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rot and spinach juic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채소 즙을 첨가한 밀전병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ljeonbyeong Added with Carrot and Spinach Juice)

  • 백은숙;조미희;이경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54-262
    • /
    • 2010
  •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iddled miljeonbyeong containing vegetable juice were assessed by conducting sensory tests and measuring texture and color. When varying amounts of carrot/or spinach juice was added to miljeonbyeong, the sensory preferences of appearance and texture were higher in miljeonbyeong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carrot and spinach vegetable juice, and the preferences of smell and taste were higher in miljeonbyeong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carrot and spinach juice. Overall, preference was highest in miljeonbyeong supplemented with 30 g carrot juice and 10 g spinach juice. Overall preference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appearance (r=0.44) and texture (r=0.47). In miljeonbyeong containing vegetable juice, tensile strength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amounts of carrot juice (34.98~30.82) or spinach juice (40.84~37.07). In all miljeonbyeong samples, tensile strength increased slightly in 1 hour but rapidly increased after 2 hours. Lightness progressively decreased. A-value increased (3.46~9.63) and b-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vegetable juice added. No difference in the b-value increase was evident between carrot juice (15.19~26.43) and spinach juice(18.19~24.40). Tensile strength was markedly lower in miljeonbyeong amended with carrot juice (34.98~30.82g) or spinach juice (39.05~32.67 g), which contained fat-soluble pigment, as compared with vegetable-free miljeonbyeong (44.81 g), but the addition of beet juice (45.30~44.78 g) containing water-soluble pigment did not lower the tensile strength of miljeonbyeong compared to vegetable juice. In order to improve the texture of miljeonbyeong containing vegetable juice, tensile strength was measured in miljeonbyeong prepared with 30 g carrot juice or 10 g of spinach juice, which produced the highest sensory test scores, and additionally amended with potato starch, corn starch, glutinous rice flour, strong flour or yam powder with a consequent reduction in the content of wheat flour. Improvement was noted in carrot juice-containing samples prepared with 6 g corn starch, 15 g potato starch and 15 g hard wheat flour, and in spinach juice-containing samples prepared with 6 g corn starch, 6 g potato starch, 6 g hard wheat flour and 15 g dried yam powder.

당근, 시금치, 오디즙 첨가 녹두전분 겔의 항산화 및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Mung Bean Starch Gels Added with Carrot, Spinach and Mulberry Juice)

  • 차예지;정연숙;김재원;윤광섭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6-52
    • /
    • 2011
  • 항산화성의 생리활성을 함유함과 동시에 기호성을 증대한 녹두전분 겔 제품 개발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당근, 시금치 및 오디 생즙 각각을 첨가한 전분 겔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무첨가, 당근즙, 시금치즙, 오디즙 첨가 전분 겔의 수분 함량은 첨가 재료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색상은 첨가재료의 색상이 전분 겔에 그대로 착색되었다. 경도는 무첨가 전분 겔에서 가장 높았으며,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 및 깨짐성은 당근을 첨가한 전분 겔에서 가장 높았으나 다른 첨가재료와 큰 차이는 없었다. 각각의 생즙을 첨가한 전분 겔의 전자공여능, 환원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은 생즙에 비해 다소 낮았으며, SOD 유사활성에서는 대등하거나 오히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저장 기간에 따른 이수율은 당근, 시금치, 오디 즙을 첨가한 전분 겔이 무첨가 전분 겔에 비하여 낮은 이수율을 보였으며 특히, 오디 첨가구에서 가장 낮은 이수율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천연 재료를 첨가한 전분 겔은 무첨가 전분 겔에 비해 색상, 향미, 맛이 우수하고 종합적 기호도가 높았으며, 특히 오디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Estimated Carotenoids Intake in Korean Adults Using Food-frequency Questionnaire: Association with Smoking, Drinking and Other Life-style Factors

