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cium carbonate content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5초

탄산칼슘 처리에 의한 개량머루주의 감산 특성 (Characteristics of Gaeryangmerou Wine deacidified by Calcium Carbonate)

  • 김찬우;전진아;강지은;최한석;여수환;정석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59-564
    • /
    • 2016
  • 본 연구는 탄산칼슘 처리농도(0.1, 0.2 and 0.3%)에 따른 개량머루주의 감산 특성을 검토하였다. 탄산칼슘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처리 2일째 총산함량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이후 기간에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1차 앙금분리와 숙성 중에는 총산이 정상적으로 감소되는 반면, 발효 중에는 약 30%로 효율이 낮았다. 또한 탄산칼슘 처리농도가 많을수록 pH가 상승하기 때문에 적색도가 낮아져 와인이 보랏빛을 나타냈으며,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다소 감소하였다. 알코올과 탄닌 함량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탄산칼슘 처리에 따라 소폭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량머루주의 주요 유기산 중 주석산은 탄산칼슘과 반응하여 처리농도에 비례하게 감소되었으며, 그 결과 총산 함량의 감소로 이어졌다. 기호도 평가에서 와인의 색은 탄산칼슘 처리농도가 많을수록 대체적으로 낮은 선택률을 보였고, 무게감과 이미는 높은 선택률을 나타냈다. 탄산칼슘 0.1% 처리구가 신맛과 전반적인 기호성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탄산칼슘 처리농도가 많아질수록 개량머루주의 총산은 감소되어 신맛을 저감화시키지만 와인의 품질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0.1% 이내의 탄산칼슘 처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Sediments of the Continental Shelf off the Southern Coasts of Korea

  • Park, Yong Ahn;Song, Moo Young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6-24
    • /
    • 1971
  • Over 40 bottom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southern sea of Korea. The detailed textural characteristic of the sediments, percent calcium carbonate and heavy and light mineralogy were determined. Seaward of these sediments is a nearly broad belt of sandy sediments. In a broad outline it is considered to constitute a near-shore deposits left from a Pleistocene time of eustatically lowered level of sea water, because the sediments on the outer half of the continental shelf are much coarser than that nearer shore. The carbonate content increases strongly to the southeast and northwest of Cheju Island. It is believed that the high calcium carbonate content can be largely attributed to the availability of carbonate materials.

  • PDF

폐 굴껍질 이용 침강성 탄산칼슘 제조에서 교반속도와 첨가제가 Vaterite 함유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gitation and Additive on the Vaterite Contents of 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 from Oyster Shell Waste)

  • 박영철
    • 청정기술
    • /
    • 제29권2호
    • /
    • pp.95-101
    • /
    • 2023
  • 폐굴껍질을 원료로 vaterite 형 침강성 탄산칼슘 제조 실험을 하였다. 굴껍질을 800℃의 온도에서 산화칼슘이 주성분인 소성 굴껍질을 제조하였다. 이 굴껍질을 질산이나 염산 용액에 녹여 0.1 M 질산칼슘이나 염화칼슘 수용액을 만들고, 여러 실험 조건에서 0.1 M 탄산나트륨 수용액과 탄산화 반응을 시켰다. 실험 조건은 aspatic acid 첨가량, 반응온도, 교반속도, NH4OH 첨가량, 반응시간, 용해 산 종류 등이다. XRD, SEM, Size 분석을 하고 vaterite 함유량을 계산하였다. 25℃, 600 rpm, aspatic acid 0.1몰/ 1몰 CaO과 2 cm3의 NH4OH를 첨가한 최적 조건에서 1시간 반응에서 vaterite 함유량 95.9%의 구형의 침강성 탄산칼슘을 합성하였다. 평균 입경은 12.11 ㎛이었다. 고 vaterite 함유 탄산칼슘은 의료용, 식용, 잉크첨가제 등 고부가가치 탄산칼슘으로 활용된다.

서태평양 심해 원양성 퇴적물의 탄산염 함량 변화 (Variation Calcium Carbonate Content in Deep-Sea Pelagic Sediments of the Western Pacific Ocean)

  • 김부근;김여훈;김형직;형기성;유찬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2권1호
    • /
    • pp.15-22
    • /
    • 2010
  • Calcium carbonate ($CaCO_3$) content was measured from 3 box core (BC060301, BC060303, BC070301) sediments, in addition to pilot core (PC313) sediments, from deep waters within the Western Pacific Ocean. At the two collection sites (BC060301, PC313) located close to the equator, downcore variation exhibited low $CaCO_3$ content during the interglacial period and high $CaCO_3$ content during the glacial period. Variation of coarse fraction (>$63\;{\mu}m$) content also followed changes in $CaCO_3$ content, indicating that dissolution effect of bottom water decreased during the glacial period. Such variation pattern is typical of the Pacific Ocean. However, downcore variation at the two collection sites (BC060303, BC070301) in the Philippine Sea contrasted the trend of the previous two cores (i.e., high $CaCO_3$ content during the interglacial period and low during the glacial period). This pattern is typical of the Atlantic Ocean. Such results may be attributed to the increasing dilution effect, initiated possibly by the increased transportation of terrigenous materials from nearby continent and archipelago during the glacial period when sea level was low.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hat the non-carbonate biogenic particles may have been responsible for dilution. Because of these uncertainties, the record of $CaCO_3$ variation in the deep Western Pacific Ocean is not regionally consistent.

