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bbages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3초

계절, 부분, 색의 영향에 의한 양배추의 유리 아미노산 함량 변화 (Effect of season, tissue position and color on content of amino acids in cabbage (Brassica oleracea))

  • 오일남;최승현;박수형;임용표;안길환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1호
    • /
    • pp.79-86
    • /
    • 2011
  •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 in cabbage cultivars originated from China and Korea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quality for taste and nutrition. The experimental variables were season (spring-sowing and fall-sowing), leaf position (inside and outside), and the cabbage color (green and red). Eighteen free amino acids were detected at the range of 0-38 mg/g dry weight. The most abundant amino acid was serine(0-128 mg/g). Alanine, aspartate, glutamate, asparagine, histidine, and proline were relatively rich at 2-12 mg/g dry weight. Glycin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spring-sowing cabbages by 2-fold but proline was reversely decreased by 7-fold. The inside parts of cabbages contained significantly more alanine, glutamate, glycine, isoleucine, serine, and valine than the outside ones. The higher contents of isolecuine, leucine, proline, and valine were observed in the red cabbages than the green ones. The significant cross effects of season-color and position-color were also observed, indicating the red and the green cabbages were differently affected by season and tissue position.

고랭지 배추의 생장모의 (Growth Modeling of Chinese Cabbage in an Alpine Area)

  • 안재훈;김기덕;이정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9-315
    • /
    • 2014
  • 여름배추는 수요와 공급에 대한 가격반응이 매우 민감한 작목으로서 날씨에 따른 작황변동은 가격 등락폭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름배추의 수급에 절대적으로 중요한 고랭지배추의 생장과 수량을 기상조건으로부터 예측할 수 있는 경험식을 개발하였다. 1997년부터 1998년까지 2년에 걸쳐 파종기를 달리하여 수행한 실험결과를 기반으로 기온으로부터 엽면적 추정식을 도출하였다. 배추 생체중의 변화를 엽면적에 의해 설명할 수 있는 예측식을 작성한 다음 엽면적 추정식과 결합하여 다음 식을 얻었다. $$Fresh\;weight=3500/(1+{\exp}(5.175-1.153{\times}(6/(1+{\exp}(6.367-0.0064{\times}PHU)))))$$ 이 경험식을 2003년부터 2006년까지 매일 기온자료에 의해 구동시켜 예상 생체중을 계산한 다음 검증용 포장에서 얻은 실제 생체중과 비교한 결과 연차별로 결정계수 0.89~0.94의 높은 상관을 보였다.

분리 저장한 절임배추와 김치속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 (Kimchi Preparation with Brined Chinese Cabbage and Seasoning Mixture Stored Separately)

  • 박완수;이인선;한영숙;구영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1-238
    • /
    • 1994
  • 저장 간절임 배추와 김치속을 이용한 김치제조방법의 변형을 모색하기 위하여, 3%와 7% 염 절임배추의 저장온도를 $0^{\circ}C$$10^{\circ}C$로 달리하여 저장하고, 무염의 김치속은 $4^{\circ}C$$10^{\circ}C$에서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특성과 미생물균수의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절임배추의 저장중 pH와 총산함량의 변화는 7%의 염을 함유한 처리구와 $0^{\circ}C$에서 저장한 처리구에서 현저하게 느렸으며, 유산균을 포함한 미생물의 생육도 $0^{\circ}C$에서 저장한 경우 매우 느리게 관찰되었다. 한편, 김치속의 저장중 pH와 총산함량의 변화는 $4^{\circ}C$$10^{\circ}C$에서 모두 거의 변화가 없었다. 제조된 김치의 관능적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이와 같이 분리저장한 절임배추와 김치속을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하는 방법은 각 가정과 제조업체에서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 PDF

절단방법이 신선절단 사과와 엽채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tting Methods on Qualities of Fresh-Cut Apples and Leafy Vegetables)

  • 정헌식;정문철;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3-177
    • /
    • 2012
  • 신선절단 사과와 엽채류의 품질에 절단방법이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사과는 sharp knife나 dull knife로 절단하고, 양배추와 결구상추는 hand나 knife cutting 및 knife로 샐러드용 크기나 채썰기로 절단하고 각 절단품의 품질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신선절단 사과의 갈변도와 과육경도는 dull knife보다 sharp knife로 절단한 경우에 유의적으로 낮고 높게 유지되었다. 반면에 신선절단 사과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과 pH는 절단용 칼날의 날카로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신선절단 양배추와 결구상추의 갈변도는 hand cutting보다 knife cutting에서, 샐러드용 크기보다 세절인 채썰기한 경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이로써, 신선절단품 제조시 조직손상을 크게 하는 절단방법이 사과의 갈변과 연화를, 양배추와 결구상추의 갈변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고품질 제품을 위해 조직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김치 발효숙성중의 Vitamin U 및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 (Changes in Vitamin U and Amino Acid Levels of Korean Chinese Cabbages during Kimchi Fermentation)

