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 service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2초

정보화시대의 대중교통정책 : 광주광역시의 버스준공영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ublic Traffic Policy in Information Age: Focused on the Bus Quasi-Public Operating System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전정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4호
    • /
    • pp.19-33
    • /
    • 2010
  • 시내버스는 과거 시민들에게 교통편익을 제공하는 가장 대표적인 대중교통수단이었지만 최근 자가용의 급속한 증가와 지하철 건설 등으로 버스 이용자는 감소 추세에 있다. 따라서 시내버스업체의 경영여건은 지속적으로 악화되어 왔으며, 시민에 대한 교통서비스 수준 역시 낮게 평가되어 왔다. 이에 서울과 부산 및 각 광역시를 중심으로 시내버스 운영의 합리화와 지하철과의 연계 등 대중교통 시스템의 공공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경쟁적으로 도입하였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 대도시들에서 채택하고 있는 버스준공영제를 중심으로 그 현황과 문제점 및 앞으로의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먼저 시내버스 운영형태와 외국(미국 뉴욕, 영국 런던, 프랑스 파리, 일본 동경도)의 사례를 먼저 고찰하고 우리나라의 대도시들에서 도입한 시내버스 준공영제의 운영현황, 실시효과 및 문제점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광주광역시의 대중교통현황과 준공영제의 운영 내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중심으로 바람직한 대중교통의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시내버스 노선별 특성 분석에 기초한 운행 개선 방안 연구: 공공성과 수익성을 고려하여 (Proposition of Desirable Management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Various Bus Route Type)

  • 이상용;정헌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6-8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시내버스 준공영제 제도 아래에서 효율적인 시내버스 노선 운영 개선 방안을 도모하기 위해 버스 노선의 유형별 적정 서비스 제공 수준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내버스 준공영제 특성을 반영하는 공공성 개념을 도입하고, 수익성과 잠재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시내버스의 노선 유형을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같은 노선 유형 분류 방법을 활용하여 부산에서 실제 운행되고 있는 시내버스 113개 노선을 8개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노선연장, 운행횟수, 도심통과 유무 등 9개의 노선별 운행특성을 고려하여 유형별 시내버스 노선 운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버스 노선의 운영 개선 방안을 도출함에 있어, 9개의 노선별 운행특성자료를 주성분 분석으로 3가지 운행특성 자료로 축약하여 비교 검토함으로써 유형별 시내버스 노선의 운영 개선 방안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토큰버스 프로토콜의 우선순위기능에서 대시시간의 분산 (Variance of waiting time in the priority scheme of token bus protocols)

  • Hong, Seung-Ho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32A권5호
    • /
    • pp.42-53
    • /
    • 1995
  • Token bus protocols have been sidely accepted for Medium Access Control (MAC) in real-time networks such as those used in factory automation, distributed process control, nuclear power plant, aircraft and spacecraft. Token bus protocols provide timer-controlled priority mechanism, which offers multiple level of privilege of medium access to different type of traffic. This paper presents and approximate analytical model for the evaluation of variance of waiting time in the time-controlled proiority scheme of token bus protocols. Token bus system is assumed to be operated with singe-service discipline which is the practical case of real-time networks such as those used in distributed process control and factory automations. The approximate analytical model is validated by comparison with the simulation resuls.

  • PDF

단거리 순환버스 도입을 위한 통행패턴 기반의 우선순위 결정방법 (A Prioritization Method Considering Trip Patterns to Introduce Short-turn Buses)

  • 문세동;김동규;조신형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18
    • /
    • 2019
  • 기존 노선의 일부 구간을 운행하는 버스를 '단거리순환버스(short-turn bus)'라 하는데, 단거리순환버스 관련 연구는 버스 네트워크보다 단일 노선에 대해 최적 회차지점을 결정하였으며, 대중교통의 편의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차내혼잡을 고려하지 않은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버스 네트워크의 노선별 및 구간별로 단거리순환버스 도입의 우선순위를 차내 혼잡을 반영하여 결정하는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교통카드 데이터 기반으로 단거리 순환버스 노선과 중복되는 기존 버스 노선들의 단거리순환버스 도입 전후의 재차인원을 산정하고, 단거리순환버스 도입 전후의 버스 네트워크 전체에서의 차내혼잡 감소 편익을 산정하였다. 또한, 단거리순환버스 도입으로 인한 운영자 및 사회적 비용을 산정하여 단거리순환버스를 도입할 노선 및 그 노선 내에서의 운행 구간을 변화시켜 반복적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한 노선 내에서 단거리순환버스 도입의 비용/편익 비(B/C)가 가장 큰 구간을 그 노선의 단거리순환버스 도입 구간으로 채택하였다. B/C 값을 기반으로 버스 노선들의 단거리순환버스 도입 우선순위를 결정하였으며, 여러 노선에 도입할 경우의 최적 대수를 산정하였다.

시공도를 이용한 버스운행 정시성 지표개발 (A Development of Punctuality Index for Bus Operation Using Time-space Diagram)

  • 양지영;김영찬;김승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29-138
    • /
    • 2005
  • 각 지자체에서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실시하고 있는 BMS사업은 버스서비스 질 향상을 통한 대중교통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BMS(Bus Management System)에 있어 노선별 배차간격 관리는 버스의 정시성 확보를 통한 버스 이용자의 편의를 제고하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스배차간격 및 정시성 준수여부 등 버스서비스 수준을 객관적으로 파악해야만 효율적인 버스운행 관리를 할 수 있으나, 기존 방법의 대부분이 정성적 지표에 머물고 있다. 또한 버스운행 정보의 부족으로 정량적인 평가방법은 현장조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각 지자체 BMS의 도입으로 개별 버스의 자세한 운행 정보 수집과 정량적인 지표에 의한 객관적인 번스 운행 평가가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BMS 센터로 수집되는 개별 버스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버스운행 서비스수준을 평가하는 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버스 정시성 평가방법을 고찰하고 새로운 버스운행 정시성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지표개발은 노선별 시공도 작성을 통해, 스케줄 기반(Scheduled-based), 차두시간 기반(Headway-based)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표를 실제 버스운행 수집 데이터에 적용해 정시성을 평가해 보았다.

