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se checking

검색결과 406건 처리시간 0.026초

Systematic Review of Case Reports about Korean Medicine for Lung Cancer

  • Han, Gajin;Shin, Haegue;Seong, Sin;Kim, Sungsu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36-157
    • /
    • 2018
  • Objectives: This systematic review aimed to put the case reports of lung cancer on Korean medicine (KM) together and adopt the results in clinical practice. Methods: Researches were searched using the PubMed, EMBASE, OASIS, KoreanTK, KISTI, RISS, KISS, and NDSL. The search term were 'lung cancer' and KM. There was no restriction in year. Results: 1. Among the 48 studies, 68 patients were reported in total. The types of lung cancer were non-small-cell lung cancer (n=41) and small-cell lung cancer (n=6). 2. The number of patients who received KM therapy alone was 40. On the other hand, 25 patients were treated with KM and chemotherapy simultaneously. All case reports used herbal medicine except 2 studies. Other types of treatment were acupuncture, moxibustion, pharmacopuncture, cupping, meditation, etc. 3. Several efficacy evaluation variables were used such as tumor size, changes of symptoms, duration of survival, the quality of life, and so on. The safety was evaluated by checking adverse effects using blood test. 4. Regarding the tumor response, partial response was reported in 12 cases, stable disease was in 22 cases, 50% of the total cases, which is a high level of tumor response. Furthermore, all 11 cases with the evaluation on the length of survival showed prolonged survival than the expectancy of corresponding stage, with the stable quality of life. Conclusion: We have found that the applicability of KM for treatment of lung cancer through this review. Evidence based medicine can be realized by checking cases and applying them in clinical practice.

야외창고 재고실사 자동화를 위한 시스템 개발 (Automation of Inventory Checking System for Outdoor Warehouse)

  • 배성문;한관희;이화용;홍금석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38-144
    • /
    • 2018
  • Inventory inspection is an important task to eliminate the inconsistency between real assets and inventory management systems, and it is performed periodically at the site. In the case of a large-sized property, it is mainly managed in an outdoor workshop or a warehouse. However, due to the large area of the outdoor area, it is relatively difficult to identify the quantity and location of the property and is also vulnerable to theft.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d a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 warehouse inventory inspection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and Bluetooth low energy (BLE) beacons. The proposed method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First of all, if we carry out inventory inspection by utilizing UAV, we can minimize user's effort compared to existing methods. The method of recognizing the asset by attaching the BLE beacon is more costly than using the existing RFID technology, but it is advantageous because the recognition distance is increased and the battery life of the tag is drastically increased. We also designed a BLE beacon reader for the system and implemented a prototype to show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system. The prototype is based on Genuino 101, which is a kind of arduino, and adds HM-10 and Neo-6m modules to provide Bluetooth and GPS functions. The BLE beacon reader was tested in outdoor, and attached in drone. We also developed an inventory checking system based on the web to display results of inventory checking. The proposed approach enables the users to automate the operation of inventory checking on an outdoor warehouse.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터치스크린 패널의 터치 영역 인식 기법의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the Recognition Methods of a Touched Area on a Touch-Screen Panel for Embedded Systems)

  • 오삼권;박근덕;김병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334-2339
    • /
    • 2009
  • 터치스크린 기능이 있는 LCD 패널이 부착된 임베디드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 입력 명령의 전달을 위해 사각형, 오각형, 원, 화살표 같은 다양한 도형들이 자주 사용된다. 이 경우, 특정 명령 입력 여부의 판단을 위해 터치된 지점이 그 명령을 의미하는 도형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런 알고리즘들은 제한된 컴퓨팅 자원을 갖는 임베디드 시스템의 경우 상당한 오버헤드를 유발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터치 영역 인식 알고리즘들을 구현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여 가장 효율적인 인식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선 터치스크린 LCD 모듈이 부착된 LN2440SBC 임베디드 보드를 위한 터치스크린의 초기화 및 구동 방법과 터치스크린의 좌표를 LCD 패널의 좌표에 맞춰 조절하는 좌표보정 방법을 설명하고, 다음에 도형 영역의 터치 여부의 판단을 위해 사용 되고 있는 사각형의 범위 검사법, 오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교차 수(crossing number) 검사법, 원의 거리 측정법, 그리고 모든 도형들에 적용 가능한 색상 비교법을 구현한다. 이 방법들의 성능평가를 위해, 사각형, 오각형, 원, 그림 등을 그리기 위한 이차원 그래픽스 함수들을 구현하고 도형을 생성한 후, 각 방법에 따라 해당 도형들의 영역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다. 이 측정 결과, 사각형은 범위 검사법이, 원은 거리 측정법이, 다각형 및 그림을 이용한 도형일 경우에는 색상 비교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평삭처리(前平削處理)가 물참나무의 건조속도(乾燥速度)와 건조결함(乾燥缺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resurfacing on drying rate and drying defect of Quercus grosseserrata BI.)

  • 한규성;정희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29-39
    • /
    • 1986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surfacing, both 25mm rough and pre surfaced oak boards (Quercus grosseserrata BI.) were dried in the same dry kiln condition. Drying curves, drying strains and drying defects of rough and presurfaced boards were compared. The results obatained are as follows. 1. Average drying rate of rough and presurfaced boards from green to 10% M.C. was 0.276%/hr. and 0.284%/hr., respectively. 2. At the early stage of drying, in case of rough boards, maximum tensile strain of outer slices was $-24.2{\times}10^{-4}$mm/mm and maximum compressive strain of innermost slices was $13.0{\times}10^{-4}$mm/mm, and in case of pre surfaced boards, maximum tensile strain of outer slices was $-14.5{\times}10^{-4}$mm/mm and maximum compressive strain of innermost slices was $28.1{\times}10^{-4}$mm/mm. And in both cases, stress reversal occurred at about 40% M.C.. 3. Maximum surface checking appeared at about 40% M.C.. Of the 10 rough boards. 6 hoards contained surface checks, but presurfaced boards did not contained surface checks after drying. And the results of end checking were similar to those of surface checking. But, honeycomb was not found in both cases. 4. Board shrinkage. warp and casehardening of presurfaced boards were similar to those of rough boards. But, collapse of prsurfaced boards was less than that of rough boards.

