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ffeine addictio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6초

The Relationships between Addiction to Highly Caffeinated Drinks, Burnout,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Bae, Eun Ju;Kim, Eun Bi;Choi, Bo Ram;Won, Sun Ho;Kim, Ji Hwan;Kim, Sun Min;Yoo, Hyun Jeong;Bae, Sung Man;Lim, Myung Ho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0권4호
    • /
    • pp.153-160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ddiction to highly caffeinated drinks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depression, anxiety,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burnout, self-esteem, impulsiveness in high caffeine drink addiction risk group (high caffeine group). We also compared these mental health factors differences between the high caffein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investigated the relative risk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high caffeine group.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Korea, from June 2015 to July 2016. A set of questionnaires was administered on 511 college students. Results: The participants who belonged to the high caffeine group were more likely to demonstrate the symptoms of ADHD and higher levels of burnout and impulsiveness. Further,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high caffeine group and burnout. Conclusion: These behavi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addicted to highly caffeinated drinks suggests the need for timely and effective interventions for those at risk of addiction.

카페인 중독이 20대 성인 여성의 심장호흡기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wenties Female Caffeine Addiction on Cardiorespiratory Capacity)

  • 윤영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97-20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20대 여성의 카페인 중독이 심장호흡기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 광역시 소재의 H 대학교 여학생 35명을 카페인 중독자(n=17)과 카페인 비중독자(n=18)가 참여하였다. 심장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이클 에르고미터를 사용하여 최대산소섭취량, 최대에너지소비량, METs를 측정하였으며, 호흡기계 능력은 파워브리드 K5를 사용하여 최대들숨압, 평균들숨압, 최대들숨유속, 평균들숨유속, 최대들숨량, 평균들숨량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심장능력에서 카페인 중독군은 카페인 비중독군에 비해 최대산소섭취량과 METs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호흡기계 능력에서는 카페인 중독군이 비중독군에 비해 최대들숨압, 평균들숨압, 최대들숨유속, 평균들숨유속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카페인 중독은 20대 여성의 심장호흡기계 능력의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20대 여성의 카페인 중독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파민 D$_1$과 D$_2$수용체 mRNAs의 발현에 미치는 카페인의 영향 (Influence of Caffeine on Dopamine D$_1$and D$_2$Receptor mRNAs Expression in Rat Brain)

  • 김근양;신지혜;김명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
    • /
    • 2001
  • The caffeine intake cause a local or wide ranges of convulsion and it is associated with release of dopamine (DA) receptors into the brain striatum. However, the effect of caffeine addiction on expression of DA receptors gene in the rat caudate-putamen (CPu), nucleus accumbens (NAc), and olfactory tubercle (OTu) has not been elucidat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caffeine addiction on DA D $_1$and D$_2$receptor mRNAs after the treatment of caffeine for four weeks. Using the specific antisense ribo-probes for DA D$_1$and D$_2$receptor cDNAs, in situ hybridization was performed on the CPu, NAc, and OTu of the adult male Sprague Dawely rats. In caffeine-treated group, DA D$_1$and D$_2$receptor mRNAs were highly increased in CPu, NAc, and OTu. The expression density of DA D$_1$receptor mRNAs were 2.52${\pm}$1.40 (CPu), 2.78${\pm}$1.69 (NAc), and 3.91${\pm}$1.28 (OTu) in control group and 7.76${\pm}$2.09 (CPu), 4.2 ${\pm}$1.85 (NAc), and 8.21${\pm}$1.72 (OTu) in caffeine-treated group. The expression density of DA D$_2$receptor mRNA was 2.32${\pm}$1.52 (CPu), 2.63${\pm}$2.11 (NAc), and 3.61${\pm}$1.43 (OTu) in control group, and 6.41${\pm}$1.82 (CPu), 6.89${\pm}$1.32 (NAc), and 6.82${\pm}$1.18 (OTu) in caffeine-treated group. DA D$_1$receptor mRNA was higher expressed than DA D$_2$ receptor mRNA in CPu and NAc.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ffeine reacts as a upregulator of the expression of DA D$_1$and D$_2$receptor mRNA among the neurotransmitters.

