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rdock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4초

증건 횟수에 따른 우엉의 이화학적 변화 및 관능적 특성 연구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urdock (Arctium lappa) During Repeated Steaming and Drying Procedures)

  • 이금양;손양주;전유호;강희진;황인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36-344
    • /
    • 2015
  • 우엉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재배가 쉬운 특징이 있어 각광받고 있으나, 아직은 가공 제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우엉과 같은 근채류의 일종인 인삼, 도라지, 더덕 등이 증숙 및 건조과정 의해 생리활성 성분이 증가된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증건 공정을 우엉에 적용하여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우엉의 활용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증건 우엉을 제조하기 위하여 증숙(3 h, $90-95^{\circ}C$)과 열풍건조(20 h, $60^{\circ}C$)를 9회 반복 수행하여 시료를 제조하였으며, 이화학적 특성, 항산화 활성 및 관능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분 함량(wet basis)의 경우, 81.95%의 함량을 보였으며, 증건함에 따라 감소하여 최종적으로 7.64%의 함량을 보였다. 일반성분 함량을 건량으로 환산한 결과, 생 우엉의 탄수화물 함량은 85.58%이었으며, 이후 점차 감소하여 9회 증건 시 77.80%의 함량을 보였다. 한편, 조섬유의 경우 0회 증건시 10.14%의 함량에서 가공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최종 9회 증건한 우엉에서 26.22%의 조섬유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의 함량은 초기 8.53%에서 점차 증가하여 9회 증건 우엉에서 16.69%의 함량을 보였으며, 조지방 역시 증건과정을 거침에 따라 증가하여 0회 증건 시 0.74%에서 9회 증건 시 1.72%의 조지방 함량을 나타내었다. 반면 회분 함량은 0회 증건 시 5.16%에서 9회 증건 시 3.79%로 감소하였다. 추출 수율은 생 우엉에서 68.95%이였으나 이후 감소하여 9회 증건 우엉에서 27.10%를 나타내었다. 총 수용성 당, 환원당, 이눌린 함량을 측정한 결과, 생 우엉은 총 수용성 당의 약 86%가 이눌린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증건 과정을 거침에 따라 열작용에 의해 이눌린이 분해되고 환원당이 생성되어 4-9회 증건 시료에서 총 수용성 당의 81-96%가 환원당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말색도의 경우, 명도는 초기 84.49에서 9회 증건 처리 시 39.41로 점차 감소하였으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4회 증건 처리 시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열수추출물의 갈색도는 7회 증건 처리 시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사포닌은 5회 증건 시료에서 6.17%의 최대 함량을 보였으며, 총 폴리페놀은 3, 5회 증건 처리 시료에서 약 18-19 mg GAE/g의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와 유사하게 DPPH, ABTS 자유라디칼 소거능과 FRAP활성에서도 3, 5회 증건 시료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생 우엉 및 초기 증건 시료에서 풋내, 뿌리채소 냄새, 쓴맛, 떫은, 금속성의 특성이 있었으나, 이후 증건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반면에 단 냄새, 구수한 냄새, 캐러멜 향미 및 바디감의 특성 정도가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생 우엉의 경우 이눌린의 생리활성 효과가 기대되며, 3-5회 증건한 우엉에서는 총 폴리페놀 및 사포닌 함량의 증가로 인한 높은 항산화 활성과 단맛을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우엉 증건 횟수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변화 및 관능적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우엉의 이용 가능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리포좀 코팅한 hemicellulase가 우엉의 연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Liposome-coated Hemicellulase on the Tenderization of Burdock)

