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sein digestibility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초

붕어고음 잔사분말을 첨가한 Cookies의 품질특성 (Protein Qualities and textural Properties of Cookies Containing Crucian Carp Extraction Residue)

  • 김오순;황은영;이진화;류홍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82-487
    • /
    • 2001
  • To find the possibility in utilizing the fish meat processing by-products, protein nutritional quality and textural properties of crucian carp extraction residue (CCER, feeze dired) incorporated into cookies were investigated. Moisture, ash and protein contents in cookies were increased with the higher residue treatments, but lipid contents were similar within all levels (3%, 9% and 15%). Major constitutional amino acids were revealed as glutamic acid, proline, leucine and arginine, and the sum of those amino acids was about 50% of total amino acid contents. Cookies with residue (CCER) had higher (80.74~84.50%)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than standard cookies (83.32%), while slightly lower trypsin indigestible substrate (TIS) contents were showed in CCER containing cookies than control. CCER treatments resulted the decreased protein nutritional quality in C-PER (computed protein efficiency ratio) value from 2.41 (standard) to 1.15 (cinnamon flavored. 9% CCER), and those C-PER of all cookies were lower than ANRC casein (2.50). Lipophilic browning was developed steadily till 60 days storage and a significant (p<0.05) changes of browning ws not noteed between 60 days and 90 days storage. Color of cookies, expressed as L, a and b value, was significantly (p<0.05) lightened with the increased CCER. Similar trends by treatments were noted for hardness. Cookies containing 9% CCER were similar to control regarding textual and sensory properties.

  • PDF

한국산(韓國産) 우유(牛乳)의 적정(適正) 살균조건(殺菌條件)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IV. 초고온처리(超高溫處理)에 의한 우유(牛乳)의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 및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성상(性狀)의 변화(變化) (Experimental Studies on the Optimum Pasteurization Condition of the Cow's Milk Produced in Korea IV. The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biological Aspects of Ultra-High Temperature Sterilized Milk)

  • 김종우;남명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318-328
    • /
    • 1987
  • 국산우유(國産牛乳)의 적정(適正)한 가열살균조건(加熱殺菌條件)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100{\sim}145^{\circ}C$의 온도조건(溫度條件)에서 초고온살균(超高溫殺菌) 방법(方法)에 따라 가열살균(加熱殺菌)하고 화학적조성(化學的組成) 및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성상(性狀)의 변화(變化) 및 처리유(處理乳)의 보존성(保存性)을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100{\sim}145^{\circ}C$에서 가열살균(加熱殺菌)할 때 처리유(處理乳)의 pH는 6.55로부터 6.33으로 저하(低下)하였고 단백질(蛋白質), 지방(脂肪), 유당(乳糖) 및 회분등(灰分等)은 변화(變化)가 거의 없었으며 Casein 태질소(態窒素)및 비단백태질소량(非蛋白態窒素量)을 증가(增加)하였고 비(非) casein 태질소(態窒素)와 여과성질소량(濾過性窒素量)은 감소(減少)하였다. 2. Calcium함량(含量)은 가열온도(加熱溫度)의 상승(上昇)에 따라 원유(原乳)의 119.8mg/100g로부터 $145^{\circ}C$ 가열시(加熱時) 75.75mg/100g로 점차(漸次) 감소(減少)하였고, Vitanin C에 있어서는 1.37mg/100ml 로부터 0.82mg/100ml로 크게 감소(減少)하였으며 인공소화율시험(人工消化率試驗)에 있어서는 원유(原乳)의 14.07%로부터 가열온도(加熱溫度)의 상승(上昇)에 따라 $145^{\circ}C$에 있어서는 26.0%로 증가(增加)하였다. 3. 미생물수(微生物數)는 가열온도(加熱溫度)의 상승(上昇)에 따라 감소(減少)하여 $130^{\circ}C$에 있어서는 $0.5{\times}10^2/ml$로 감소(減少)하였고 $135^{\circ}C$ 이상(以上)에서는 검출(儉出)되지 않았으며 대장균(大腸菌) 및 호냉성균(好冷性菌)은 $100^{\circ}C$로부터 내열성균(耐熱性菌), 호열성인(好熱性茵) 및 곰팡이, 효모는 $125{\sim}130^{\circ}C$로부터 검출(儉出)되지 않았고 $135^{\circ}C$ 이상(以上)의 가열처리(加熱處理)에서는 $100^{\circ}C$의 살균율(殺菌率)을 나타내었다. 4. 가열처리유(加熱處理乳)의 보존시험(保存試驗) 결과(結果) 15일(日)까지는 $4^{\circ}C$, $25^{\circ}C$$37^{\circ}C$에 있어 산도(酸度), 일반조성분등(一般組成分等)이 변화(變化)되지 않았고 생균수(生菌數), 대장균수(大腸菌數), 호냉성균수(好冷性菌數)도 검출(儉出)되지 않았으며 20일(日)이 경과(經過)하면서 Vitamin C의 감소(減少)와 생균수(生菌數)의 증가현상(增加現象)이 표현(表現)되었다.