Ammonium Chloride Process 및 Ammonium Nitrate Process를 이용한 고순도 탄산칼슘의 제조 (Preparation of Calcium Carbonate with High Purity by using Ammonium Chloride Process and Ammonium Nitrate Process)

  • 강미숙;소관순;신동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03-208
    • /
    • 2004
  • 꼬막, 참굴, 바윗굴 및 가리비 등 폐기되는 몇 종의 패각류를 이용하여 칼슘 보강용 식품 첨가제의 원료로써 사용 할 수 있는 고순도의 탄산칼슘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꼬막 패각을 $900^{\circ}C$에서 5시간 회화한 회화분의 칼슘 함량이 $64.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리비 $62.5\%$, 참굴 $62.4\%$, 바윗굴 $61.5\%$ 순이었다 백색도는 가리비 패각 회화분의 경우 81.6-85.8로서 패각류 중 가장 높았다. 꼬막 패각 회화분$(Ca\;39.92\%)$에 ammonium chloride process(ACP)와 ammonium nitrate process(ANP)법을 적용하여 제조한 $CaCO_3$의 Ca 함량은 $40.03-40.04\%$로 높아졌고, ANP법에 의해 제조한 pH 조정 시료의 경우가 $40.04\%$로서 가장 높았으며, 이 방법들에 의해 불순물이 거의 대부분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CP법과 AMP법에 의해 제조한 $CaCO_3$의 백색도는 101.0-101.5로 매우 우수하였으며, 칼슘보강용 식품첨가제로서 사용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EVA 에멀젼의 내수성 및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금속 이온 가교제의 효과 (Effect of Metal Ionic Crosslinking Agents on the Water Resistance and Mechancial Properties of EVA Emulsion)

  • 이은경;최세영
    • 접착 및 계면
    • /
    • 제9권2호
    • /
    • pp.24-3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EVA 에멀젼에 내수성 및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금속 이온 가교제인 calcium hydroxide 및 magnesium carbonate를 사용하여 이온성 가교결합을 도입하였다. EVA 에멀젼 필름의 가교밀도, 열적특성, 표면자유에너지 그리고 인장강도, 파단신율 및 인열강도 특성을 고찰하였다. 금속 이온 가교제 양이 증가함에 따라 EVA 에멀젼의 가교밀도는 증가하였고, 이에 내수성과 $T_g$ 값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EVA 에멀젼 필름의 표면에너지 및 기계적 특성들은 다소 다른 거동을 보였다. Calcium hydroxide 0.4% 그리고 magnesium carbonate 0.5%를 첨가한 경우가 EVA 에멀젼에 강한 이온성 가교결합이 형성되어 가장 높은 표면 자유에너지 값과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를 보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calcium hydroxide 및 magnesium carbonate와 같은 금속 이온 가교제가 EVA 에멀젼의 내수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 PDF

칼슘첨가 녹차마늘 페이스트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reen Tea Garlic Paste added Calcium)

  • 손찬욱;전미라;김민희;김미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76-881
    • /
    • 2008
  • 마늘 고유의 독특한 맛과 냄새로 인한 관능적 품질 저하로 식품산업에서 마늘의 활용성 감소를 개선하고, 현대인의 부족한 칼슘섭취를 보완해 줄 영양성과 기능성을 더욱 부각시킨 마늘 식품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녹차, 숯과 마늘을 고온고압 가열처리한 뒤 탄산칼슘, 젖산칼슘, 구연산칼슘, 칼슘믹스, 칼슘파우더를 2% 첨가하여 칼슘첨가 녹차마늘 페이스트를 제조한 후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 및 항산화성을 평가하였다. 탄산칼슘, 칼슘믹스, 칼슘 파우더를 첨가했을 때 pH 증가와 적정산도의 감소폭이 커졌으며, 점도 역시 칼슘을 첨가했을 때 높아졌다. 당도는 칼슘 첨가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색도는 명도, 적색도, 황색도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증가 하였다(p<0.05). DPPH radical 소거능 및 Hydroxyl radical 소거능에 대한 항산화 활성에서는 칼슘을 첨가했을 때 증가하여 칼슘이 산화를 방지해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7점 척도법으로 마늘맛과 마늘 냄새 특성에 대한 강도검사를 실시한 결과 마늘 냄새에 있어서는 대조구가 5.3점, 탄산칼슘 2.6점, 젖산칼슘 3.2점, 구연산 칼슘 2.2점, 칼슘 믹스 4.3점, 칼슘파우더 4.1점이며, 마늘 맛에 있어서는 대조구가 5.1점, 탄산칼슘 3.0점, 젖산칼슘 3.5점, 구연산 칼슘 3.2점, 칼슘믹스 3.5점, 칼슘 파우더 3.4점으로 나타나 탄산칼슘과 구연산 칼슘을 첨가 했을 때 마늘의 고유의 매운 맛과 향이 적게 느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칼슘첨가 녹차 마늘 페이스트는 관능적 품질과 기능성을 높인 마늘첨가 가공제품의 개발에 있어서 유용한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칼슘급원별 수관살포가 사과 과실의 칼슘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Calcium Salt Spray on Calcium Accumulation into Apple Fruits (Malus domestica Borkh.))