  • 김광일;이상윤;이지선;이중규;민상기;최미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698-703
    • /
    • 2015
  • 식물 소재 식품인 우엉을 코팅 및 비코팅 헤미셀룰라아제 효소액으로 침지한 후 시간에 따른 식품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관찰한 결과, 색도에서는 모든 처리구에서 명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적색도와 황색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비코팅 효소와 코팅 효소 침지한 우엉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본연의 색을 잃어가는 경향을 나타냈다. 경도는 시간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였고 증류수 침지 처리 시료에 비해 비코팅 효소와 코팅 효소 침지 처리한 시료의 경도 값이 유의적으로 낮았지만 코팅/비코팅 효소 처리한 시료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효소 활성은 우엉을 침지했던 함침액에 있는 생성물인 포도당의 함량 측정을 통해 진행한 결과 초반에는 비코팅 효소의 활성이 코팅 효소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이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코팅 효소의 활성이 증가하며 비코팅 효소액 처리구의 활성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즉, 코팅막을 이용하여 효소를 포집하면 비코팅 효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꾸준하게 효소의 활성을 유지 및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식품의 연화 효과 및 효소의 활성을 장기간 적용할 수 있었다. 또한 리포좀 코팅은 수용성 및 지용성 성분의 포집이 가능하다. 즉, 본 실험을 통해 코팅된 가수분해효소의 고정화로 음식 재료의 연화 작용을 기대할 수 있으면서 효소 외에 다른 수용성 및 지용성의 영양 성분 및 기능성 성분 등을 함께 포집하여 비파괴 노인식 개발에 응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우엉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물리화학적 및 관능적 평가 (Physicochemical and sensory evaluation of wheat cookies supplemented with burdock powder)

  • 이준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053-1059
    • /
    • 2017
  • 우엉 분말(BP)은 여러 기능적 활성을 나타내고 있고, 쿠키와 같은 간편식품에 활용하면 소비진작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어, 우엉 분말의 첨가량을 0-8%로 달리하여 제조한 쿠키의 물리 화학적 품질, 항산화 활성 및 소비자 기호도를 비교하였다. 쿠키반죽의 pH와 밀도는 BP의 첨가량에 현저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쿠키의 수분함량과 퍼짐성 지수는 BP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 차이 없는 증가경향을 보였다(p>0.05). 쿠키표면의 명도($L^*$), 적색도($a^*$) 및 황색도($b^*$) 그리고 경도는 BP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전자공여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 활성은 BP를 첨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p<0.05). 소비자 기호도 결과 2% 첨가군이 전체적 기호도를 포함한 모든 평가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어, 관능품질과 건강기능성 효과 등을 고려할 때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한 최적 첨가비율은 2%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남 여수지역 산업체에 근무하는 근로자의 식품 및 음식의 기호도 조사 (Food and Meal Preference of Workers in the Chonnam Yeosu Industrial Area)

  • 한현미;최일수;정복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92-405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ood and meal preference of workers (435 male and 212 female) in the Chonnam Yeosu industrial area.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by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9.3% of the subjects were twenties, 28.3% were thirties, 28.8% were forties and 23.7% were fifties. Females liked rice rolled in dried laver, rice cakes, janchi-noodle and breads, on the other hand males liked thick beef soup, loach soup, an eel stew and soju. The young liked instant noodles, fried chicken, sweet and sour pork, pork cutlet, pizza, hamburger, ham, sausage and fruit beverage, on the other hand the old liked a fish pot stew, loach soup, eel stew, fish boiled in soy with spices, panfried fish, sea slug, ascidian, bunder, green laver and boiled burdock-lotus root in soy. Females who are young liked hamburger and sweet and sour pork whereas males who are young liked instant noodles, pork cutlet, ham, sausage and fruit beverage. Aged females liked fish boiled in soy with spices, panfried fish, bunder, green laver, boiled burdock-lotus root in soy whereas aged males liked a fish pot stew, loach soup, eel stew, sea mussel and oysters. Boiled rice was located within the middle irrespective of age and sex, but noodles, wheat flour meal, fast foods and fruits were situated at the young female side. Aged males liked soup and pot stew. Young males liked meats and eggs whereas fish and shellfish and kimch were located at the aged people side. Aged females liked sea weeds and most people disliked vegetables but females liked some vegetables irrespective of age. Processed foods, salted foods, and alcohol were generally disliked foods by subjects but males liked those foods. Soybean curd was liked more males than females, and teas, except coffee, was liked by mal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4) : 392${\sim}$405, 2009)

