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endula officinali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Analysis of Plant Type and Color Preference and Psychological Assessment for Gardening Activities of Firefighters

  • Jang, Hye Sook;Yoo, Eunha;Kim, Jeong Hee;Jeong, Sun-Jin;Kim, Jae Soon;Ryu, Doo You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21-535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plant type and color preference and conducted a psychological assessment for gardening activities of firefighters in a high-risk occupational group.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117 firefighters aged 39.01±9.17 in Sunchang in March 2020 to examine their preferences in plant type and color and conduct a psychological assessment of firefighters on gardening activities. Results: For plant experience and awareness, plant-related event showed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plant preference tendency and plant growing experience. The level of plant gardening activities was higher among older age and higher job pos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with WHOQOL-BREF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life was higher among the 20s-30s than 50s, firefighter position than fire lieutenant or higher, those with higher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singles group than married (p < .05). The administration group showed lower scores than the fire suppression group working in the field,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Most firefighters showed high preference for herbal plants among the 12 types of flowering plants, in the order of Rosmarinus officinalis>Lavandula spp.>Mentha piperita, Calendula officinalis. Pelargonium spp. was preferred the least out of the flowering plants, Lycopersicon esculentum was preferred the most out of 12 types of vegetable plants, while Angelica acutiloba was preferred the least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the preference of plant colors, yellow was the most preferred color, followed by white, blue, orange, red, and green,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the psychological survey responses of emotion words toward 6 plants colors, it was found that 'bright' was the emotion felt most strongly by the white, yellow, and orange groups, 'calm' and 'comfortable' by the green and blue groups, and 'fancy' by the red group. Conclusion: The effect of agro-healing programs can be increased by using mostly yellow plants when creating indoor healing gardens at the workplaces of fire officials in a high-risk occupational group, and using herbal plants and Lycopersicon esculentum in the gardens for agro-healing activities.

종이 소각재의 육묘상토(育苗床土)에 대한 산도교정(酸度矯正) 효과(效果) 연구(硏究) (Effects of paper ash on the neutralization of nursery soil acidity)

  • 김찬용;이동훈;박노권;김종수;서영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58-261
    • /
    • 2001
  • 제지부산물인 종이소각재의 산도교정 효과와 적정 혼합비율을 구명하기 위하여 산도가 다른 두 육묘상토를 사용하여 개량제 혼합비율별로 발아율, 생육상황 및 시험전후 토양의 이화학적인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이소각재는 pH가 11.4로 강알카리성이었으며, 중금속 함량은 부산물 비료의 규제농도 보다는 낮았다. 2. 처리별 발아 및 묘의 생육은 배합토에서는 종이소각재를 0, 5% (v/v)혼합시 발아율이 높았고, 후기생육은 10% (v/v) 혼합이 가장 좋았다. 피트머스의 경우는 소각재 5% (v/v) 혼합율이 높았고, 생육은 10, 15% (v/v) 혼합시 가장 양호하였다. 3. 개량제 혼합 비율별 육묘상토의 이화학적 변화정도는 배합토와 피트머스 모두 종이소각재 처리가 소석회보다는 산도교정 정도는 낮았으나 산도교정 효과는 인정되었으며, 혼합비율이 높을수록 유기물 함량은 적었고, 치환성 양이온의 함량은 많았다. 4. 육묘상토의 중금속함량은 피터머스와 종이소각재를 혼합한 경우 그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크롬 (Cr)의 경우 토양오염 우려기준치 보다 높았다.

  • PDF

장기재배 시험에 의한 중금속 오염토양의 식물정화 (Phytoremediation of Soils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 by Long-Term Cultivation)

  • 정구복;김원일;이종식;김경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1-37
    • /
    • 2002
  • 중금속 오염토양에 대한 식물학적 복원에 적합한 식물종 탐색을 위하여 수목류 5종, 화훼류 2종 및 잔디를 대상으로 제련소 인근 중금속 오염지 포장에서 3년간 재배하여 연차별로 식물중에 흡수된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였다. 식물의 건물중은 양황철, 팽나무, 적단풍, 사철나무, 회양목 순이었고, 연차별 건물중의 증가도 팽나무, 양황철, 적단풍이 높게 나타났다. 식물의 중금속은 지하부가 지상부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식물중 회양목은 뿌리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공시식물의 3년차 총 흡수량은 카드뮴이 양황철, 팽나무, 단풍나무, 구리가 팽나무, 양황철, 회양목, 납이 양황철, 팽나무, 단풍나무, 비소가 회양목, 단풍나무, 양황철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식물의 건물중과 중금속 흡수량을 볼 때 양황철, 회양목, 단풍나무 및 팽나무 등이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 대한 정화 식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화훼류(花卉類)에 대한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Pseudomonas marginalis pv. marginalis, Pseudomonas viridiflava의 병원성(病原性) (Pathogenicity of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Pseudomonas marginalis pv. marginalis and Pseudomonas viridiflava to Flowering Plants in Korea)