  • 홍은영;김건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11-41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배추김치를 종자별, 부위별, 저장조건별 유리당, vitamin C, amino acids의 함량을 분석하고 변화 경향을 조사하여 보았으며 vitamin C의 전구물질인 methionine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리당의 경우 core> middle> outward 부위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midrib 부위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Vitamin U의 경우55일 배추 outward leaf 부위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저장기간이 증가 할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리 amino acids의 함량은 vitamin U와 같이 outward leaf 부위가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threonine, alanine, proline이 가장 풍부한 아미노산으로 조사되었다. Vitamin U의 전구물질인 methionine의 함량은 부위별, 저장조건별 큰 차이를 보여주었으나, vitamin U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뚜렷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Vitamin contents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red and gold kimchi cabbages (Brassica rapa. L. ssp. pekinensis)

  • Kang-Hee Lee;Seung-min Oh;Won-Ho Hong;Jiyeon Chun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47-261
    • /
    • 2023
  • Kimchi cabbage is widely consumed in Korea, with the popularity of this pickled vegetable dish growing internationally due to its health benefits. In this study, the physical (size, color), functional (antioxidant activity,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and nutritional (water- and fat-soluble vitamins) characteristics of two new kimchi cabbage varieties, namely red and gold kimchi cabbages (RKC and GKC, respectively),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mmon kimchi cabbage (CKC).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ickness or length of the three kimchi cabbages, although RKC had the narrowest outer leaves among the three varieties (11.94 cm). Regarding chromaticity, yellowness was highest in GKC (29.86), whereas redness was highest in RKC (9.31). Furthermore, RKC had the highest recorded vitamin B6 and B9 (1,288.5 ㎍/100 g and 776.7 ㎍ dietary folate equivalent/100 g,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fat-soluble vitamins vitamin A (β-carotene) and K (Phylloquinone) were both highest in GKC (907.1 ㎍/100 g and 712.2 ㎍/100 g, respectively). Generally, all kimchi cabbage samples contained high levels of vitamin E (1.8-4.9 mg α-tocopherol equivalent/100 g). RKC attain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among the three kimchi cabbages. These results show that gold and red kimchi cabbage can be used as raw materials in the food-processing industry.

토양에 잔류된 Boscalid 및 Chlorfenapyr의 엇갈이 배추로의 흡수 이행 (Uptake of Boscalid and Chlorfenapyr Residues in Soil into Korean Cabbage)

  • 전상오;황정인;이상협;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14-320
    • /
    • 2014
  • 토양에 잔류된 농약의 작물로의 흡수 이행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서 boscalid 및 chlorfenapyr를 토양에 잔류시킨 후 엇갈이 배추로 흡수 이행 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 엇갈이 배추 및 토양 중 두 농약의 확립된 분석법을 이용하여 회수율시험을 실시한 결과 회수율은 87.5~105.2% 범위 이내이었다. 토양 중 boscalid의 초기잔류량은 저농도 처리구에서 2.77 mg/kg, 고농도 처리구에서 5.66 mg/kg이었으며 28일 경과 후 잔류량은 각각 0.53 및 1.60 mg/kg으로 초기잔류량의 71.7~81.9%가 감소하였다. 반면에 chlorfenapyr의 초기잔류량은 저농도 및 고농도 처리구에서 각각 2.38 및 6.43 mg/kg으로 나타났으며, 28일 경과 후 각각 1.36 및 2.91 mg/kg으로 초기잔류량의 42.9~54.8%가 감소하였다. 엇갈이 배추시료는 파종 후 21일부터 28일까지 약 2일 간격으로 수확하여 잔류농약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시간경과에 따라 농약의 흡수량이 증가하였다. 엇갈이 배추로 흡수된 boscalid의 흡수량은 저농도 처리구에서 2.47 mg/kg으로 2.4%의 흡수율을 보였으며, 고농도 처리구에서 흡수량은 4.71 mg/kg으로 2.2%가 흡수되었다. 반면에 chlorfenapyr의 흡수량은 저농도 및 고농도 처리구에서 각각 1.36 및 2.63 mg/kg으로 나타나 1.5 및 1.3%를 흡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토양에 잔류된 농약이 후작물로 흡수 이행되어 수확물에서의 잔류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채소(菜蔬) 및 과실중(果實中) 질산염(窒酸鹽)과 아질산염(亞窒酸鹽)의 축적(蓄積)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ccumulation of Nitrite and Niarite in Vegetables and Fruits)

