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tegorical reduction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18초

소아 요골 원위부 불안정 골절의 캐스트 후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Risk Factors in Stability after Immobilization of the Distal Radius in Unstable Fractures in Children)

  • 신용운;손종민;박상윤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15-223
    • /
    • 2021
  • 목적: 소아 요골 원위부 골절은 가장 흔한 골절이면서 불안정 골절의 경우 정복 후에도 재전위 위험성이 높아 주의가 요망된다. 이러한 재전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평가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2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완전 전위된 소아 요골 원위부 불안정 골절로 본원 외래에서 보존적 치료한 6세에서 14세까지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전체 대상 환자 44예 중 재전위된 환자들에서 연령, 성별, 석고 지표, 간격 지표, 3점 고정 지표, 골절면 경사도, 관절면에서 골절선까지 거리를 환산한 골절 높이 비, 요골-제2 중수골 각도 등을 측정하여 마지막 골유합 상태에서 남은 각형성의 정도로 결과를 평가하여 비교를 하였다. 결과: 평균 9.2도(0-32.8도) 각형성이 남았으며 범주 내의 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10도 미만이 29예, 10도 이상이 15예로 확인되었다. 정복 후 재전위가 발생한 군과 대조군 사이에 평가된 요소들 중 석고 지표들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연령, 성별에서도 군 간에 차이가 없었고, 골절면 경사도, 요골-제2 중수골 각도도 차이가 없었다. 관절면에서 골절선까지의 거리를 환산한 골절 높이 비가 가장 의미 있는 안정요소로 평가되었고(p=0.001) 척골 골절이 동반된 경우도 불안정한 요소로 평가되었다(p=0.019). 결론: 소아 요골 간단부 완전 전위 골절, 특히 요골 골간단-골간 이행부의 골절의 경우 불안정한 골절로 평가되므로 좀 더 주의가 필요하며 충분한 재형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연령에서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위하여 수술적 치료가 선호될 수 있다.

빅 데이터의 자율 속성 감축을 위한 확장된 정보 엔트로피 기반 상관척도 (Extended Information Entropy via Correlation for Autonomous Attribute Reduction of BigData)

  • 박인규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05-114
    • /
    • 2018
  • 고객 유형 분석에 쓰이는 다양한 데이터 분석 방법은 고객들을 위한 맞춤형 콘텐츠를 기획하고,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고객들의 유형과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의 손실을 줄이기 위한 일환으로 정보 엔트로피를 확장하여 속성의 불확실성을 이용한 k-modes 군집분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따라서 속성에 대한 유사도의 측정은 두 가지의 측면에서 고려되어진다. 하나는 각 분할의 중심에 대한 각 속성간의 불확실성을 측정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각 속성이 가지는 불확실성에 대한 확률적 분포에 대한 불확실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특히 속성내의 불확실성은 속성의 엔트로피를 확률적 정보로 변환하여 불확실성을 측정하기 때문에 최종적인 불확실성은 비확률적인 척도와 확률적인 척도에서 고려되어 진다. 여러 실험과 척도를 통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의 정확도가 최적의 초기치를 기반으로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에 준수함을 보인다.

랜덤포레스트를 이용한 대설피해액에 대한 범주형 예측 및 개선방안 검토 (Categorical Prediction and Improvement Plan of Snow Damage Estimation using Random Forest)

  • 이형주;정건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7-162
    • /
    • 2019
  • 최근 세계적인 기상이변으로 이례적인 대설과 한파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대설피해 저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시군구 별 과거 피해이력이 적고, 피해 발생지역과 관측소 간의 거리가 멀어 정확한 피해예측이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설피해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는 인자들의 데이터를 수집한 뒤 랜덤포레스트 모형의 설명변수로 설정하여 추정되는 대설피해액을 범주형태로 예측하고자 하였다. 또한 설명변수 중 취약성 분석을 통해 도출된 취약성 지수를 설명변수로 이용함으로써 지역적 특색과 특성을 반영하였다. 지금은 과거 피해 자료의 부족, 비닐하우스 설계 기준의 변화 등으로 인해 예측 정확도가 높지 않지만, 피해가 발생한 지역의 정확한 기상자료가 확보되고, 변수로 사용한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진행된다면 본 연구 결과의 정확도 향상과 재난 발생 전 피해규모 및 범위에 대한 신속한 예측을 통해 대비차원의 재난관리 대처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Comparison of the Therapeutic Efficacy and Technical Outcomes between Conventional Fixed Electrodes and Adjustable Electrodes in the Radiofrequency Ablation of Benign Thyroid Nodules

  • Jae Ho Shin;Minkook Seo;Min Kyoung Lee;So Lyung Jung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5권2호
    • /
    • pp.199-209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rapeutic efficacy and technical outcomes between adjustable electrode (AE) and conventional fixed electrode (FE) for radiofrequency ablation (RFA) of benign thyroid nodul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2013 and 2021, RFA was performed on histologically proven benign thyroid nodules. For the AE method, AE length ≥ 1 cm with higher power and < 1 cm with lower power were utilized for ablating feeding vessels and nodules, especially those near anatomical structures, respectively. The therapeutic efficacy (volume reduction rate [VRR], complication rate, and regrowth rate) and technical outcomes (total energy delivery, ablated volume/energy, RFA time, and ablated volume/time) of FE and AE were compared. Continuous parameters were compared using a two-sample t-test or Mann-Whitney U test, and categorical parameters were compared using a chi-squared test or Fisher's exact test. Results: A total of 182 nodules (FE: 92 vs. AE: 90) in 173 patients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47.0 ± 14.7 years; female, 90.8% [157/173]; median follow-up, 726 days [interquartile range, 441-1075 days]) were analyzed. The therapeutic efficacy was comparable, whereas technical outcomes were more favorable for AE. Both electrodes demonstrated comparable overall median VRR (FE: 92.4% vs. AE: 84.9%, P = 0.240) without immediate major complications. Overall regrowth rates were comparable between the two groups (FE: 2.2% [2/90] vs. AE: 1.1% [1/90], P > 0.99). AE demonstrated a shorter median RFA time (FE: 811 vs. AE: 627 seconds, P = 0.009). Both delivered comparable median energy (FE: 42.8 vs. AE: 29.2 kJ, P = 0.069), but AE demonstrated higher median ablated volume/energy and median ablated volume/time (FE: 0.2 vs. AE: 0.3 cc/kJ, P < 0.001; and FE: 0.7 vs. AE: 1.0 cc/min, P < 0.001, respectively). Conclusion: Therapeutic efficacy between FE and AE was comparable. AE demonstrated better technical outcomes than FE in terms of RFA time, ablated volume/energy, and ablated volume/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