  • Park, Yoo-Kyoung;Kim, Yoona;Park, Eunju;Kang, Myung-Hee
    • Nutritional Sciences
    • /
    • 제4권2호
    • /
    • pp.98-103
    • /
    • 200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exercise, sex, and dietary carotenoids ($\alpha$-carotene, $\beta$-carotene, $\beta$-cryptoxanthin, lutein + zeaxanthin, lycopne) intake in Korean middle-aged adults. Food-frequency questionnaire were analyzed from 304 healthy adults (115 men, 189 women) aged 20 - 59.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contained subject s habitual diet and alcohol intake were the previous 3 months. Data on frequency of 102 foods, including vegetables, fruits, beverages and legumes were analyzed. Total dietary carotenoids intake were 27.13 $\pm$ 3.09 mg/d for men and 26.71$\pm$ 2.82 mg/d for women. It was found that smoking had no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dietary intake of carotenoids. Among other lifestyle factors that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as the amount of exercise time. The increases in exercise time was associated with increase in carotenoids intake (r= 0.121, p : 0.04). The major contributors of $\alpha$-carotene and $\beta$-carotene were carrots consumed as single-food item or carrot juice. Lutein and Zeaxanthin intake mainly came from spinach and most lycopene intake was derived from tomato products not fresh tomatoes. Persimmon was the major contributor of $\beta$-cryptoxanthin.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on understanding the unique pattern of dietary intake of Korean, which might help identify the risks for developing various diseases.

  • PDF

한국(韓國)의 채소(菜蔬) 음식(飮食) 문화(文化) (A study of intakes of vegetables in Korea)

  • 조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01-612
    • /
    • 2003
  • 이상으로 한국의 채소음식에 대한 시대적인 변화 경향과 최근의 채소 섭취량 및 섭취형태 변화 경향을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부족국가시대와 고려시대를 거치면서 채소의 종류는 점차 다양해졌으며, 조선시대에는 거의 현재와 비슷한 채소를 이용하였다. 상고시대 이래 계속 섭취하고 있는 채소로는 마늘과 쑥이 있으며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이후 현재까지 계속 섭취하고 있는 채소는 가지, 오이, 상추가 고려시대 이후로는 죽순, 토란, 우엉, 무, 순무, 파, 부추, 미나리, 배추, 아욱, 시금치, 쑥갓 등이 조선시대 이후 현재까지 계속 섭취하고 있는 채소는 고추, 호박, 토마토, 캐비지, 셀러리, 케일, 순무(turnip), 근대(beet), 등이 있다. 한편, 과거에는 섭취했으나 현재는 섭취하지 않는 채소로는 박과 마, 순채 등과 각종 식용야생초들이 있다. 2. 한국인의 채소 공급량은 일인당 연간 232.2kg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양은 이러한 양은 전세계의 평균 공급량인 101.9kg과 비교해서 많은 편이며 아시아 지역에서 비교해 보면 중국(203.5kg)이나 일본(111.6kg) 보다는 많은 양이었다. 3. 채소섭취량은 1970년 이후에 뚜렷한 증가가 나타났으며 1990년에 201.1kg으로 가장 많았고 그 이후 감소하여 2000년에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일본의 경우 1965년 이후 큰 변화없이 110-120kg 수준을 공급하고 있으며 중국의 경우에는 1995년 이후에 급속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미국은 채소류의 공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나라로 나타났다. 4. 한국인이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는 채소는 마늘, 파 등의 양념류와 배추김치, 무, 양파, 당근 등으로 종류가 매우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114종 가운데 섭취한 채소의 종류는 모두 72종으로 나타났으며 남자의 경우 1인 1일 섭취량이 가장 많은 채소는 배추김치였고, 그 다음으로 무, 양파, 파, 깍두기, 감자, 배추, 시금치, 애호박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도 남자와 같은 경향이었으나 애호박이 다소비식품 내에 포함되지 않았다. 5. 구황식품과 부식으로 이용되었던 산나물과 야생식물의 이용은 현재 거의 사라진 반면 새로운 외래채소와 허브류의 도입은 급증하고 있으며, 채소를 섭취하는 방법도 다양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인 나물에 대한 기호도는 낮아지는 반면 다양한 채소를 이용한 쌈싸기와 녹즙, 생식등이 상업화되었으며, 채소전문식당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여러 형태의 채식주의도 나타나서 채식문화가 다양해짐을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채소 음식의 소비는 더욱 다양해질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우리가 과거에 섭취했던 산나물들의 효능과 함께 우리나라 전통 채소 음식의 조리방법에 대한 연구 및 보급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변화하고 있는 채소의 생산과 소비 현황에 대한 보다 정확한 통계자료의 수집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