  • PDF

한국산(韓國産) 우유(牛乳)의 적정(適正) 살균조건(殺菌條件)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III. 고온살균처리(高溫殺菌處理)에 의한 우유(牛乳)의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 및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성상(性狀)의 변화(變化) (Experimental Studies on the Optimum Pasteurization Condition of the Cow's Milk Produced in Korea III. The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biological Aspects of High Temperature Pasteurized Milk)

  • 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309-317
    • /
    • 1987
  • 국산우유(國産牛乳)를 원료(原料)로 한 적정(適正) 살균조건(殺菌條件)을 검토(儉討)하기 위하여 원유(原乳)를 $70^{\circ}C$, $75^{\circ}C$, $80^{\circ}C$, $85^{\circ}C$, $95^{\circ}C$$100^{\circ}C$의 각온도(各溫度)에서 15초간(秒間) 가열살균(加熱殺菌)하고 처리유(處理乳)의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 및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성상(性狀)의 변화상태(變化狀態)를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고온처리유(高溫處理乳)는 가열온도(加熱溫度)의 상승(上昇)에 따라 pH가 저하(低下)하였고 단백질(蛋白質), 지방(脂肪), 유당(乳糖) 및 회분등(灰分等)은 변화(變化)가 거의 없었으며 Casein 태질소(態窒素)와 비단백태질소함량(非蛋白態窒素含量)은 증가(增加)하고 비(非)Casein 태질소(態窒素) 및 여과성질소함량(濾過性窒素含量)은 감소(減少)하였다. 2. Calcium함량(含量)은 원유(原乳)의 119.78mg/100g로부터 $75^{\circ}C$ 가열(加熱)에서는 111.86mg/100g, $100^{\circ}C$ 가열(加熱)에서는 106.24mg/100g로 감소(減少)하였으며 Vitamin C에 있어서는 원유(原乳)의 $1.37mg/m{\ell}$로부터 $75^{\circ}C$ 가열(加熱)에서는 $1.15mg/100m{\ell}$, $100^{\circ}C$ 가열(加熱)에서는 $0.94mg/100m{\ell}$로 감소(減少)하였고 인공소화율(人工消化率)에 있어서는 가열온도(加熱溫度)의 상승(上昇)에 따라 증가(增加)하였다. 3. 생균수(生菌數)는 $75^{\circ}C$ 가열(加熱)에서 $9.0{\times}10^3/m{\ell}$로, $100^{\circ}C$ 가열(加熱)에서는 $3.4{\times}10^2/m{\ell}$로 감소(減少)하였고 대장균(大腸菌)은 $70^{\circ}C$ 가열(加熱)에서 검출(檢出)되지 않았으며 내열성균(耐熱性菌), 호열성균(好熱性菌), 호냉성균(好冷性菌) 및 곰팡이, 효모수도 가열온도(加熱溫度)의 상승(上昇)에 따라 크게 감소(減少)하였다. 4. 고온살균처리유(高溫殺菌處理乳)의 보존시험(保存試驗) 결과(結果) $25^{\circ}C$$37^{\circ}C$에 있어서는 l일후(日後)에 응고(凝固)하였고 $4^{\circ}C$ 보존(保存)에 있어서는 10일(日)까지 산도(酸度), 일반조성분(一般組成分), 미생물수등(微生物數等)이 변화(變化)가 거의 없어 우수한 보존성(保存性)을 나타내었다.

