명(3.1%), 38명(23.8%), 68명(42.5%), 49명(30.6%)이었다. 26명(16.3%)의 환자에서는 $9{\sim}12\;Gy$의 추가 관내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관내방사선치료를 포함하여 총 40 Gy 이상 조사받은 144명의 환자에서 외부 방사선조사량의 범위는 $44.4{\sim}66\;Gy$ (중앙값 59.4)이었고, 총 방사선 조사량의 범위는 $44.4{\sim}72\;Gy$ (중앙값 60)이었다. 분석가능한 160명의 환자 중에서 101명(63.1%)에서 재발하였으며, 재발 양상으로는 국소 재발이 20명(12.5%), 지속적 병변 또는 국소 진행이 61명(38.1%), 원격전이가 15명(9.4%), 국소재발과 원격전이가 함께 있는 경우가 5명(3.)%)이었다. 전체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11.1개월이었고, 2년 및 5년 전체생존율은 각각 31.8%, 14.2%이었다. 중앙무병 생존기간은 10.4개월이었고, 2년 및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29.0%, 22.7%이었다. 항암화학방사선치료 후에 종양 반응 및 림프절 병기만이 전체생존율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였다. 방사선 조사량(${\geq}50$ Gy vs. < 50 Gy), 관내 방사선치료의 추가 유무, 분할조사(1회/day vs. 2회/day)에 따른 전체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에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식도암에서 근치적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의 성적은 다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동시 항암화학 방사선치료 후의 주된 재발 양상은 국소 재발이었다. 방사선 조사량의 증가(${\geq}50\;Gy$), 고선량률관내방사선치료 및 과분할조사법의 시행은 치료 성적을 향상시키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