  • 신광순;남궁석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0권4호
    • /
    • pp.111-115
    • /
    • 1977
  • Vegetables and fruits purchased from several markets in Seoul from July to October in 1977 were analyzed to know the level of nitrate-and nitrite-nitrogen accumulation in relation to a public health. Radishes and chinese cabbages utilized mainly as pickled vegetables in Korea resulted in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nitrate-nitrogen. Some of the levels for radishes and chinese cabbages were notably high and exceeded a recommended upper limit of 300 ppm $No_{3}-N$, and thus these levels would render these samples unsafe for use. The levels in some of vegetables other than radish and chinese cabbage, e.g., spinach, lettuce, green onion, cabbage were relatively high and considered to be unsafe for use in feeding infants, where as those of green pepper, bean sprouts and parsely were very low and safe. And also the levells in fruits were very low and safe. Nitrite-nitrogen contents in all tested vegetables and fruits ranged to trace and appeared not to be accumulated in fresh vegetables and fruits. Stems and roots of radishes and chinese cabbages accumulated approximately 2 fold more nitrate-nitrogen than leaves in 5 samples of each vegetable tested.

  • PDF

Glucosinolates (3-Butenyl Isothiocyanate, Total Glucosinolates) Change in Seeds and Young Seedlings on Chinese Cabbages

  • Kim, Youn-Kyung;Hong, Eun-Young;Kim, Gun-Hee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97.2-98
    • /
    • 2003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glucosinolates (3-butenyl isothiocyanate, total glucosinolates) in different parts of young seedling and seeds on Korean Chinese cabbages 55 days and Winter pride cultivars. For determination of glucosinolates, two cultivars of Chinese cabbages seeds and different parts of 1-day-old, 3-day-old, 5-day-old, and 7-day-old seedlings were used for analytical sample preparation provided with an anion exchanges column, and measured by GC and UV-Visible Spectrophotometer. 3-Butenyl ITC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the cotyledon and the hypocotyl parts of 55 days cultivar seedling. In the cotyledon part of Winter pride cultivar seedling, 3-butenyl ITC amount was increase to 3-day-old seedling and then reduced. The cotyledon of 55 days cultivar contain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total glucosinolates while those were increased in the hypocotyl and decreased by degrees in the root. Total glucosinolates amounts were increased to 5-day-old seedling and then decreased in the cotyledon and the hypocotyl parts of seedling on Winter pride cultiva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oot part. In the seeds, both of 3-butenyl ITC and total glucosinolates, 55 days cultivar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Winter pride cultivar. The study has shown the variability in 3-butenyl ITC and total glucosinolates concentrations among cultivars, growth stages, and parts.

  • PDF

대구 시판 엽채류에서의 기생충란과 유충 부착상의 변화 (Change in Incidence of Parasite Eggs and Larvae from Vegetable in the Markets of Taegu)

  • 이정숙;서정숙옥미선박영선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1호
    • /
    • pp.105-110
    • /
    • 1983
  • 대구시내의 비륭 시장에서 엽채류 등 상치 열무 및 배추를 구입하여 기생충란과 유충의 부착상을 1982연 7월부터 1983연 6월까지 1연간에 걸쳐서 조사하여 이(1969)와 최·이(1972)의 조사성적과 비교하였다. 율소엽은 단단한 솔로 세척하여 부착된 기생충의 종유, 부착률 및 채소 200g당 기생충란의 평균 부착수를 조사하였다. 채소엽에서 4종의 기생기란 회충, 모양선충, 구직및 간흡충란과 2종의 유충 기충의 사상 및 간상유충을 찾아 볼 수 있었다. 이 중 회충란의 부착률은 4.2%로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구충란으로서 3.6%였다. 채소 2009당 회충란의 부착수는 열무 0.6f권, 상치 및 배추는 각각 0.3개였고 기충의 사상발충은 열무 0.4%, 상치 0.3개, 배추 0.1개였으며 간상유충은 열무 0.2%, 상치 0.1%, 배추 0.05개로서 간상유충보다 사상유충이 많이 부착되어 있었다. 이(1969)와 최·이(1972)의 조사성적에서는 채소 200g당 회충란의 부착수는 열무 7.5%, 상치 3.1%, 배추 0.5개였는데 비하여 이번 조사성속에서는 열무 0.6개, 상치 및 배추는 각각 0.3개로서 심히 감소되었음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