  • PDF

인천지역 여자고등학생의 에너지음료 섭취관련 요인 및 교육요구도 (Intake-related factors and educational needs regarding energy drinks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the Incheon area)

  • 박소현;이선화;장경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5호
    • /
    • pp.460-471
    • /
    • 2017
  • 본 연구는 인천지역 인문계 여자고등학생 340명의 에너지음료 섭취 실태, 카페인 중독 수준과 에너지음료 섭취에 관한 교육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학년, BMI와 카페인 중독 자가진단 결과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에너지음료를 알고 있는 대상자는 328명 (97.9%)이었고, 에너지음료 섭취 경험자는 249명 (74.3%)이었다. 에너지음료 섭취 경험자 249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에너지음료 첫 섭취 경험 시기는 학년과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p < 0.05), 1학년은 중학생과 초등학생 순으로, 2학년과 3학년은 중학생과 고등학생 순으로 에너지음료 첫 섭취 시기가 조사되었다. 에너지음료의 구입처는 집 근처 75.1%와 학교 근처 10.8%의 자판기와 편의점으로 나타났고, 에너지음료를 마신 후 느꼈던 효과는 대상자의 44.6%가 졸리지 않았던 반면 41.7%는 효과를 느끼지 못하였다고 답하였다. 그리고 에너지음료 섭취 후 부작용은 대상자의 24.5%가 가슴 두근거림, 현기증, 떨림, 설사 등의 부작용을 경험한 반면 75.5%는 부작용이 없었다. 에너지음료 섭취 경험자를 대상으로 카페인 중독 자가진단 결과, 카페인 중독 평균 점수는 0.9점 (8점 만점)으로 낮은 점수를 보이었으나 5점 이상의 카페인 중독군에 해당하는 대상자는 6명 (2.4%), 2~4점의 카페인 중독 위험군은 44명 (17.7%), 0~1점의 일반군은 199명 (79.9%)으로 조사되었다. 카페인 중독 점수는 BMI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저체중군 1.3점이 과체중군 0.6점에 비하여 카페인 중독 평균 점수가 높았다 (p < 0.05). 그러나 카페인 중독 점수에 따라 분류 된 세 그룹은 학년, BMI, 생활습관과는 유의적인 관련이 나타나지 않았다. 카페인 중독 점수에 따라 에너지음료 섭취 효과와 부작용은 유의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 0.001). 에너지음료 섭취 효과에 대하여 카페인 중독군과 일반군은 각각 83.3%와 36.7%가 졸리지 않았다고 한 반면 16.7%와 47.2%는 효과가 없었다고 하였고, 부작용이 나타난 경우는 카페인 중독군의 경우 83.3%이었으나 일반군은 16.6%가 부작용이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년에 따라 부모님 또는 선생님으로부터 에너지음료의 부작용에 대하여 들어본 적이 있는지 여부는 유의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 0.01). 그리고 카페인 중독 점수에 따라 에너지음료에 대하여 섭취를 줄이거나 중단 할 의향의 정도 (p < 0.001)와 에너지음료에 대한 영양교육의 필요성 (p < 0.05)은 카페인 중독군이 일반군 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전체 335명을 대상으로 올바른 에너지음료 섭취를 위해 요구하는 영양교육 내용은 에너지음료에 대한 부작용 59.7%, 카페인의 부작용 14.9%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천지역 일부 여고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제한점이 있으나, 인문계 여자고등학생의 학년, BMI와 카페인 중독 점수에 따른 에너지음료 섭취관련 요인과 에너지음료 관련 교육요구도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진 것에 의의가 있다. 청소년기의 건강한 식습관이 성인이 되어서도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여자고등학생의 에너지음료에 대한 올바른 섭취 방법과 카페인 함유 식품에 대한 위해성에 관한 영양교육 자료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활용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Green tea and type 2 diabetes