콩과 식물에서 추출한 사포닌의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 (Desmutagenic Effect of Legumes and Plants Crude Saponins in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 류병호;이병호;하미숙;김동석;신동분;남기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45-350
    • /
    • 1986
  • 4종과 콩과 6종의 식물에서 추출한 사포닌을 methyl-5H-pyrido[4, 3-b] indole(T-p-2), 3-amino-1-methyli-midazo[4, 5-f] guinoline(MeIQ) 및 Aflatoxin $B_1$을 이용하여 Salmonella typhimurium TA 98로서 돌연변원성 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콩과 팥의 사포닌(2.0 mg/plate)은 aflatoxin $B_1$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6종의 식물의 사포닌을 대부분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가 우수하였다. 식물에서 추출한 사포닌 중 토란, 우엉 그리고 인삼사포닌은($1.0{\sim}2.0\;mg/plate$)은 MeIQ에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인삼과 칡의 사포닌은 우수한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Aflatoxin $B_1$에 대한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는 더덕을 제외한 식물성 사포닌은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우엉(Arctium lappa L.) 뿌리 Polyphenol Oxidase의 부분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phenol Oxidase from Burdock (Arctium lappa L.))

  • 임정호;정문철;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89-495
    • /
    • 2005
  • 우엉 뿌리(Arctium lappa L.)에서 polyphenol oxidase가 DEAE-Cellulose 음이온 수지, 황산암모늄 침전법, Phenyl-sepharose CL-4B 친화크로마토그래피 그리고 Sephadex G-100 겔여과크로마토그래피 등의 과정으로 정제되었며 정제효소의 효소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정제된 효소의 분자량은 약 30 kDa의 단일폴리펩티드 사슬로 구성되어 있었다. 효소반응의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7.0과 35$\circC$이었으며, pH 2와 6 사이의 산성조건과, pH 8과 10 사이의 알카리 조건에서는 활성이 감소되거나 상실되었다. 온도에 대한 영향을 살펴본 결과, 40$\circC$까지 비교적 안정한 활성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50$\circC$에서 30분간 정치 시 효소활성을 50%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이 효소는 catechol과 L-DOPA에 대하여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hlorogenic acid과 catechol에 대한 Km 값은 각각 16.18 mM과 23.11 mM이었다. Ascorbic acid와 L-cysteine은 우엉 뿌리 polyphenol oxidase의 효소활성을 감소시켰으며, 금속이온의 경우 $Cu^{2+}$가 효소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인자로 나타났다.

야채추출물의 융복합적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Convergence of Vegetable Extract in Cancer cells)

  • 박해란;박정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491-496
    • /
    • 2016
  • 본 논문은 야채추출물의 인간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야채수프에 사용되는 무, 무청, 우엉, 표고버섯, 당근등의 야채추출물을 이용하여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살펴보았다. 인간 암세포주는 위암 (AGS) 세포주,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 (HL-60) 세포주, 폐암 (A549) 세포주를 사용하였으며 MTS방법으로 암세포 증식 억제를 확인하였다. 위암 세포주는 표고버섯과 당근에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 세포주는 무청, 우엉, 당근에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우엉과 당근에서 유의성 있는 억제를 보였으며 폐암 세포주는 무, 무청에서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있는 야채추출물을 이용한 야채스프는 항암성이 있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과 융복합적인 웰리스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채소 식품의 건강 이미지가 기호와 섭취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ealthy Image on Preference and Intake of Vegetables)

  • 박모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1-152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mage on the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19 vegetables. A total of 359 usable surveys were collected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 subjects included females (51.8%), university students (50.7%), home residents (66.9%) and subject's spending 20,000~40,000 won on meals/week (41.5%) and eat out 2~3 times/week (29.5%). The intake frequency of vegetables was 2~3 times per month. The healthy image of all vegetables was good overall and the average preference was 3.78 (out of 5 on the Likert). Tomatoes had the healthiest image, onions the highest preference, and Korean cabbage the highest intake frequency. For males, the vegetable with the healthiest image was sesame leaf, while the healthiest foods for females were broccoli and tomatoes. Elementary students had a healthier image of cucumber, bean sprouts, radish, sesame leaf, lettuce, radish leaf, and cabbage than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Home residents had a healthier image of cabbage and burdock than other types of residents. Subject that st over 20,000 won per week on meals had a higher image of most vegetables. In terms of preference, males liked Korean cabbage, green pumpkin, balloon flower roots, radish leaf, and lotus root, but female liked tomatoes. In addition, elementary students, home residents, and subjects who eat out less often tended to prefer vegetables. In terms of intake, there was a high frequency of intake for all vegetables in adults. Home residents specifically had a higher intake of cucumber, carrot, bean sprouts, spinach, green pumpkin, balloon flower roots, lettuce, radish leaf, broccoli, burdock, lotus root, and tomato. Overall, the healthy image of vegetabl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Therefore, to encourage the intake of vegetables, direct or indirect variables should be examined.

