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xylic acid

검색결과 705건 처리시간 0.034초

새로운 Quinolone 항균제 개발 연구

  • 함원훈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18-118
    • /
    • 1993
  • 퀴놀론 모핵의 합성은 기존에 알려진 합성 방법인 Could-Jacobs방법과 Bayer방법에 의해서 Intermediate로 사용된 7-chloro-1-ethyl-6-fluoro-1, 4-dihydro-4-oxoquinoline-3-carboxylic acid와 1-cyclopropyl-7-chloro-6-Fluoro-1,4-dihydro-4-oxoquinolne-3-carboxylic acid를 합성하였다. Heteroaromatic tin compound는 furan, thiophene, 3-bromopyridine, 2-fluoropyridine에 n-BuLi을 사용하여 metallation 한후 electrophile로 tributyltin chloride를 사용하여 2-tributylstannofuran, 2-tributylst-annothiophene, 3-tributylstannopyridine, 2- fluoro-2-tributylstannop-yridine을 합성할 수 있었다. 이상의 Intermediate와 tin compounds를 p-alladium 촉매하에서 반응시켜 1-ethyl-7-(2-furanyl)-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carboxylic acid (compound 3), 1-ethyl-7-(2-th-iophenyl)-6-fluoro-1,4-dihydro-4-oxo-3-quinol in carboxylic acid(compound 5), 1-ethyl-7-(3-pyridinyl)-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7), 1-ethyl-7-(2-fluoro-3-pyrid-nyl)-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9), 1-cyclopropyl-7-(2-furanyl) -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4), 1-cyclopropyl-7-(2-thiophenyl)-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6) ,1-cyclopropyl-7-(3-pyridinyl)-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8), 1-cyclopropyl-7-(2-fluoro-3-pyridinyl)-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 (compound 10)를 합성하였다.

  • PDF

무황변 Acrylic Urethane수지의 경화속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uring Rate of Non-Yellowing Type Acrylic Urethane Resins)

  • 서차수;박천욱
    • 공업화학
    • /
    • 제5권4호
    • /
    • pp.743-747
    • /
    • 1994
  • Acrylic urethane 수지의 경화반응에서 아크릴수지 중의 carboxylic acid 함유량과 dibutyltin dilaurate(DBTL)의 촉매 효과가 반응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얇은막의 상태에서 acrylic polyol과 지방족 isocyanate의 biuret화합물과의 경화반응은 2차식에 따른다. 그리고 acrylic polyol 중의 carboxylic acid의 양이 반응속도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며, isocyanate지에 대한 강한 촉매 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carboxylic acid를 함유하지 않은 acrylic polyol에 DBTL을 첨가하면 촉매효과가 많이 나타나지만, carboxylic acid를 함유한 acrylic polyol의 경우에는 그 효과가 적게 나타났다.

  • PDF

Regulation of 3-Deoxy-D-arabinoheptulosonate-7-phosphate (DAHP) Synthase of Bacillus sp. B-6 Producing Phenazine-1-carboxylic acid

  • Kim, Kyoung-Ja
    • BMB Reports
    • /
    • 제34권4호
    • /
    • pp.299-304
    • /
    • 2001
  • The 3-Deoxy-D-arabinoheptulosonate 7-phosphate (DAHP) synthase is the first enzyme of aromatic amino acid-, folic acid-, and phenazine-1-carboxylic acid biosynthetic pathways. DAHP synthase of Bacillus sp. B-6 that produces phenazine-1-carboxylic acid was feedback inhibited by two intermediary metabolites of aromatic amino acid biosynthetic pathways, prephenate and chorismate, but not by other metabolites, such as anthranilic acid, shikimic acid, p-aminobenzoic acid, and 3-hydroxyanthranilic acid. DAHP synthase of Bacillus sp. B-6 was not inhibited by end products, such as aromatic amino acids, folic acid, and phenazine-1-carboxylic acid. The inhibition of DAHP synthase by prephenate and chorismate was non-competitive with respect to erythrose 4-phosphate and phosphoenolpyruvate. Prephenate and chorismate inhibited 50% of the DAHP synthase activity at concentrations of $2{\times}10^{-5}\;M$ and $1.2{\times}10^{-4}\;M$, respectively The synthesis of DAHP synthase of Bacillus sp. B-6 was not repressed by exogenous aromatic amino acids, folic acid, and phenazine 1-carboxylic acid, single or in combinations.

  • PDF

할로겐과 카르복시산으로 치환된 피리딘 첨가제를 사용한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물성 평가 (Physical Properties Assessment of Soft Contact Lens with Halogen and Carboxylic Substituted Pyridine as Additive)

  • 김득현;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37-443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3-chloropyridine-4-carboxylic acid와 3-fluoropyridine-4-carboxylic acid를 첨가제로 사용하여 소프트 콘택트렌즈 제조 후 물리적 및 광학성 특성을 분석하여 콘택트렌즈 재료로서 활용도를 알아보았다. 방법: 본 실험에서는 소프트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의 주재료인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와 AA(acylic acid), MMA(methacrylic acid) 그리고 개시제인 AIBN(azobisisobutyronitrile), 교차결합제인 E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를 사용하여 공중합 하였다. 결과: 생성된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굴절률 1.4320~1.4342, 함수율 34.54~37.15%, 접촉각 $57.82{\sim}79.57^{\circ}$, 인장강도 0.2872~0.3608로 각각 나타났고 광학적 특성 측정 결과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투과율이 88.8~90.6%로 나타났으며, UV-B 76.8~82.4%, UV-A 84.6~86.6%로 각각 나타났다. 결론: 본 실험 결과 3-chloropyridine-4-carboxylic acid 및 3-fluoropyridine-4-carboxylic acid를 첨가제로 사용하였을 때 고습윤성 및 자외선 차단기능을 가진 콘택트렌즈 재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클로올레핀류의 오존 산화 반응에 의한 ω-formyl Carboxylic Acid의 합성 (Synthesis of ω-formal Carboxylic Acid by Ozone Oxidation of Cycloolefins)

