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amel color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1초

시판 상면발효맥주의 관능 및 이화학 특성 분석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top-fermented beers)

  • 성세아;이승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5-43
    • /
    • 2017
  • 시판되는 상면발효맥주 12종에 대하여 5개의 외관, 9개의 향, 6개의 향미, 4개의 입안감촉에 대한 묘사용어를 개발하였으며, 묘사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제 상면발효 맥주의 주요 특성으로 알려진 다양한 과일향미, 쓴맛과 관련 향미 용어가 개발되어 향후 상면발효맥주의 관능검사에 주요 평가 용어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여겨진다. 또한 가용성 고형분, 총산도, pH, 환원당, 쓴맛 정도(B.U.), 탁도, 색도, 아미노산 함량, 총페놀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의 12가지 이화학특성을 분석하였다. 관능특성 항목과 맥주의 중요 지표인 이화학 특성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B.U., 총폴리페놀 함량, 총산도, 황색도, 가용성 고형분이 에일맥주의 주요 관능특성인 시트러스향, 파인애플향, 쓴맛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이러한 이화학적 분석 항목은 제품 개발 시 관능특성 분석과 더불어 주요 품질지표 항목으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여겨진다.

프랑스 와인품종 Syrah에 관한 연구: 북부 론 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Cepage of Syrah in France: focusing on Cote du Rhone Area)

  • 고종원
    • 국제지역연구
    • /
    • 제16권1호
    • /
    • pp.379-405
    • /
    • 2012
  • 프랑스에 근원을 두고 있는 쉬라(Syrah)품종은 현대의 와인매니아와 전문가들에 의해 강렬하면서도 과일향이 풍부하며 밀도가 높아 좋은 평가와 호응을 얻고 있는 품종이다. 시라/쉬라즈는 세계적으로 대중화되고 있으며 재배지역도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커지고 있다. 시라의 장점은 다양한 스타일의 와인을 만들 수 있다는 점, 따뜻한 지역이나 서늘한 지역이나 잘 자란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적응성이 좋다는 특성과 절제되면서도 화려한 성격이 와인매니아들의 관심을 크게 받게 된 결과로 사료된다. 프랑스 론지역은 시라를 재배하는 대표적인 지역이다. 특히 이 지역이 주목받고 있는 것은 강하고 풀바디한 와인이 세계의 주요한 전문가 및 평가단으로부터 호평과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시라는 색상이 잉크같이 진하다. 알코올은 높은 편이다. 아로마가 뚜렷하고 새로운 오크에 잘 적응한다. 특히 완전히 익었을 때 훌륭한 와인이 된다. 병입 후 숙성되면 카시스, 팬에 구운 육류, 가죽, 커피, 태운 고무, 갈색설탕, 캐러멜, 건포도 부케가 생성된다. 수천년의 역사를 지니고 세계의 와인가운데서도 강렬하며 스파이시하며 타닌성분이 강하고 숙성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향기가 오래 지속되며 맛이 강건한 특성을 지닌 시라의 스타일은 세계적인 호응을 얻고 있다고 하겠다.

증건 횟수에 따른 우엉의 이화학적 변화 및 관능적 특성 연구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urdock (Arctium lappa) During Repeated Steaming and Drying Procedures)

  • 이금양;손양주;전유호;강희진;황인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36-344
    • /
    • 2015
  • 우엉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재배가 쉬운 특징이 있어 각광받고 있으나, 아직은 가공 제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우엉과 같은 근채류의 일종인 인삼, 도라지, 더덕 등이 증숙 및 건조과정 의해 생리활성 성분이 증가된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증건 공정을 우엉에 적용하여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우엉의 활용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증건 우엉을 제조하기 위하여 증숙(3 h, $90-95^{\circ}C$)과 열풍건조(20 h, $60^{\circ}C$)를 9회 반복 수행하여 시료를 제조하였으며, 이화학적 특성, 항산화 활성 및 관능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분 함량(wet basis)의 경우, 81.95%의 함량을 보였으며, 증건함에 따라 감소하여 최종적으로 7.64%의 함량을 보였다. 일반성분 함량을 건량으로 환산한 결과, 생 우엉의 탄수화물 함량은 85.58%이었으며, 이후 점차 감소하여 9회 증건 시 77.80%의 함량을 보였다. 한편, 조섬유의 경우 0회 증건시 10.14%의 함량에서 가공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최종 9회 증건한 우엉에서 26.22%의 조섬유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의 함량은 초기 8.53%에서 점차 증가하여 9회 증건 우엉에서 16.69%의 함량을 보였으며, 조지방 역시 증건과정을 거침에 따라 증가하여 0회 증건 시 0.74%에서 9회 증건 시 1.72%의 조지방 함량을 나타내었다. 반면 회분 함량은 0회 증건 시 5.16%에서 9회 증건 시 3.79%로 감소하였다. 추출 수율은 생 우엉에서 68.95%이였으나 이후 감소하여 9회 증건 우엉에서 27.10%를 나타내었다. 총 수용성 당, 환원당, 이눌린 함량을 측정한 결과, 생 우엉은 총 수용성 당의 약 86%가 이눌린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증건 과정을 거침에 따라 열작용에 의해 이눌린이 분해되고 환원당이 생성되어 4-9회 증건 시료에서 총 수용성 당의 81-96%가 환원당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말색도의 경우, 명도는 초기 84.49에서 9회 증건 처리 시 39.41로 점차 감소하였으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4회 증건 처리 시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열수추출물의 갈색도는 7회 증건 처리 시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사포닌은 5회 증건 시료에서 6.17%의 최대 함량을 보였으며, 총 폴리페놀은 3, 5회 증건 처리 시료에서 약 18-19 mg GAE/g의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와 유사하게 DPPH, ABTS 자유라디칼 소거능과 FRAP활성에서도 3, 5회 증건 시료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생 우엉 및 초기 증건 시료에서 풋내, 뿌리채소 냄새, 쓴맛, 떫은, 금속성의 특성이 있었으나, 이후 증건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반면에 단 냄새, 구수한 냄새, 캐러멜 향미 및 바디감의 특성 정도가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생 우엉의 경우 이눌린의 생리활성 효과가 기대되며, 3-5회 증건한 우엉에서는 총 폴리페놀 및 사포닌 함량의 증가로 인한 높은 항산화 활성과 단맛을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우엉 증건 횟수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변화 및 관능적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우엉의 이용 가능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