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se grammar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1초

유추적 사고의 전개과정에 의한 디자인 의미개발에 관한 연구 - 아파트 평형별 실내디자인 프로토타입 적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Meaning Development by Process of Analogical Design Thinking - Focusing on the Application in Apartment Interior Design Prototype -)

  • 박경애;이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77-8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nterrelation between design thinking system and creativity, and to analyze designer how to develop personal conception and attitude in interior design through the method of analogy for signification.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illustrated as follows: 1. Introduction of general theories about analogical grammar and signification of analogy. 2. Investigating possibility of analogy as creative thinking method in interior design for meaning development. 3. Establishment of design process model for analogical design based on the case study through the design field. That is, concept and process of analogical design is shown objectively by application in collective residential design as commercial product strategy.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presents possibility of giving meaning in interior space through consilience between source and target of analogy. Finally, it examines analogical method is major strategy for ideation and mechanism for meaning development in interior design.

데이터분석을 통한 확대투사원리의 효율성 제고 (A Reconsideration on the Efficiency of the Extended Projection Principle)

  • 주치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219-228
    • /
    • 2011
  • 본 연구는 다양한 언어 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소주의에서의 확대투사원리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역점을 둔다. 확대투사원리는 두 가지 원리에서 도출되는데, 하나는 표준이론에서의 투사원리이고 다른 하나는 주어위치는 반드시 채워야 한다는 요건을 근거한다. 이 두 원리가 하나로 병합된 확대투사원리는 이후에 계속해서 그 개념이 변한다. 최소주의 출현 이전에는 격에 의존적이었으나, Chomsky(1995)의 최소주의 하에서는 범주자질 [D]의 특성으로 귀착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위치 도치 구문, 허사 there 구문, 결속이론과 같은 구문에서의 다양한 언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굴절어구의 지정어 위치는 최대로 투사된 어휘항목에 의해 반드시 채워져야 한다는 대안을 제시한다.

한국 전통공간디자인 텍스트의 지시작용 해석에 관한 연구-컨텍스트의 구조적 유비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ation in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Text -Focusing on structural homology of Space Context-)

  • 박경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31-38
    • /
    • 2007
  • This study is interested in how philological interpretation of a space text were patterned so as to give the text structural cohesion. A similar philological motivation incorporates some of the notions of generative grammar. Interpretation is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cultural meanings expressed in discourse by analysing the linguistic structures in the light of their interactional and wider social contexts. Viewed in this light,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illustrated as follows: At first, this research contains basic concepts of signification of text and context, and theories of spacial text and context of typological structure in terms of Ricoeur's structural Hermeneutics. Secondly, it concretize a logic that traditional space context is inserted in organized attribute like emotion, spirit, nature as character of contemporary space text through typological structure. Finally, from aspect of designation theory among interpretive semantics, it shows that korean contemporary space design is incorporated with typological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palace spacial context homologically through the case study of I-Hotel space design.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suggest that positivistic interpretation methodology by designation of text is logical thinking of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영어 완화 표지와 한국어 종결어미 비교 -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문법 설명 - (English Hedge Expressions and Korean Endings: Grammar Explanation for English-Speaking Leaners of Korean)

  • 김영아
    • 한국어교육
    • /
    • 제25권1호
    • /
    • pp.1-27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s how common English hedge expressions such as 'I think' and 'I guess' appear in Korean, with the aim of providing explicit explanation for English-speaking leaners of Korean. Based on a contrastive analysis of spoken English and Korean corpus, this study argues three points: Firstly, 'I guess' appears with a wider variety of modalities in Korean than 'I think'. Secondly, this study has found that Korean textbooks contain inappropriate use of registers regarding the English translations of '-geot -gat-': although these markers are used in spoken Korean, they were translated into written English.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geot -gat-' be translated into 'I think' in spoken English, and into 'it seems' in the case of written English and narratives. Lastly, the contrastive analysis has shown that when 'I think' is used with deontic modalities such as 'I think I have to', Korean use '-a-ya-get-': the use of hedge marker 'I think' with 'I have to', which shows obligation or speaker's volition turns the deontic modalities into expressions of speaker's opinion.