  • PDF

평지(平地)씨 단백질(蛋白質)의 영양가(營養價)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Nutritional Quality of Rapeseed Protein Isolates)

  • 양창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9-114
    • /
    • 1980
  • 역류 추출 및 등전 침전에 의한 평지씨 단백질의 분리(한국 식품 과학 회지, 10(2), 162 (1978)에 이어 그들의 영양가(단백질 효율, 정미 단백질 이용율, 질소 소화율, 성장률, 아미노산 조성 및 기관 중량)를 실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각 등전점(pI, 6.7, 5.6, 5.0)에서 분리한 3가지 단백질의 PER는 각각 2.8, 3.1 및 2.9였고 평지씨 박(탈지박)의 PER는 2.5로 낮았으며 한편 3가지 단백질의 NPU(전미 단백질 효율)은 각각 68.73 및 71%였고 탈지 평지씨 박은 56%로 제일 낮았다. 분리된 3가지 단백질의 평균 질소화율은 85%, 사료 섭취량은 87 g 그리고 체중 증가량은 37.6 g 였으며 이에 반하여 탈지 평지씨박의 그것들은 각각 71%, 77 g 및 28 g 등으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PER의 값에 관한 분리된 3가지 단백질 간에는 큰 차가 없었고 이들의 NPU 값과 카제인의 NPU 값은 서로 비견할 수 있었으며 특히 등전점 5.6에서 분리한 단백질은 가제인의 PER값이나 NPU 값에 비해 약간 높은 값을 보였으며 아미노산 조성에서도 필수 아미노산이 고루 함유된 우수한 단백질로 나타났다. 또한 갑상선 및 간장의 무게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장저해 인자가 전연 없었다. 분리된 3가지 단백질 중의 아미노산은 FAO/WHO의 성인 요구량에 비해 평형을 나타냈거나 상회하였다.

  • PDF

Effect of Non-starch Polysaccharides and Resistant Starch on Mucin Secretion and Endogenous Amino Acid Losses in Pigs

  • Morel, Patrick C.H.;Melai, J.;Eady, S.L.;Coles, G.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1호
    • /
    • pp.1634-1641
    • /
    • 2005
  • Generally, dietary fibre (DF) includes lignin, non-starch polysaccharides (NSP) and resistant starch (RS). In monogastric species, low levels of dietary fibre in the diet are associated with various diseases and high levels reduce nutrient digestibiliti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and levels of NSP (soluble: $\beta$-glucan, insoluble cellulose) and resistant starch on mucin secretion and endogenous nitrogen and amino acid losses in pigs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25 five-week-old weaner pigs (9.5 kg${\pm}$1.5 kg), were randomly allocated to each of five experimental diets. Different levels of purified barley $\beta$-glucan (BG) extract (5 or 10% of $Glucagel^{(R)}$ $\beta$-glucan, providing 4 or 8% of BG in the diet), and resistant starch (RS) (8.3 or 16.6% of Hi-$Maize^{TM}$, providing 5 or 10% RS in the diet) were substituted for wheat starch in a purified diet in which enzymatically-hydrolysed casein was the sole source of protein. The diets were fed for 21 day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p>0.05) was observed for growth performance and organs weights. No difference in ileal starch digestibility was observed between pigs on the cellulose or $\beta$-glucan diets. However, as the level of resistant starch in the diet increased the ileal starch digestibility decreased (p<0.05). The inclusion of resistant starch in the diet (5 or 10%) did not increase mucin production when compared with the cellulose-only diet. However, as the level of beta-glucan in the diet increased, both crude mucin in the digesta dry matter and per kg dry matter intake increased (p<0.05). Pigs fed the diet containing 8% of beta-glucan had higher endogenous loss flow than those fed the diets including 5 or 10% of resistant starch or 4% of $\beta$-glucan. In conclusion, dietary inclusion of resistant starch increased the level of starch reaching the large intestine without any effect on mucin secretion, or endogenous nitrogen or amino acid losses content in the small intestine. The addition of $\beta$-glucan to a diet containing cellulose increases both mucin secretion and endogenous amino acid and nitrogen losses in the small intestine.