  • PDF

외장형 저장장치의 파일유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xternal Storage Device File Outflow)

  • 송유진;이재용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59-64
    • /
    • 2011
  • 외장형저장장치의 다양한 종류와 대용량화로 인해 대다수의 컴퓨터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외장형 저장장치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파일 유출사고도 늘고 있다. 이러한 파일 유출은 컴퓨터서 파일을 실행하여 확인한 후 이동시키는 것과 파일명으로만 확인하고 이동시키는 경우로 나뉜다. 파일의 실행하여 확인하는 경우는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정보를 통해 흔적을 확인할 수 있으나 파일의 실행 없이 외장형 장치로 이동되는 경우 응용프로그램의 실행흔적이 남지 않아 포렌식 조사에 어려움이 많았다. 본 논문에서는 외장형 저장장치의 인식방법과 연결정보를 통하여 외장형 저장장치의 볼륨정보, 시간정보를 획득하는 방법과 링크파일의 분석을 통해 외장형 저장장치의 볼륨정보를 획득하여 서로 비교하고 링크파일의 생성시간정보, 접근시간 정보 등을 획득하여 파일의 실행 없이 외장형 장치로 이동되는 경우의 포렌식 조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BIM 모델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품질검토항목의 룰 개발 - 국내 BIM 지침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Rule for Quality Checking Items to Raise Quality of BIM Model -Focusing on the Domestic BIM Guidelines-)

  • 송종관;주기범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31-143
    • /
    • 2013
  • BIM 지침을 통해 기본적인 모델링 기준을 제공하고 있지만, BIM 모델링 업무를 수행하는 참여자 별로 기준이 상이하고 BIM 모델의 활용목적에 따른 적용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BIM 적용 지침에 대한 이행여부의 평가는 BIM 모델의 활용목적에 따른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한 중요한 절차이다. 하지만 지침에 따라 작성된 BIM 모델의 검토항목 및 방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BIM 모델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국내 BIM 지침의 BIM 기반 품질검토 항목을 도출하고 자동 품질검토 수행을 위한 룰 정의서를 제시한다. 먼저 국내 BIM 지침을 분석하여 품질검토 항목을 도출하고 플로우차트 및 의사코드를 활용한 구조화를 통해 룰 정의서를 작성한다. 작성된 룰 정의서를 기반으로 사례적용을 실시하여 자동 품질검토 과정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3차원의 방대한 데이터를 포함한 BIM 모델의 설계품질과 완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향후 활용목적에 따른 BIM 지침의 개발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BIM모델의 품질검토를 위한 구체적인 절차나 기준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Intelligent consistency checking method for the use case model

  • Lee, Eun-young;Shim, Woo-gon;Paik, In-sup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3년도 Proceeding
    • /
    • pp.50-56
    • /
    • 2003
  • In the development of complex software system, it is important to use hierarchical use case model due to the complex scope of development procedure. The use case model is core factor of the OMG (Object Management Group)'s UML (Unified Modeling Language) diagra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ethod to check syntactic consistency automatically in use case models at the different level of abstraction. This method is a rule-based approach which utilizes actor tree, use case tree and use case description. The proposed method is simulated on 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architecture for the verification.

  • PDF

초음파를 이용하여 관찰한 자궁근종의 한의 치료 경과 고찰 2례 : 증례보고 (A Case Report on 2 Cases of Patients with Uterine Fibroids Observed an Effective Result on Ultrasonography after Korean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 곽유진;박상희;정명주;박성우;박웅;조희근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7-157
    • /
    • 2015
  • Objectives: We report two cases that have an effective result with Korean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to two patients who have uterine fibroids, using transabdominal ultrasonography for checking the size of uterine fibroids. Methods: A 44-year-old patient and a 43-year-old patient were treated with an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cupping therapy. We followed up the symptoms and the size of uterine fibroids. Results: The 44-year-old patient was asymptomatic, her size of the uterine fibroid was reduced for 6 months. Also, the 43-year-old patient experienced that the symptoms such as urinary frequency, ovulation pain, heavy bleeding were improved and the size of the uterine fibroid was reduced. Conclusions: This results suggest that Korean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if effective for both asymptomatic and symptomatic uterine fibroids and ultrasonography is useful for checking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Further case series and studies are warranted.

NFC 기반의 고등교육기관 출결지원 시스템에 대한 실증적 연구 (NFC-based Attendance Checking System for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 조윤석;김경미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283-28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NFC 기반으로 구현된 저비용 구조의 출결지원 시스템을 제안하고, 실제로 고등교육기관에서 운영된 사례를 소개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수강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을 강의실 내 책상에 부착되어 있는 NFC 태그에 갖다 대면 자동으로 출결이 처리되는 구조이다. 이 서비스는 실제운영과 동시에 대용량 실시간처리 보강 및 서비스 안정화 단계를 거쳐 개선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2014년 2학기 기준으로 58개 강좌에서 사용되고 있고, 모바일기기로 출결을 체크하는 비율은 96% 수준이다. 제안된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강의실 내 하드웨어 설치는 모든 책상에 NFC 태그만 설치함으로 하드웨어 비용이 상당히 줄어들었고, 출결체크 시간은 수강인원에 상관없이 1분 이내로 줄어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