Best Practice on Automatic Toon Image Creation from JSON File of Message Sequence Diagram via Natural Language based Requirement Specifications

  • Hyuntae Kim;Ji Hoon Kong;Hyun Seung Son;R. Young Chul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3권1호
    • /
    • pp.99-107
    • /
    • 2024
  • In AI image generation tools, most general users must use an effective prompt to craft queries or statements to elicit the desired response (image, result) from the AI model. But we are software engineers who focus on software processes. At the process's early stage, we use informal and formal requirement specifications. At this time, we adapt the natural language approach into requirement engineering and toon engineering. Most Generative AI tools do not produce the same image in the same query. The reason is that the same data asset is not used for the same query. To solve this problem, we intend to use informal requirement engineering and linguistics to create a toon. Therefore, we propose a sequence diagram and image generation mechanism by analyzing and applying key objects and attributes as an informal natural language requirement analysis. Identify morpheme and semantic roles by analyzing natural language through linguistic method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 sequence diagram and an image are generated through the diagram. We expect consistent image generation using the same image element asset through the proposed mechanism.

Case Study on Problem-based Programming Classes in Software Education for Non-Computer Science Majors

  • Seo, Joo-Young;Shin, Seung-H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213-222
    • /
    • 2020
  • 최근 소프트웨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우리나라도 정부 주도로 소프트웨어 의무 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대학에서의 소프트웨어 기초교육은 다양한 시행착오를 거쳐 안정화 되고는 있지만, 학생들의 비자발적 수강으로 인한 학습 동기 부족과 프로그래밍에 대한 높은 체감 난이도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남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팅 사고 역량 배양을 목적으로 문제 중심 프로그래밍 교과로 설계 및 운영된 컴퓨터과학 비전공 학생 대상 수업 사례를 수업 평가 결과를 이용해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문제의 용도를 문법 설명 보조재로 확대하고 전공 친화형 문제 비율을 확대 운영한 사례에서는 학습자들의 응답이 더 높은 점수에 집중되었고 응답 평균은 약 7% 향상되었다. 이는 학습자들이 느끼는 교과에 대한 체감 난도가 낮아졌음을 의미한다.

한국어 합성 동사성 명사의 어휘구조와 다중 동사성명사 구문

  • 류병래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1-144
    • /
    • 2001
  • 본 논문의 목적은 ‘다중 동사성 명사 구문’(Multiple Verbal Noun Construe-tions)의 논항실현 양상을 이론 중립적으로 고찰해 보고, 이 분석을 제약기반 문법 이론인 최근의 핵 심어주도 구구조문법 (Head-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틀 안에서, 특히 다중계승위 계를 가정하는 제약기반 어휘부를 기반으로 형식화해 논항의 실현과정을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우선 일본어의 유사한 현상을 분석한 Grimshaw & Mester (1988)의 격실현 양상에 관한 일반화를 기반으로 한국어 동사성명사구문의 논항실현 양상을 ‘논항전이’ (argument transfer)라는 이론적 장치를 이용해 형식화할 수 있음을 보이고, 동사성 합성명사의 논항구조를 만들기 위해 ‘논항합성’(argument composition)이라는 이론적 장치를 제안한다. 나아가서 다중 동사성 명사구문의 논항실현 과정에서 보이는 겹격표지 현상을 ‘격 복사’(case copying)를 제안해 동사성 명사의 격표지가 합성 명사에서 분리되어 문장단위에서 실현될 때 동일한 격을 복사해 실현한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수동과 능동 등 문법기능의 변화현상에서 하위범주화된 요소들의 격변화가 자의적이 아님을 실례를 들어 보여 주고자 한다. 일본어의 경동사 (light verbs)에 관한 분석 인 Grimshaw Meste, (1988) 이래 한국어에서도 이와 유사한 구문에 대한 재조명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Ryu (1993b), 채희락 (1996), Chae (1997) 등 참조). 한국어에서 ‘하다’와 동사성명사(verbal nouns)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동사성명사구문’ (Verbal Noun Constructions)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대부분 하나의 동사성 명사가 ‘하다’나 ‘되다등 소위 문법기능을 바꾸는 ‘경동사’들과 결합하여 복합술어가 되는 문법적 현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와 비교해서 동사성 명사의 어근이 두 개 이상 결합하여 동사성명사들끼리 합성명사(compound nouns)를 이루고 그 동사성 합성명사가 문법기능의 변화를 바꾸는 ‘경동사’와 결합하여 이루어진 복합술어에 대해서는 논의가 거의 없는 형편이다. 특히 이 지적은 핵심어주도 구절구조문법틀 내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없다. 본 논문의 대상은 바로 이러한 합성 동사성명사의 논항구조와 동사성명사에 의해 하위범주화된 논항들의 문법적 실현양상이다.