향신채소를 첨가한 어육 고음 추출물의 단백질 품질평가 (Protein Nutritional Qualities of Hydrocooked Fish Extracts Containing Spicy Vegetables)

  • 류홍수;문정혜;황은영;이종열;조현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1-216
    • /
    • 1999
  • 풍미향상과 고온 열처리로 인한 단백질 품질저하를 완화시킬 목적으로 세가지의 향신 채소 (마늘, 생강, 양파)를 첨가하여 $110^{\circ}C$에서 5시간동안 조리한 어육 고음추출물의 단백질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향신채소를 첨가한 붕어 어육가수분해물의 유효성 Iysine은 생육의 유효성 Iysine과 거의 같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광어의 경우는 $66\~84\%$ 정도 유지되었다. 친유성 갈변물질 발생정도는 원료어육에 비해 붕어의 경우는 오히려 낮고, 광어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런 종류의 갈변물질은 제거된 지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I생성은 원료어육과 별차이가 없고, 소화율은 원료어육보다 $4\~5\%$ 낮으나 대체로 고온 고음추출물에 비해 $3\~4\%$ 높게 나타나 단백질 품질 저하가 훨씬 완화된 결과를 보였다. 원료어육의 유리 아미노산의 총량이 $2,000mg\%$ (광어), $2,240mg\%$ (붕어) 정도였던 반면, 향신채소를 첨가한 고음추출물에는 $3,800mg\%$ (광어), $3,700mg\%$ (붕어) 정도의 유리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었다. 붕어 고음추출물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histidine, taurine, glycine 및 alanine 이었으며, 광어의 경우는 taurine, alanine 및 asparagine이었다. 향신채소 첨가 어육 고음추출물 중 비교적 품질이 우수하다고 판단 된 생강첨가 추출물을 이용한 in vivo 단백질 품질 평가를 한 결과 in vivo 단백질 소화율은 표준단백질인 ANRC casein보다 $6\~7\%$낮았으나 고온 고압 처리 고음추출물보다 붕어의 경우 약 $10\%$이상 소화율이 높아졌다. Rat-PER은 약간 상승하였지만 실험 전기간 동안 실험동물의 체중증가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고, 다만 고온 처리 시료에서 발생하였던 탈모현상은 볼 수 없었으며 분변의 상태도 약간 호전되었다.

  • PDF

해양식량자원의 가공조건별 영양적 품질평가 -1. 가열 및 저장조건에 따른 수산연제품의 단백질 품질변화- (Effects of Processing Conditions on the Nutritional Quality of Seafood -1. Effects of Heating and Storage Conditions on Protein Quality of Surimi Products-)

  • 류홍수;문정혜;박정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82-291
    • /
    • 1994
  • 영양적으로 우수한 수산연제품 제조를 위한 가공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산업적으로 채택되고있는 가열 공정에 따른 제품의 단백질 품질을 점검하고, 제품가공에 사용되는 여러 첨가물들이 단백질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주요 수산가공 회사들이 생산한 연제품의 저장수명을 알아보기 위하여 저장온도에 따른 품질안정성을 실험하였다. 1. 연육에 대하여 전분첨가량이 $5\%$ 이면서 첨가수량이 $33\%$ 정도인 어묵의 단백질 품질이 가장 좋았다. 가열 처리 전 보다 가열처리 후가 소화율은 비슷하지만, 단백효율비는 훨씬 높았으며 소화저해물질은 어묵 제조과정 중 원료육에 있었던 총량의 $90\%$ 이상이 소실 되어 단백질 품질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해산물 추출물의 경우 연육에 대해 $2\%$ 정도 첨가하여도 소화율은 변화하지 않았지만, 효소활성저해제로서의 역할이 커서 $1\%$ 정도가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3. $40^{\circ}C$에서는 25분으로 가열한뒤 $95^{\circ}C$에서 10분간 2단가열을 시도하면 소화율이 높은 어묵제품을 만들 수 있었다. 4. 시판 찐어묵류 및 게맛살류의 단백질 소화율은 $86{\sim}88\%$$87{\sim}89\%$ 범위였고 단백효율비는 $2.8{\sim}2.9$(찐어묵) 및 $2.9{\sim}3.2$(게맛살)의 범위였으며, 회사별에 따라 차이가 컸었다. 5. 시판 맛살류를 $4^{\circ}C$에서 저장할 때 15일 경과 후에는 거의 부패단계에 이르렀고 찐어묵은 $4^{\circ}C$에서 20일, $15^{\circ}C$에서는 5일까지 저장성이 있었다.