  • 최재을;안병규;한광섭;김한용
    • 농업과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9-17
    • /
    • 1990
  • 화훼류(花卉類)에 대한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Pseudomonas viridiflava와 Pseudomonas marginalis pv. marginalis 세 균주(菌株)의 기주범위(寄主範圍)를 알기 위하여 국내(國內) 주요화훼류(主要化卉類) 35종류(種類)에 자침접종(刺針接種)과 분무접종(噴霧接種)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식물(植物)에 병원성(病源性)이 있었다. 1. E. c. subsp. carotovora(자침접종(刺針接種)) : 국화과(菊花科)의 국화(菊花), 아게라텀, 과꽃, 백일홍, 다알리아, 금잔화, 코스모스, 루드베키아, 석죽과(科)의 카네이션, 안개초, 협죽도과(科)의 빈차, 비릅과(科)의 색비름, 천일홍, 현삼과(科)의 금어초, 마편초과(科)의 버어베나, 한련과(科)의 한련화, 광대나물과(科)의 셀비어, 추해당과(科)의 베고니아, 붓꽃科(과)의 글라디올러스, 아이리스, 칸나과(科)의 칸나, 앵초과(科)의 시클라벤, 수선과(科)의 군자란, 십자화과(科)의 꽃양배추. (분무접종(噴霧接種)) : 석죽과(科)의 카네이션, 협죽도과(科)의 빈카, 비름과(科)의 색비름, 현삼과(科)의 금어초, 한련과(科)의 한련화, 붓꽃과(科)의 글라디올러스, 칸나과(科)의 칸나, 앵초과(科)의 시클라벤. 2. P. viridiflava(자침접종(刺針接種)) : 국화과(菊花科)의 국화(菊花), 아게라텀, 과꽃, 금잔화, 코스모스, 루드베 키아, 석죽과(科)의 카네이션, 안개초, 협죽도과(科)의 빈카, 비름과(科)의 맨드라미, 현삼과(科)의 금어초, 한련과(科)의 한련화, 가지과(科)의 페츄니어, 추해당과(科)의 베고니아, 붓꽃과(科)의 글라디올러스, 칸나과(科)의 칸나, 앵초과(科)의 시클라멘, 수선과(科)의 군자란, 십자화과(科)의 꽃양배추. (분무접종(噴霧接種)) : 한련과(科)의 한련화, 붓꽃과(科)의 글라디올러스, 칸나과(科)의 칸나, 앵초과(科)의 시클라멘. 3. P. m. pv. marginalis(자침접종(刺針接種)) : 국화과(菊花科)의 매리골드, 아게라텀, 백일홍, 금잔화, 코스모스, 석죽과(科)의 패랭이꽃, 안개초, 카네이션, 비름과(科)의 색비름, 밴드라미, 현삼과(科)의 금어초, 마편초과(科)의 버어베나, 협죽도과(科)의 빈카, 한련과(科)의 한련화, 가지과(科)의 페츄니어, 추해당과(科)의 베고니아, 붓꽃과(科)의 글 라디올러스, 아이리스, 칸나과(科)의 칸나, 앵초과(科)의 시클라벤, 수선과(科)의 군자란, 십자화과(科)의 꽃양배추. (분무접종(噴霧接種)) : 한련과(科)의 한련화, 붓꽃과(科)의 글라디올러스, 칸나과(科)의 칸나, 앵초과(科)의 시클라멘.

  • PDF

조경식물의 식재와 이용 - 원주시와 횡성군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Planting and Use of Landscaping Plants - Focused on Weonju and Hoengseong -)

  • 원종화;정진형;김창섭;이기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34-5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원주시와 횡성군내에 식재 활용 되고 있는 조경 식물의 이용 상황을 조사 분석하여 현재 어떠한 식물이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를 파악함으로서 그 이용방법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아울러 원주시와 횡성군의 아름다운 경관 형성을 위한 관리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