  • PDF

초등학교 3학년 영어 디지털 교과서의 디자인 연구 (Improvement of Elementary English Digital Textbook Design)

  • 김정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2호
    • /
    • pp.383-409
    • /
    • 2013
  • 본 연구는 특정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영어 디지털 교과서는 사용자를 고려한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데서 출발하였으며 사용자는 영어 공교육의 시작 학년으로 구체적 사물의 제시에 의한 인지와 이해가 쉬운 초등학교 3학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호도가 높은 3종 교과서를 중심으로 '크레스의 시각디자인 문법틀[Gunther Kress, 2006]'에 의해 디자인 분석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에 의해 수정된 디자인으로 초등학교에서 두 차례의 사례 연구, FGI, 설문, 관찰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영어 디지털 교과서 디자인에 의한 교육 효과에 변화가 있는지 실험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자를 고려한 디자인 요소로 수정한 영어 디지털 교과서가 학생들에게 만족도가 높았으며, 어린이들이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집중하는 것이 관찰 되었다. 한편 사례 연구 결과 사용자에 맞춘 디자인 요소로 영어 디지털 교과서를 기획하는 것이 교육의 선호도 및 효과에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초등학교 3학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영어 디지털 교과서 디자인 기획에 있어서 디지털 교과서만을 위한 체계적인 디자인 가이드와 사용자 연령의 선호도 및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 제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플립드 러닝의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iveness of the Flipped Learning using the Smart Device)

  • 피수영;도숙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65-71
    • /
    • 2017
  • 과학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학습자들에게 맞는 맞춘 교수 방법을 찾기 위한 연구를 부단히 노력해 오고 있다. 그러한 교수법 중의 하나로써 많은 연구자들은 플립드 러닝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플립드 러닝방식이 i) 전통적 교육방식 수업에 비해 학업 성취도 면에서 유용한지 ii) 학생들의 영어성적에 상관없이 모든 영어레벨의 학생에게 적용되어 질수 있는지 iii) 학습자들의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을 일으키는데 도움이 되는 교수법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학업성취에 있어서 플립드 러닝 수업을 받은 학생 그룹 중 가장 성적이 좋은 그룹 학생들은 학업에 있어 많은 향상을 보인 반면 학업 성적이 가장 낮은 그룹 학생들은 오히려 성적이 낮아지는 결과로 나타났다. 플립드 러닝 교수법으로 수업을 진행할 시에는 학습자들의 수준에 따른 콘텐츠를 교수자가 개발해야한다고 본다. 학습자들의 수준에 맞는 맞춤형 콘테츠 개발이 학습자들의 학습 성취도를 높일 것으로 본다.

현실과 예술적 기능으로서의 자살 이미지 (The Image of Suicide as the Functions of Reality and Art)

  • 최은주
    • 영미문화
    • /
    • 제13권1호
    • /
    • pp.83-103
    • /
    • 2013
  • This paper focuses on the function of suicidal images in the history of art including literature. Death has been romanticized or repoliticized into an existential act of defiance and rebellion in literary works, so questions remain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literary suicide and the essence of suicide. Although Jacques Ranciere insists that the order of art contrasts with the order of common people whose acts and gestures can express either their specific purposes nor the rationalities of their frustration, literary suicide reflects the outside life of readers. In fact, images of suicide produces the order of things about the real world. William Shakespeare's Hamlet handled two oppositional self-murder significantly. As Ron M. Brown pointed out, Hamlet, by choosing confrontation, seeks out an end which is voluntary, thus he avoids self-destruction and feels triumph of heroic fashion. Ophelia's self-chosen death stems from loss, frailty and the disintegration of reason, which demeans the act and diminishes her from the tragic to the pathetic(16). In the $19^{th}$ century, the resurrection of Ophelia acted as the context for later periods where life itself is fictionalized from the differing periods of network of signifier and texts. Finally, in Ophelia's case, fiction became life(Brown 285). Her suicidal image was fixed in the Victorian Culture whose visual discourse was strikingly similar to that of the men. Likewise, the ambiguities of the suicide became intertwined with the social, cultural issues of a certain period, and the paradigm of suicide was conformed to the changing needs of successive generations. However, if literary art understands that a European culture grappled with the almost impossible task and coming to terms with this strangest and most persistent of phenomena, it will be able to focus on of the multi-layered suicide by recognizing the inherent instability of the verbal sign which cannot reveal the design and grammar of tru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