  • PDF

Effect of corn gluten and its hydrolysate consumptions on weight reduction in rats fed a high-fat diet

  • Kim, Joo-Hee;Park, Ju-Yeon;Hong, So-Young;Kim, Mi-Ky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3권3호
    • /
    • pp.200-207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m gluten (CG) and its hydrolysate consumptions on weight reduction in rats fed a high-fat diet. Eight-month-old male Sprague-Dawley rats (n=40) were fed a high-fat diet (40% calorie as fat) for 4 weeks. They were then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fed the isocaloric diets with different protein sources for 8 weeks. The protein sources were casein (control group), intact CG (CG group), CG hydrolysate A (CGHA group, 30% of protein as peptides and 70% as free amino acids) and CG hydrolysate P (CGHP group, 93% of protein as peptides and 7% as free amino acids). Body weight gain, adipose tissue weights, nitrogen balance, absorptions of energy, protein and fat, lipid profiles in plasma, liver and feces and hepatic activities of camitine palmitoyl transferase (CPT), fatty acid synthase (FAS), malic enzyme (ME) and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H) were assessed. The CGHA diet had the highest amount of BCAAs, especially leucine, and most of them existed as free amino acid forms. The CGHA group showed significant weight reduction and negative nitrogen balance. Protein absorption and apparent protein digestibility in the CGHA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other groups. Adipose tissue weights were the lowest in the CGHA group. Activity of CPT tended to be higher in the CGHA group than in other groups and those of FAS, ME and G6PDH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CGHA group than in other groups. In conclusion, the CGHA diet which had relatively high amounts of free amino acids and BCAAs, especially leucine, had a weight reduction effect by lowering adipose tissue weight and the activities of FAS, ME and G6PDH in experimental animals, but it seemed to be a negative result induced by lowering protein absorption, increasing urinary nitrogen excretion and protein catabolism.

Mucor Miehei 응유효소(凝乳酵素)로 제조(製造)한 Camembert Cheese의 숙성(熟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Ripening of Camembert Cheese Made with Mucor Miehei Rennet)

  • 박무일;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179-200
    • /
    • 1989
  • Camembert cheese 제조(製造)에 있어 calf rennet의 대체이용(代替利用)을 위(爲)한 기초연구(基礎硏究)로서 Mucor miehei 응유효소(凝乳酵素)를 calf rennet와 일정(一定) 비율(比率)로 혼합(混合) 첨가(添加)하고 cheese의 수율(收率), 숙성기간(熟成期間)에 따른 일반성분(一般成分)의 변화(變化), 실소화합물(室素化合物), 아미노산(酸),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 무기물(無機物)의 변화(變化) 및 분자량별(分子量別) 분획(分劃), 전기영동(電氣泳動), 조직특성(組織特性) 및 관능검사(官能檢査) 연구(硏究)에서 얻은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Camembert eheese의 수율(收率)은 15%로서 calf rennet와 Mucor rennet간(間)에는 큰 차이(差異)이 없었다. 2. 단백질(蛋白質), 지방(脂肪) 및 회분함량(灰分含量은 Mucor rennet편이 적었으며 숙성(熟成)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유당(乳糖)은 14일 이후(以後) 급격(急激)한 감소현상(減少現像)을 나타내고 첨가비율(添加比率)에 따른 차이(差異)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3. 제조직후(製造直後) 수용성(水溶性) 질소량(窒素量)은 14.7~17.3%였으나 숙성(熟成)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39.7~41.0%로 증가(增加)하였으며 숙성(熟成) 21일(日)에는 calf rennet에 비(比)하여 Mucor rennet편이 높았고 비(非)케이신태(態) 질소(窒素) 및 암모니아태(態) 질소(窒素)는 21일(日) 이후(以後) Mocor rennet편이 높은 증가율(增加率)을 나타내었다. 4. 숙성(熟成)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calf rennet에 비(比)하여 Mucor rennet편이 cysteine, phenylalanine 및 proline 등(等)이 증가(增加)하였으나 aspartic acid, threonine 및 glutamic acid등(等)은 감소(減少)하였다. 5. 유리지방산량(遊離脂肪酸量)은 calf rennet에 비(比)하여 Mucor rennet편이 높았고 숙성(熟成)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8.36 mEq으로부터 26.36 mEq에 이르는 함량(含量) 증가(增加)를 나타냈으나 처리간(處理間)에는 유의성(有意性)있는 큰 차이(差異)를 나타내지 않았다. 6. 시료중(試料中)의 Ca량(量)은 0.238~0.272%, Mg량(量)은 0.019~0.002%, Na은 0.910~1.047%, K은 0.175~0.200%였으며 casein에서 중요(重要)한 비침전성(非沈澱性) Ca량(量)은 숙성기간(熟成期間)과 효소첨가중(酵素添加重)에 관계(關係)없이 61%에서 77%까지 Mg에서는 59.1%에서 92.5%까지 비침전성(非沈澱性) 수용성(水溶性)으로 남아 있었다. 7. 분자량(分子量) 50,000이상(以上)의 단백질(蛋白質)은 숙성9熟成)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초기(初期)의 95%에서 45%까지 감소(減少)되고 분자량(分子量) 10,000이하(以下)는 0.2에서 38%까지 증가(增加)되어 숙성(熟成)에 의(依)한 casein의 분해(分解)가 확실(確實)하였다. 8. 숙성(熟成) 2주(週)부터 Mucor rennet의 첨가비율(添加比率)에 따라 casein의 전기영동(電氣泳動)은 다르게 나타났으며 숙성(熟成) 4주(週)에는 calf rennet 처리구(處理區)에 비(比)하여 Mucor rennet 처리구(處理區)의 전(全) band는 다소 잔존(殘存)함을 볼 수 있었다. 9. in vitro소화율(消化率)은 처리(處理)에 따라 81.48~94.81%로 부터 94.47~98.61%로 증가(增加)하였으며 처리간(處理間)에는 유의(有意)한 차이(差異)를 나타내지 않았다. 10. Mucor rennet 처리구(處理區)는 calf rennet처리구(處理區)에 비(比)하여 Hardness가 낮았으며 숙성(熟成)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더욱 감소(減少)하였다. 11. 관능검사(官能檢査) 결과(結果) Camembert cheese의 표면상태(表面狀態), 촉감(觸感), 절단면(切斷面), 풍미(風味) 및 고미등(苦味等)은 calf rennet와 Mucor rennet 처리간(處理間)에 차이(差異)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 PDF