  • Park, Jae-Hyung;Bae, Jae-Hoon;Im, Sung-Soon;Song, Dae-Kyu
    •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 /
    • 제3권1호
    • /
    • pp.4-10
    • /
    • 2014
  • Green tea and coffee consumption have been widely popular worldwide. These beverages contain caffeine to activate the central nervous system by adenosine receptor blockade, and due to the caffeine, addiction or tolerance may occur. In addition to this caffeine effect, green tea and coffee consumption have always been at the center of discussions about human health, disease, and longevity. In particular, green tea catechins are involved in many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tion and modulation of various cellular lipid and proteins. Thus, they are beneficial against degenerative diseases, including obesity, cancer, cardiovascular diseases, and various inflammatory diseases. Some reports also suggest that daily consumption of tea catechins may help in controlling type 2 diabetes. However, other studies have reported that chronic consumption of green tea may result in hepatic failure, neuronal damage, and exacerbation of diabetes, suggesting that interindividual variations in the green tea effect are large. This review will focus on the effect of green tea catechins extracted from the Camellia sinensis plant on type 2 diabetes and obesity, and the possible mechanistic explanation for the experimental results mainly from our laboratory. It is hoped that green tea can be consumed in a suitable manner as a supplement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and obesity.

충남지역 일부 대학생의 성별과 비만도에 따른 에너지음료 섭취실태 및 인식 (Intake Status and Perception of Energy Drinks according to the Gender and Obesity of Some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 고갑금;김명희;이제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7-17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ake status of energy drinks, knowledge of caffeine and the perception on intake of energy drinks by university students. We surveyed 351 university students from October 25, 2017 to January 25, 2018. The subjects (70.9%) consumed energy drinks more than once. Male students consumed energy drinks more frequently than the female ones. A huge portion (68.3%) of the subjects consumed energy drinks to recover from fatigue and reduce sleepiness. Moreover, they consumed most of the energy drinks at home and the university library. The main anticipated efficacy of energy drinks was the relieving drowsiness. Respondents (86.3%) perceived that energy drinks could be hazardous to the health of human beings. The main risks of consuming energy drinks were sleep disorders, addiction problems and heart beating. The main recognized effects of energy drinks were relieved drowsiness and decreased fatigue. The major side effects were heart beating, nausea, vomiting, heartburn and sleeping disorders. This study suggests that nutritional education is needed to confirm the recommendation of daily intake for caffeine and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side effects of energy drinks.

대학생들의 커피에 대한 인식과 섭취행태가 효능 및 부작용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Efficacy and Side Effect on Awareness and Consumption Pattern about Coffee among College Students)

  • 장재선;홍명선;서화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75-282
    • /
    • 2016
  • Recently, increased caffeine intake has led to an increase in caffeine addiction and withdrawal symptoms. Coffee is surreptitiously consumed in as an additive to milk and caramel. There are few studies on how coffee affects the health of modern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icacy and side effects of coffee by awareness of coffee consumption patterns among college students, who are the principal consumer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11 to 17, 2015 and 302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pondents were 140 men (46.4%) and 162 women (53.6%). In terms of coffee additives, 151 (50.0%) respondents chose 'americano' and 111 (36.8%) 'variation'. The frequency of coffee intake and sleep time for college student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0.145 and significance probability of 0.019. The group that was 'positively' aware of the principal ingredients of coffee had a higher level of academic training than those with 'negative' awareness (p=0.000). Women recognized a larger number of side effects than men: 1.99 and 1.36, respectively, on average (p=0.001). 'Time for consump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side effects of coffee consumption: consumption before/after lunch, before/after supper and before going to bed led to 0.4 times (p=0.048) and 0.3 times (p=0.023) more side effects, respectively, than consuming coffee after getting up and before/ after breakfast. Excessive caffeine intake through coffee led to limited sleep time and poorer learning concentration. The guidelines for proper coffee consumption should be created to help students consume coffee properly so that it will not affect sleep, learning concentration or adversely affect health.

