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mbial zon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춘천지역에서 생장하는 주요 수종의 연륜형성(I) - 형성층 활동기간에 관하여 - (Annual Ring Formation of Major Wood Species Growing in Chuncheon, Korea(I) - The Period of Cambium Activity -)

  • 권성민;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4호통권132호
    • /
    • pp.1-8
    • /
    • 2005
  • 춘천지역에서 생장하는 주요수종의 생장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형성층 분열기 및 형성층의 휴지기를 조사하였다. 소나무와 잣나무는 3월 중순~하순에 형성층 활동이 시작되었다. 5월 하순에서 7월 중순 사이에 형성층 세포의 분열이 활발하였고, 이 때 잣나무의 세포 수가 소나무의 세포 수보다 크게 증가하였다. 환공재인 신갈나무와 아까시나무의 형성층 분열은 3월 중순경에 개시되었으며 동시에 도관 형성이 시작되었다. 산공재인 층층나무와 산벚나무의 형성층은 4월 초에 분열을 개시하였고 도관은 이보다 1~3주일 늦게 형성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형성층 활동이 멈추는 시기는 침엽수 11월 초순경, 활엽수 10월 중순경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형성층의 활동은 동일한 환경조건에서도 수종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이토그램을 이용한 월악산 기후요소, 토양환경 및 수목생장 장기간 모니터링 (Long-Term Monitoring of Climatic and Soil Factors, and Tree Growths in Worak Mountain Using Phytogram System)

  • 박원규;서정욱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1-107
    • /
    • 2000
  • Phytogram을 이용하여 월악산에 자라는 침엽수류의 비대생장과 형성층의 전기화학적 활성을 기온, 토양수분, 토양온도, 광량 등과 함께 1996년 5월부터 1998년 10월초까지 28개월간 1시간 간격으로 연중 모니터링 함으로써, 이들 수목의 생장에 관여하는 기후인자를 추출하여 연륜을 이용한 고기후 복원과 기후변화(온난화와 강수량 변화)에 따른 수목생장 예측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Phytogram은 미세전극을 식물체의 사부와 목부 사이에 삽입하여 형성층에서의 산소, 수소이온, 수분을 측정하는 전기화학적 시스템으로 운용되는 기기로서 토양수분, 토양온도, 기온, 광량 등 환경조건과 수목의 비대생장을 기록할 수 있었다. 직경생장개시 시기는 낙엽송,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순이었다. 3 수종 모두 생장초기 생장속도가 빠르며 이때의 환경조건이 이들 수종의 생장량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즉 장마철 이전(5월과 6월)의 수분조건이 생장량을 가장 크게 좌우하였다. Dendrometer(직경생장)와 proton(수소이온)은 증산작용에 의해 아침부터 오후까지 감소하여 16시에 최저가 되고, hydration(수분)은 아침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6시에 최대가 되었다.

  • PDF

증산법에 의한 잣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목부내 염료침투 (Dye Penetration into Xylem of Pinus koraiensis and Larix leptolepis by Transpiration Method)

  • 전수경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9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od anatomy and the water flow path in P. koraiensis and L. leptolepis. through the experiment of penetration of the dye solution.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permeating 1% acid, alkali and direct solution into the xylem just after being cut.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In P. koraiensis and L. leptolepis, the dye solution penetrated into sapwood and annual rings adjacent to cambial zone were only dyed according to ascent of tree height. 2. The penetrability of latewood was better than that of earlywood. 3. In P. koraiensis and L. leptolepis, the main water flow path in longitudinal direction was the trachied and that in transverse direction was ray trachied and ray parenchyma. Also, the dye solution was found in resin canal. 4. P. koraiensis was more permeable than L. leptolepis. 5. Among the acid, alkali and direct dye solution, the acid dye solution was the most permeable.