증숙 건조 방식에 의해 제조한 우엉차의 기능성 및 성분 (Functionality and Components of Burdock Tea Prepared by Steaming and Drying Method)

  • 황은경;이선현;김병기;김수정;안용근;도륜;오성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3-33
    • /
    • 2019
  • 우엉을 9번 찌고 9번 말려서 차를 제조한 다음 M사의 우엉차와 성분 및 기능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개발한 우엉차는 칼로리 346.48kcal, 탄수화물 72.75g/100g, 단백질 11.98g/100g, 회분 5.01g/100g이었다. 무기물 함량은 칼륨 1,476.21 mg/100g, 칼슘 255.96 mg/100g, 마그네슘 311.41mg/100g 이었다. 유리당 총량은 31.93 mg/100g이었고 그중 fructose 26.27mg/100g, glucose 4.39 mg/100g, sucrose 1.27 mg/100g이었다. 포화지방산은 40.73 mg/100g, 불포화지방산은 59.28 mg/100g이고 그 중 linoleic acid 41.28 mg/100g, palmitic acid 33.11 mg/100g, oleic acid 10.07 mg/100g, linolenic acid 7.92 mg/100g이었다. DPPH 라디컬 소거력은 개발한 차 33.9%, 비교용 M사 차 2.3%, 지표물질 37.2%였다. ABTS 라디컬 소거력은 개발한 차 90.7%, M사차 85.9%, 지표물질 47.6%였다. SOD 유사활성은 개발한 차 11.3%, 비교용차 50.5%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개발한 차2.6 fold, M사차 2.9 fold, 지표물질 1.7 fold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개발한 차 33.8 fold, M사차 38.9 fold, 지표물질 13.4 fold였다. 기호도는 1회 우린 것과 5회 우린 것을 비교하였다. 1회 우린 것을 기준으로 할 때 5회 우린 것의 기호도 중 색은 개발한 차 65.9%, M사차 12.8%, 향기는 개발한 차 78.0%, M사차 33.3%, 맛은 개발한 차 71.4%, M사차 20.7%, 나타났다. 이같이 비교용 M사차는 우릴수록 추출 성분이 감소하여 5회 후에 종합적인 기호도는 21.4%로 감소한 반면 개발한 차는 감소폭이 적어서 72.1%를 나타냈다. 이같이 개발한 우엉차는 비교용 M사차 및 지표물질보다 항산화 작용이 강하고 유효 물질 함량도 더 많고, 기호성도 높으므로 질병 예방 및 개선 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한다.

EFFECTS OF FRUCTO-OLIGOSACCHARIDES ON MILK-YIELD AND MILK-COMPONENTS OF DAIRY COWS

  • Kobayashi, S.;Eida,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권1호
    • /
    • pp.21-25
    • /
    • 1990
  • Fructo-oligosaccharides are found in many plants, such as onion, burdock and wheat. They are not well hydrolyzed by digestive enzymes in animals, but are peculiarly assimilated by Bifidobacterium and some useful bacteria. In our previous experiment (Kobayashi et al., 1987) it was suggested that they were effective in decreasing energy loss in the metabolism of dairy calves.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fructo-oligosaccharides on body weight, milk-yield and milk-components (fat, protein and solids-not-fat) were investigated in dairy cows. Lactating cows were fed a standard diet containing fructoligo saccharides at 18.70g, 9.35g and 0.0g (control) per 100kg body weight, day for three weeks. Neither treatments significantly affected any of the parameters examined. The fructo-oligosaccharides were assumed to be hydrolyzed by rumen microorganisms and hardly to affect the bacterium florae in the intestines of the lactating co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