  • 최종승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49-54
    • /
    • 1993
  • 사과나무에 대한 칼슘용액의 수관살포 시 칼슘염의 종류에 따른 과실 내 칼슘함량증가효과를 구명하고 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CaCl_2$, $CaCO_3$, Ca$(CH_3COO)_2$ 및 Ca$(NO_3)_2$ 등의 칼슘염을 수관살포한 결과 "쓰가루" 품종에는 Ca$(NO_3)_2$, $CaCl_2$$CaCO_3$, 그리고 "후지" 품종에는 $CaCl_2$$CaCO_3$가 과실의 칼슘함량증가에 효과적이었다. 수관살포에 의하여 과실로 흡수된 칼슘은 과피와 과피직하의 과육에 국한되었다. Ca$(CH_3COO)_2$를 살포한 과실은 저장 중에 에틸렌 발생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 PDF

세척조건이 직물에의 Calcium 침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aundering Conditions on Calcium Deposition on the Fabric)

  • 문영애;강혜원;김성련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14
    • /
    • 1981
  • The influence of laundering conditions on calcium deposition on the fabric was studied by repeated laundering the cotton fabric with soap in the hard water of 200 P.P.M. $CaCO_3$. The experimental variables were: 1) soap concentrations ($0.06\%$, $0.13\%$, $0.25\%$), 2) water contents in the fabric after hydroextraction. ($65\%$, $150\%$, $315\%$), 3) builders (Na-EDTA, sodium carbonate, sodium metasilicate), 4) washing cycle (5, 10, 15, 20 cycles). The fabric was washed for 15 minutes at $23\pm1^{\circ}C$ in a washing machine (Model; Gold Star Wp-2005) under the similar conditions with those of home laundering, and rinsed 5 times for 5 minutes. The amount of calcium deposits on the fabric was determined by the EDTA-Back titration method described by Wasserman and Basch.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1) The amount of calcium deposits on the fabric increased with increasing wash cycles. 2) During the rinsing process, residual calcium content on the fabric increased with water content in the fabric after hydroextraction. 3) The amount of calcium deposits on the fabric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soap concentration above the equivalent amount of calcium ion content in the water. 4) Sequestering agents and alkaline builders influenced the amount of calcium deposits on the fabric. The amount of calcium deposits on the fabric was in the order of sodium metasilicate, sodium carbonate, nonbuilder, and EDTA.

  • PDF

베링해 중부 대륙사면 지역의 지난 65,000년 동안 탄산염 함량 변화와 Dansgaard-Oeschger 사건들 (Variation of Calcium Carbonate Content and Dansgaard-Oeschger Events in the Continental Slope of the Central Bering Sea during the Last 65 Kyr)

  • 김성한;김부근;;신혜선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0권3호
    • /
    • pp.215-224
    • /
    • 2008
  • A piston core (MR06-04 PC23A) collected from the northern continental slope in the central Bering Sea has recorded the high-resolution millennial-scale variation of calcium carbonate ($CaCO3$) content during the last 65 kyr. An estimation of the age of the core sediments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lithologic correlation of the deglacial laminated layers with a neighboring core (HLY02023JPC), complementing the last appearance datum of both Lychnocanoma nipponica sakaii (54 kyr) and Amphimelissa setosa (85 kyr). The probable age of core MR06-04 PC23A was approximately younger than 65 kyr. Two distinct events of a significant increase of $CaCO3$ in the deglacial laminated sediments clearly correspond to MWP1A and MWP1B in the Bering Sea (Gorbarenko et al. 2005) and to T1ANP and T1BNP in the North Pacific (Gorbarenko 1996). These pronounced peaks of $CaCO3$ contents result from the elevated carbonate production in the surface water and the subsequent weakened dilution due to terrestrial input, along with an enhanced oxygen minimum zone. The $CaCO3$ contents are low (${\sim}2%$)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mainly because of a low carbonate production caused by an expanded sea-ice cover and an increased dilution by terrigenous particles due to their closer distance to the continent during the sea-level low stand. The occurrence of seven distinct $CaCO3$ peaks in core MR06-04 PC23A is remarkable during MIS 3 and MIS 4, and they most likely correlate to the short-term millennial Dansgaard-Oeschger ev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