서울 지역 대학생의 고카페인 에너지음료 소비 실태 조사 (Survey on the High-Caffeine Energy Drink Consumption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 유현숙;심기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07-420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고카페인 에너지음료 실태 조사를 통해서 무분별한 고카페인 에너지음료 섭취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서울 지역의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고카페인 에너지음료 섭취 실태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의 성별은 남성은 35%, 여성은 65%인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으로 대학생 4학년이 38.3% 가장 많았으며, 한 달 평균 용돈은 50만원 이상 55.0%로 가장 많았고, 한 달 음료 구입비 73.0% 가장 많았다. 고카페인 에너지음료 섭취 경험은 전체 학생의 68.7%가 에너지음료를 마셔본 경험이 있었으며, 여성(63.6%)에 비해 남성(78.1%)이 에너지음료를 섭취한 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고카페인 에너지음료는 주로 공부할 때 마시는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성별에 상관없이 공부할 때에 가장 많이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고카페인 에너지음료의 섭취 횟수는 1~6회/년 미만이 가장 많았고, 여성은 남성에 비해 거의 마시지 않는다는 응답이 많았다(p<0.05). 고카페인 에너지음료 구입 장소로 편의점이 가장 많았으며, 고카페인 에너지음료에 대한 정보 경로는 TV나 라디오, 신문, 잡지 등의 광고를 통해 알게 된 학생이 가장 많았다. 고카페인 에너지음료 구매 시 영향 요인으로 '맛'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반응을 보였다. 고카페인 에너지음료 섭취 시 부작용과 문제점에서 에너지음료 섭취 후 심장 두근거림을 부작용으로 느낀 경우가 가장 많았고, 고카페인 에너지음료 섭취 시 문제점으로 중독 증상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카페인 에너지음료의 섭취에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최근 들어 에너지음료 섭취가 늘어나고 있는 대학생들이 에너지음료가 고카페인 음료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으면서도 공부를 위해서 이들 고카페인 에너지음료를 무분별하게 과량 섭취하는 것이 문제이므로 카페인 과량 섭취 시 부작용을 인식시키고, 올바른 에너지음료에 대한 구매와 구입법, 음용법 등을 알려서 계층별 카페인의 1일 섭취 허용량만큼만 섭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에너지음료의 카페인 함유량을 제한하고 효율적인 규제방안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현재 정부에서는 카페인 과량 섭취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식품 표시법'을 개정하여 '카페인 함유'라는 문구와 함께 고카페인 음료에 대해서는 카페인 함유량 표시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올해 1월 말부터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을 개정하여 학교내 매점이나 어린이 기호 식품 우수 판매 업소에서 에너지음료를 판매하지 못하게 하고, 특정시간대의 방송광고도 제한하도록 하고 있지만, 소비자 단체와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그 실효성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카페인 함유량 표시 의무화 외에도 정부 차원의 엄격한 규제 및 관리 방안을 통해서 고카페인 에너지음료의 카페인 함유량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규제방안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고카페인 에너지음료의 소비층이 청소년에서 어린이와 대학생, 직장인으로 확대되고 있는 현실에서 일부 취약계층에 대한 에너지음료 판매 제한뿐만이 아니라, 대학생이나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술집 등에서의 판매 증가와 주류와 섞어 마시는 등의 잘못된 음용 방법 개선을 위해 판매 장소와 판매 품목 제한과 같은 정부 차원의 보다 효과적인 규제 및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특히 한국소비자원의 조사 결과에서와 같이 에너지음료를 섭취한 적이 있는 대학생 중에 상당수가 알코올과 섞어서 마실 정도로 이러한 잘못된 음주 습관이 대학가의 음주 문화로 자립잡고 있으므로, 잘못된 음주 습관으로 인한 위험성을 적극적으로 알릴 필요가 있다. 또한 에너지음료와 같은 기호식품의 소비에 있어서는 소비자의 알 권리를 인식하고, 합리적으로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식생활 교육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도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