버스정보시스템(BIS) 정류장도착예정시간 시스템오차 연구 (Systematic Error Term Analysis on Bus Arrival Time Estimation)

  • 김승일;김영찬;이청원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7-127
    • /
    • 2006
  • 국내외 각급 도시에서 시행중인 실시간 버스정보시스템(BIS)에 있어 버스도착예정시간 정보의 정확도는 시스템에 대한 가치평가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FTMS나 RTMS에서의 VMS정보와는 달리 개별버스의 도착예정시간 정보의 경우는, 가공 및 제공주기 그리고 시스템의 가공과정에서 불가피한 오차가 발생한다. 이를 '시스템 오차'라 규정하고 이들 오차의 평균값을 통계적 기법으로 도출하여, 버스도착예정시간 정보에 보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검증을 위해 'A'시의 버스정보시스템에 동 기법에 따라 보정을 수행한 결과, 보정전보다 오차율이 23%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버스도착예정시간 정보의 정확도의 제고를 위해서는 시스템오차를 낮추는 방안이 적용해야 하는데 특히, 위치정보수집 빈도를 높이고, GPS 음영지역 해소 등 분산 값에 영향을 미치는 결측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강구해야 한다.

위치정보를 이용한 효율적인 안동 시내버스 노선 검색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Efficient Andong Bus Route System using a Location Information)

  • 장수영;임양원;임한규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45-54
    • /
    • 2011
  • 현재 스마트 기기 용도의 다양한 시내버스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있으며, 시내버스의 도착시간, 노선정보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지 못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6가지 패턴을 알고리즘으로 설계하고, 이를 이용하여 구현된 Server와 Android Application이 서로 교신하면서 사용자가 가고자하는 목적지로 이동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구글 맵과 위치기반정보를 통하여 탑승지와 환승지, 그리고 도착지를 지도상에 출력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도 함께 제공한다. 보다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시내버스를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다중제약을 고려한 최적 버스운행계획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Optimal Bus Scheduling Algorithm with Multi-constraints)

  • 이호상;박종헌;조성훈;윤병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129-138
    • /
    • 2006
  • 서울시는 지난 2004년 7월부터 버스에 준공영제(공공관리, 민영운영)개념을 도입한 후 노선별로 불필요한 운행을 최소화하고 승객편익 및 이용수요 증대를 위해 배차 최적화 모형을 연구.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노력의 결과물로서 서울시 버스 운영체계에 맞는 노선별 운행대수. 근로조건, 최대 재차인원. 최대/최소 배차간격 등을 제약 조건으로 하고 승객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하는 Heuristic 배차최적화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운행 중인 노선에 적용한 결과, 같은 운행대수라도 첨두시 배차간격이 좁혀져 승객편익이 증대되었다. 따라서 개발모형은 여러 제약조건을 고려한 최적 배차계획 수립 및 적용을 가능케 하여 버스운영 효율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용량 멀티미디어 전송을 위한 IEEE 1394고속 직렬 버스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IEEE 1394 High Speed Serial Bus for Massive Multimedia Transmission)

  • 이희진;민구봉;김종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0권4호
    • /
    • pp.494-503
    • /
    • 2003
  • IEEE 1394 고속 직렬 버스(이하 IEEE 1394 혹은 버스)는 실시간 데이타 및 일반 패킷 데이타 전송을 위해 가전제품군과 PC 간의 고속 멀티미디어 통신을 저가로 제공한다. IEEE 1394의 전송 모드는 크게 비동기와 등시성 모드가 있어, 비동기 모드는 최선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등시성 전송 모드는 대역폭을 예약해 QoS를 보장한다. 본 논문은 링크 계층 및 응용 계층 수준에서 IEEE 1394의 성능을 분석하고 각 전송 모드를 비교한다. 응용 계층 수준의 성능 분석을 위해 1394 계층과 상위 계층 사이에 필요한 대표적인 인터페이스인 고정 방식과 적응적 방식을 시스템에 적용하고, 이를 각기 폴링 시스템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 모델의 타당성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한다. 그 결과, IEEE 1394의 데이타 전송모드를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버스 접근 지연시간을 줄이고 대역폭 낭비를 막아 버스 이용률을 높일 수 있음을 보였다.

고령화사회의 DRT(Demand Responsive Transit)시스템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김해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RT System Introduction for Aging Society : A Case Study on Kimhae City)

  • 오윤표;김재열
    • 농촌계획
    • /
    • 제14권3호
    • /
    • pp.27-36
    • /
    • 2008
  • Rapid increase of aging population and progressed migration from rural areas to urban areas have caused deficit of bus routes in local cities. This increasing burden of operation deficit affects the movement strategy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who are using buses. Along with dramatically increased aging in Korea, there is an urgent need to implement a new method which can guarantee mobility rights of public transportation especially for the elderly. This study focuses on the case of Demand Responsive Transit(DRT) system that has been operating in America, Europe, Japan, etc. Kimhae(Sangdong-myeon and Saengnim-myeon) is selected as a study are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adopting DRT system on the perspectives of the consumer and provider by the analysis of traffic condition such as the number of transportation vehicles, present bus service and regulation and conduct of questionnaire survey which includes present bus service and DRT system and so on. In conclusion, DRT system in Kimhae city will reduce transport cost, increase affordability through the betterment of service level and secure mobility rights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