  • 김봉만;양현수
    • 공업화학
    • /
    • 제5권4호
    • /
    • pp.646-656
    • /
    • 1994
  • Pyridine 촉매 존재하에서 고리형 올레핀류의 오존 산화 반응에 의해 ${\omega}$-formyl carboxylic acid를 합성하고 합성시 온도와 용매가 생성물의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사용한 시클로올레핀의 종류에 관계없이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alpha}$, ${\omega}$-dicarboxylic acid의 수율은 증가하는데 비하여 ${\alpha}$, ${\omega}$-dialdehyde은 감소하였다. 그리고 용매의 극성이 클수록 ${\omega}$-formylcarboxylic acid의 수율은 증가하였으며 원하지 않는 polymeric ozonide의 수율은 감소하였다. 반응온도 $0^{\circ}C$와 methylene chloride용매를 사용할 경우 cyclohexene, cyclooctene그리고 cyclododecene의 오존 산화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omega}$-formyl carboxylic acid의 수율은 각각 59.30%, 55.20% 그리고 36.72%이었다.

  • PDF

Carboxylic acid가 CuInS2/ZnS 반도체 나노입자의 광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boxylic Acid on Optical Properties of CuInS2/ZnS Semiconductor Nanocrystals)

  • 안시현;최규채;백연경;김영국;김양도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62-366
    • /
    • 2012
  • We report the effect of the chain length of carboxylic acid on the photoluminescence(PL) of $CuInS_2$/ZnS nanocrystals. $CuInS_2$/ZnS nanocrystals with emission wavelength ranging from 566 nm through 583 nm were synthesized with zinc acetate and carboxylic acids with various chain length. In this study, $CuInS_2$/ZnS nanocrystals prepared using long chain carboxylic acid showed more improved PL intensity. The origin of strong photoluminescence of the nanocrystals prepared with zinc acetate and long chain carboxylic acid was ascribed to improved size distribution due to strong reactivity between long chain carboxylic acid and zinc acetate.

코로나 방전처리와 그라프트 중합에 의한 카르복시산기의 기울기 표면 제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Gradient Surface of Carboxylic Acid Group Using Corona Discharge Treatment and Subsequent Graft Polymerization)

  • 김형우;이문철;박병기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23
    • /
    • 1994
  • Carboxylic acid group gradient surface where the density of carboxylic acid groups changes gradually along the sample length was prepared. Carboxylic acid group gradient surface was produced by the treatment of low density polyethylene sheet using a corona with gradually increasing power, followed by the grad polymerization of acrylic acid. The prepared gradient surface was characterized by the measurement of water contact angle,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in the attenuated total reflectance mode, and electron spectroscopy for chemical analysis.

  • PDF

상용성이 개선된 접착 증진제의 합성 및 이를 함유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특성분석 (Synthesis of Adhesion Promoters with Improved Compatibility and Properties of UV-Curable Adhesives Containing Adhesion Promoters)

  • 박정현;원종우;김주열;윤유정;권오형;황진상
    • 접착 및 계면
    • /
    • 제19권4호
    • /
    • pp.145-15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상용성이 개선된 접착 증진제를 개발하기 위해 malenized polybutadiene과 2-hydroxyethyl acrylate(HEA)의 반응을 통해 다양한 함량의 아크릴레이트 반응기와 carboxylic acid가 도입된 접착 증진제(PBC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접착 증진제는 maleic anhydride의 개환 반응을 통해 도입된 아크릴레이트 반응기와 carboxylic acid의 함량, 그리고 접착 증진제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접착 필름을 제조하고 제조된 접착 필름의 표면 특성, 접착력 등의 기계적 특성과 흡습 특성 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접착 증진제의 분자 내에 도입된 carboxylic acid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접착 필름의 접착력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기존의 상용화된 접착 증진제와 비교하여 기계적 물성 또한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분자 내에 소수성의 폴리부타디엔 주쇄와 친수성의 maleic anhydride 및 carboxylic acid가 동시에 존재함으로 인해 다양한 친수성 및 소수성 재료와의 상용성이 대폭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Acid Group이 도입된 TPV (Thermoplastic Vulcanizate)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기계적 물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echanical Properties of Thermoplastic Vulcanizate Containing Acid Group)

  • 김동호;김구니
    • 접착 및 계면
    • /
    • 제16권2호
    • /
    • pp.63-6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carboxylic acid group이 도입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과 동적 가교형 TPV (thermoplastic vulcanizate)계 열가소성 탄성체를 제조하였으며, 탄성체 분자구조 내 acid group의 도입에 따른 기계적 물성, 그립성, 데브리스, 접촉각 및 접착특성 변화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acid group이 도입된 경우 수소결합의 증가로 인해 기계적 물성과 wet slip 특성이 향상되었으며, 카르복시산에 의해 표면 극성이 증가되었기 때문에 접착력 또한 향상되었다. 그리고 acid group이 도입된 TPU를 사용해서 TPV를 제조한 결과 TPU 자체에 비해 감성특성과 데브리스(debris) 특성이 향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