고온처리(高溫處理)에 의한 우유(牛乳)의 미생물(微生物) 및 화학적(化學的) 변화(變化)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Changes of Milk Treated by High Temperature)

  • 신용국;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198-209
    • /
    • 1986
  • 우리나라 원유(原乳)의 세균함량(細菌含量)과 가열처리(加熱處理)에 의한 일부(一部) 단백질(蛋白質)의 변성(變性)을 고려한 적정살균온도(適正殺菌溫度)와 시간(時間)을 구명(究明)하고자 $70^{\circ}C{\sim}100^{\circ}C$까지 $5^{\circ}C$간격(間隔)으로 10, 15 및 20 초간 살균(殺菌)을 행(行)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살균온도(殺菌溫度)와 시간(時間)에 따라 사멸효과(死滅效果)는 우수(優秀)하였으며 $75^{\circ}C$에서 20초간(秒間) 살균처리유(殺菌處理乳)에서 99.56%의 사멸율(死滅率)을 나타내어 시유처리기준(市乳處理基準) 부합(符合)되었다. 대장균(大腸菌)은 열처리(熱處理)에 의하여 전멸(全滅)하였고, 내열성균(耐熱性菌)은 $100^{\circ}C$의 열처리(熱處理)에도 다수 잔존(殘存)하였다. 또한 호열성균(好熱性菌)은 열처리(熱處理)에 의하여 대부분(大部分) 사멸(死滅)하였고, 호냉성균(好冷性菌)은 $90{\sim}100^{\circ}C$에서 전멸(全滅)하였다. 2. Bacillus subtilis 첨가유(添加乳)의 사멸율(死滅率)은 살균온도(殺菌溫度)가 높고 가열시간(加熱時間)이 길수록 높았으나, $100^{\circ}C$에서는 거의 일정수준(一定水準)을 유지(維持)하였다. 3. 살균온도(殺菌溫度)가 높고 가열시간(加熱時間)이 길수록 pH는 감소(減少)하였다. 4. 가열(加熱)에 따른 단백질(蛋白質), 지방(脂肪) 및 유당(乳糖)의 변화(變化)는 거의 없었다. 5. 가열온도(加熱溫度)에 따라 총질소(總窒素)는 거의 변화(變化)가 없었고 casein태질소(態窒素)와 NPN은 증가(增加)하였으며 비(非)casein태질소(態窒素)는 감소(減少)하였다. 6. 살균온도(殺菌溫度)가 높고 가열시간(加熱時間)이 길수록 질소여과율(窒素濾過率)은 감소(減少)하였으며 특(特)히 $95{\sim}100^{\circ}C$에서 급격(急激)히 감소(減少)하였다. 7. 인공소화율(人工消化率)은 열처리(熱處理)에 의하여 다소 증가(增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