  • PDF

Demethylchlorotetracycline이 백서의 관상봉합 발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 OF THE METHYLCHLOROTETRACYCLINE ON GROWTH OF CORONAL SUTURE IN RATS)

  • 이준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13
    • /
    • 1980
  • To study some informations on the morphogenesis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coronal suture in rats, the author performed daily oral administrations of demethylchlorotetracycline, a kind of tetracycline group, in the amount of 30mg/kg of body weight to the female rats from the 7th day of pregnancy to the time of delivery. Microscopic evaluation was undertaken on the fetal ra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ubject of this experiment were defined to the fetal rats of each group at 1st, 3rd, 7th and 14th day after birth. All these fetal rats were sacrificed and the heads were removed. All the tissue sections were fixed with $10\%$ formalin, Bouin' and Carnoy' solution and then stained by Hematoxylin-Van Gieson stain, or Feulgen and Rossenbeck, Periodic acid Schiff, and prepared for alcian blue rea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irections of osteogenic fibers were arranged irregulary during first 3 days, but after the 7th day they tended to change radial directions like control group. 2. The density of deep stained cells by Feulgen-Rossenbeck reaction were shown leu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in first 3 days, but there was shown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after the 7th day. 3. PAS reaction in early stage was generally negative in the experimental group unlike as in the control group, but diffuse reaction was observed in the loose middle zone like as in the control group after 14th day. 4. Alcian blue reaction was negative in cambial zone, and slightly positive in uniting zon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early stage. After 14th day, however, there was observed a tendency of moderately positive reaction.

  • PDF

잣나무 가도관(假導管)의 벽공(壁孔) 분포(分布)의 변이(變異)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Pits on the Tracheid in Pinus koraiensis)

  • 이승환;이성재;이원용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4호
    • /
    • pp.60-63
    • /
    • 1993
  • In the present paper, we discribed distributions patterns of pits on the tracheids of Pinus koraiensis. The number of bordered pits on a tracheid is more numerous than that of cross-field pittings. And they appeared different in the number depending on the shape and size of tracheids. Both pit and cross-field pitting on a tracheid is fewer in number near the pith. The number of bordered pits on the tracheid increased rapidly from pith toward cambial zone but that of cross-field pittings increased gradually. The number of bordered pit and corss-field pitting is more frequent in the first-formed tracheid, and the number of bordered pit decreased rapidly from earlywood to latewood but that of corss-field pittings decreased gradually. Bordered pits on a tracheid are more numerous at the end of tracheids and cross-field pittings occur more frequently in the center part of a tracheid.

  • PDF

지리산 천왕봉지역 구상나무의 연륜기후학적 해석 (A Dendroclimatic Analysis on Abies koreana in Cheonwang-bong Area of Mt. Chiri, Korea)

  • 박원규;서정욱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5-33
    • /
    • 1999
  • 지리산 천왕봉 아고산 지역 (해발 1,600∼l,700m)에 자라는 구상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와의 관계를 북사면(장군봉)과 남사면(중봉)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각 지역에서 10여 본에서 생장편을 임목당 2개씩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코어는 크로스데이팅후 연륜폭을 측정하여 얻어진 연륜시리즈(연대기)를 표준화한 후, 기후인자(월강수량과 월평균기온)와 연륜생장과의 관계를 반응함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반응함수로 즉 월기후인자로 연륜연대기 총변동의 45.9∼53.8%를 설명할 수 있었다. 강수와 연륜생장과의 관계는 중봉과 장군지역 모두에서 3∼5월, 8월에 대해 정의 관계를 보이고 2월과 7월에 대해서는 부의 관계를 나타내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기온에 대한 관계는 남사면에 위치한 구상나무가 북사면에 위치한 구상나무에 비해 2월과 8월에서 높은 부의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4월 기온과는 두 지역 모두 유의한 정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두 사면지역의 구상나무 연륜생장과 기후와의 관계는 전체적으로는 큰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아한대 수종의 연륜생장이 강수보다는 기온에 민감하여 월기온과 대체로 정의 관계를 갖는 반면에 지리산 구상나무의 경우는 기온과 부의 관계를 갖는 경향이 크며 강수의 영향 특히 봄기간 동안의 수분수지가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구상나무 연륜과 기후와의 유의한 관계를 이용하여 향후 소빙기를 포함하는 장기간의 고기후를 복원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