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 travel time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37초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된 간선도로의 서비스수준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evel of Service Analysis Method of Arterials including Exclusive Median Bus Lanes)

  • 조한선;김태형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135-144
    • /
    • 2013
  •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methodology to estimate level of service of arterial including Exclusive Median Bus Lanes. METHODS : On 6 Exclusive Median Bus Lanes routes in Seoul, bus travel time and number of bus-stop per km were investigated. Also whether or not passing lane exists at bus-stop was checked. Based on the data from sites, bus travel time was estimated according to length of segment, number of bus-stop per km and whether or not passing lane exists at bus-stop. RESULTS : A bus travel time table was developed according to length of segment, number of bus-stop per km and whether or not passing lane exists at bus-stop. After bus travel speed and passenger car travel speed is estimated based on each travel time table and length of segment, two speeds are combined with weighted average speed using traffic volume of each lane group. Then weighted average speed is a measure of effectiveness of arterial including Exclusive Median Bus Lanes. CONCLUSIONS :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oposed methodology can estimate level of service of arterial including Exclusive Median Bus Lanes considering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Exclusive Median Bus Lanes.

BIS 자료를 이용한 중장기 버스 통행시간 예측 (Long-term Prediction of Bus Travel Time Using Bus Information System Data)

  • 이주영;구은모;김형주;장기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8-359
    • /
    • 2017
  • 최근 국내에서는 대도시권의 교통혼잡 완화를 위하여 다양한 대중교통 활성화 정책을 시행중에 있다. 특히 대도시권역에서는 버스정보시스템이 도입되어 버스의 현재위치, 도착예정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복잡한 도시부를 지나는 버스들의 경우 반복적인 교통혼잡과 버스몰림으로 인하여 정확한 통행시간 정보제공 시 정확도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기존 버스 통행시간 연구는 링크별 소통정보 제공방식으로 인하여 버스 이용자의 경로 통행시간 정보 제공 시 어려움이 있고, 데이터 기반의 단기 통행방식으로 중장기 정보 제공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로기반의 중장기 버스통행시간 예측 방법론에 대한 연구를 실시한다. 이를 위하여 2015년 버스통행정보로 학습데이터, 2016년 자료로 검증데이터를 구성하였다.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버스통행정보를 분석하여 버스통행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출발시각, 요일, 그리고 기상요인 등으로 분류하고, 이들의 특성 값을 자기조직화지도를 활용하여 비슷한 통행 패턴을 가지는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도출된 군집들을 바탕으로 맑음과 우천시에 대한 요일/출발시각 별 버스통행시간 참조 테이블을 구성하였다. 검증데이터를 이용하여 본 연구에서 도출한 버스통행시간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중장기 예측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기존의 직관적이고 경험적인 접근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예측의 정확도 개선을 통한 버스이용자 만족도 향상 및 탄력적인 대중교통 정책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버스정보 결측시 검지기 자료를 통한 버스 통행시간의 산정 (Estimation of Bus Travel Time Using Detector for in case of Missed Bus Information)

  • 손영태;김원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51-59
    • /
    • 2005
  • 버스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시행중인 버스정보시스템은 버스의 도착 예정시간을 산정하기 위해서 일정주기동안 통행한 버스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신경망 모형, 칼만필터링, 이동평균법등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예측한다. 하지만 버스의 데이터 결측으로 인하여 버스의 도착 예정 시간을 산정하기 어려울 때는 버스의 시간대별 패턴 데이터를 구축하여 이를 활용하지만, 일반적으로 오차의 범위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착 예정 시간을 산정하기 위해 링크에 설치된 대기행렬 검지기 자료를 이용하여 버스의 링크통행 시간을 산정한다. CORSIM Version 5.1 시뮬레이션 패키지를 이용하여 검지기 지점 속도를 보정하여 검지기 지점속도를 바탕으로 버스의 통행시간을 산정한다.

  • PDF

미시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중앙버스전용차로 효과분석 (Effectiveness Analysis of Exclusive Median Bus Lane that Uses Microsimulation)

  • 김명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59-167
    • /
    • 2013
  • PURPOSES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when median exclusive bus lanes were applied to Daejeon trunk road (Wolpyeng crossway~Seodaejeon crossway, 6.3km) and (Daeduck Bridge 4~Kyeryong 4, 2.6km) by Microscopic Simulation VISSIM (5.0) was studied. The median exclusive bus lanes are one of the measures of transportation system manage techniques that can especially improve the efficiency of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METHODS :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VISSIM on the Gyerong mainroad and Daedeok mainroad, when the median exclusive bus lanes were applied unlike when the roadside bus-only lanes were applied, the average travel speed of vehicles decreased but the average delay time and travel time increased. This arised from the changes in the geometric structure of the road which occurred the reduction of vehicle lane in the center of the road. RESULTS : In the case of bus,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travel speed increased but the average delay time and travel time decreased. This is because the problems such as illegal parking and stopping, secondary road in out vehicle, and conflict of intersection right turn that roadside bus-only lanes occurred was solved. CONCLUSIONS : Although the introduction of median exclusive bus lanes will have a negative effect on general traffic flow due to the aggravation of travel, decrease of passenger car usage will lead to decrease of traffic volume. Therefore, smooth vehicle travel is expected.

Transit GPS Data를 이용한 링크통행시간 추정 알고리즘 개발 (A Travel Time Estimation Algorithm using Transit GPS Probe Data)

  • 최기주;홍원표;최윤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5D호
    • /
    • pp.739-746
    • /
    • 2006
  • Transit GPS Probe를 이용하여 통행 시간을 산출함에 있어서 Bus Probe는 Taxi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밀한 주기당 통행 시간 정보를 생성하였으나, 링크별 근소한 신뢰수준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Bus Probe는 Taxi에 비해 평균적으로 낮은 신뢰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두 수집원의 운행특성을 고려한, 연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링크통행시간 정보를 생성할 필요성이 있는 바, Bus Probe와 Taxi Probe의 통행시간 비율을 주기당 변수로 생성하여 실시간 (Real-Time) 데이터와 과거(Historical)자료로 보정하는 휴리스틱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 알고리즘에서 Real-Time 데이터는 4주기, Historical 데이터는 혼잡도별 평균값이 입력변수로 설정되었으며, 각 설정값은 통계적 기법을 기반으로 도출되었다. 알고리즘의 평가는 서울시내 주요 3개축 구간의 20개 링크를 대상으로 6시간의 실측자료와 동일주기 Transit GPS 데이터의 신뢰도를 사용하였다. 알고리즘 적용 결과 대상링크의 전체평균 신뢰도(71.45%)가 향상되었고, 수집원간 단순 합성한 기존 방법에 비해 모든 링크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개의 목적함수와 운행시간제약을 가진 버스일정계획 (A Bus Scheduling Problem with Multiple Objective Functions and Travel Time Constraint)

  • 김우제
    • 산업공학
    • /
    • 제15권1호
    • /
    • pp.49-54
    • /
    • 2002
  • A bus scheduling problem with multiple objective functions and travel time constraint is to determine the allocation of buses to customer service requests minimizing the number of buses and travel costs under the travel time restriction for each bus. For the scheduling, we first represent the scheduling problem using a graph and develop a hierarchical approach. Second, we develop a mathematical model based algorithm for the scheduling problem including heuristic methods. We tested the performance of the algorithm on instances with real data. As a result, the total number of buses and travel costs are reduced over about 10% comparing with that of current practice at the company.

고속버스 통행시간 예측의 정확도 제고를 위한 입력자료 분석기간 선정 연구 (Analysis Period of Input Data for Improving the Prediction Accuracy of Express-Bus Travel Times)

  • 남승태;윤일수;이철기;오영태;최윤택;권건안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99-108
    • /
    • 2014
  • PURPOSES : The travel times of expressway buses have been estimated using the travel time data between entrance tollgates and exit tollgates, which are produced by the Toll Collections System (TCS). However, the travel time data from TCS has a few critical problems. For example, the travel time data include the travel times of trucks as well as those of buses. Therefore, the travel time estimation of expressway buses using TCS data may be implicitly and explicitly incorre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expressway bus travel time estimation using DSRC-based travel time by identifying the appropriate analysis period of input data. METHODS : All expressway buses are equipped with the Hi-Pass transponders so that the travel times of only expressway buses can be extracted now using DSRC.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ravel time patterns of the expressway buses operating between Seoul and Dajeon. And then, this study determined the most appropriate analysis period of input data for the expressway bus travel time estimation model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model. RESULTS : As a result of feasibility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period, overall MAPE values were found to be similar. However, the MAPE values of the cases using similar volume patterns outperformed other cases. CONCLUSIONS : The best input period was that of the case which uses the travel time pattern of the days whose total expressway traffic volumes are similar to that of one day before the day during which the travel times of expressway buses must be estimated.

버스통행시간을 이용한 일반차량 통행시간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Car Travel Time By using Bus Travel Time)

  • 임혜진;손영태;김원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23-31
    • /
    • 2005
  • 신뢰성있는 교통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자료의 수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재 자료 수집은 승용차, 택시를 프로브차량으로 이용하고 있어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버스통행시간을 이용하여 일반차량의 통행시간을 산정하는 모형을 개발한다면 승용차, 택시를 프로브 차량으로 이용하는 것보다 수집되는 정보의 양이나 질이 보다 향상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버스통행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고려하여 각 CASE에 맞는 모형식을 개발하고, 실제 일반차량 통행시간과 비교를 통해 통계적 적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PDF

버스정보시스템(BIS) 운행자료를 이용한 링크통행시간 추정 (A Study on Estimate to Link Travel Time Using Traveling Data of Bus Information System)

  • 이영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3D호
    • /
    • pp.241-246
    • /
    • 2010
  • 본 연구는 버스정보시스템(BIS)의 운영을 통해 수집되고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시내 가로의 통행시간을 추정하기 위한 연구이다. 기존의 버스시스템에 첨단정보통신 기술을 접목한 BIS는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구축하여 운영 중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동향을 반영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에 구축된 BIS의 운영을 통해 유용한 교통정보들이 수집되고 있으나 수집된 데이터의 활용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IS의 운영을 통해 수집되고 있는 버스운행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시내 가로의 링크통행시간 추정을 통해 도시의 교통관리에 활용하고 운전자에게 교통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버스의 링크통행시간이 두 개의 군집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링크통행시간을 두 개의 군집으로 나누어 추정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형을 통계적으로 검정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