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lblet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17초

식용 백합 Lilium brownii의 생육특성과 인편조직배양이 자구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lblet Formation on Scale Tissue Culture and Growth of Characteretis in Edible Lilium brownii spp.)

  • 박노복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9권1호
    • /
    • pp.75-82
    • /
    • 2017
  • 식용백합 Lilium brownii의 국내 생육특성과 인편조직배양에 의한 자구 발생수, 자구중, 자구중은 다음과 같다. 노지조건에서는 5월 25일 개화하였고 무가온하우스는 5월 18일이었으며 초장은 노지 50±3cm, 하우스 54±3cm 였다. 인편착생 위치별 자구 발생수, 자구중, 자구중은 외인편>중인편>내인편 순으로 좋았다. 인편 크기별로는 대인편에서 3.5개로 가장 많았고 인편이 클수록 자구중, 자구중이 좋았다. 대량생산을 위한 BA 농도별 처리는 BA. 1.5mg/l에서 3.8개로 가장 많았고 자구중 및 자구경도 좋았다.

생물반응기에서 저반부가 비대된 자구 절편체에 의한 오리엔탈 나리 'Casa Blanca' 의 대량증식 (Micropropagation of Lillium Oriental Hybrid 'Casa Blanca' using Bulblet Sections with swollen Basal Plate in Bioreactor)

  • 한봉희;예병우;구대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35-140
    • /
    • 2001
  • 본 연구는 오리엔탈 나리 'Casa Blanca' 의 기내인편에서 저반부가 비대된 자구를 형성하고, 형성된 자구절편을 배양하여 저반부가 비대된 자구의 증식 및 자구를 비대시키는, 5 L의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일련의 대량생산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5 L airlift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액체배양에서는 저반부가 비대된 자구의 형성 및 증식은 전혀 이루어 지지 않았으며, 인편엽만 무성하게 자랐다. 재료가 배지에 일시적으로 침지되는 ebb & flood형의 생물반응기에서 저반부가 비대된 자구 절편체를 배양한 결과, 저반부가 비대된 자구들이 증식하였다. 광은 자구의 증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명배양에서는 인편엽의 발생률이 높았으며, 저반부가 비대된 자구 증식은 MS 배지에 BA 2.0 mg/L와 IAA 0.3 mg/L가 첨가된 배지에서 양호하였다. 5L airlift 생물반응기에서 저반부가 비대된 자구 절편체로부터 자구비대는 MS 배지에 sucrose 70 g/L가 첨가된 배지에서 액체배양하는 것이 양호하였으며, 16주 배양기간 동안 배양 8주 후에 배지를 교체하는 것이 자구비대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5 L의 생물반응기에 3 L 액체배지에는 절편체를 15 g을 주입하는 것이 자구비대에 적절하였다.

  • PDF

오리엔탈 백합의 순화재배시 자구크기, 저온처리, 배양기간이 경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lblet size, low temperature treatment and time of incubation on stem emergence during of Lilium oriental hybrids.)

  • 박노복;홍성필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3권1호
    • /
    • pp.79-84
    • /
    • 2001
  • 오리엔탈 나리의 기내 인편배양 자구의 경출엽 유기를 위한 제요인 구명으로 자구의 크기, 저온처리기간, 기내 배양기간에 따른 경출현 발생과 자구비대를 실험한 결과 대자구가 중, 소자구보다 경출현이 좋았으며 구근비대도 양호했다. 'Acapulco' 대자구에서 95%로 가장 높았고 'Casablanca' 품종의 소자구에서는 전혀 경출현이 되지 않았다. 휴면타파를 위한 저온처리는 최소한 9주이상 소요되었으며 저온처리 6주에서는 경출엽현이 낮고 자구의 비대도 저조하였다. 배양기간이 길어질수록 경출현 발생이 높았고 자구중도 많이 나갔다.

패모 인편 배양시 자구 형성과 비대에 미치는 배양 방법과 생장 조절제의 처리 효과 (The Effect of Culture Methods and Plant Growth Regulators on Bulblet Formation and Growth in Scale Segment Culture of Fritillaria thunbergii Miq.)

  • 백기엽;유광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2-138
    • /
    • 1996
  • 패모의 기내 주년 생산 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cytokinin이 첨가된 배치에서 배양 방법의 차이가 자구 형성과 비대에 미치는 영향, 배지의 삼투 포텐셜 조절을 위한 mannitol 첨가나 활성 탄소 및 생장 억제제 처리가 기관 형성과 인편 비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0mg/L kinetin과 0. 3mg/L NAA가 혼용 처리된 MS 고체 배지에서 액체 배지나 액체 현탁배지에서보다 효과적인 자구 생장과 증식율을 나타냈으며, 액체 배지나 액체 현탁처리 배지에서는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활성 탄소의 농도는 $0.01%{\sim}0.1%$ 처리구에서 형성된 자구의 비대가 양호하였고, 0. 5% 이상 농도에서는 오히려 생장이 억제되었다. $1{\sim}2%$ mannitol이 첨가된 배지에서 인편으로부터의 자구 형성수 및 구비대가 양호하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생장에 저해적으로 작용하였다. 생장 억제제인 B-9과 Chloromequat 처리구에서는 $10{\sim}100mg/L$ 처리구에서 자구 발생 및 비대가 양호하였으나, 발생 인편의 생육 상태가 억제되었으며, ABA 처리구에서는 배양 중 인편이 모두 고사하였다.

  • PDF

땅나리 기내 인편 배양시 광환경과 배양 절편체의 조건이 증식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and Scale Explant Conditions on Propagation Efficiency in Lilium callosum Scale Culture)

  • 박지영;유용권;정정학;김기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3호
    • /
    • pp.358-360
    • /
    • 1998
  • 본 실험은 자생나리인 땅나리의 기내 대량생산 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배양환경중 광환경 및 배양 절편체의 분화 능력 조건을 유도하여 자구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광조건은 24시간 지속적인 일장처리와 2,500~5,000 Lux 정도의 광도가 자구의 발달에 효과적이었다. 계대배양시 번무한 지상부를 자구의 연접부위까지 완전히 절단해 줌으로써 전반적인 식물체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었고, 절편체의 크기가 클수록 자구수가 많았으나, 자구의 비대는 모인편의 크기가 작은 처리구에서 약간 우수하였다. 광을 많이 필요로 하는 땅나리는 기내 인편 배양시 치상방법을 배지면 위에 노출시켜 치상하는 것이 자구생산면에 있어서 효율적이었다.

  • PDF

MS 배지 무기물, 당 및 활성탄의 농도가 Lilium Oriental Hybrid 'Casa Blanca'의 기내인편으로부터 자구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organic Salts in MS Medium, Sucrose, and Activated Charcoal on Bulblet Formation from in Vitro Bulbscales in Lilium Oriental Hybrid 'Casa Blanca')

  • 한봉희;예병우;구대회;고재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3-107
    • /
    • 1999
  • Lilium oriental hybrid 'Casa Blanca'의 기내인편에서 자구를 대량생산하기 위하여 MS배지의 염류농도 및 당, 광조건 등이 자구의 형성 및 비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MS배지의 1/2~2배 염류농도에서 자구의 형성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3배 염류농도에서 자구의 형성이 현저히 억제되었다 자구의 비대는 MS기본배지에서 가장 촉진되었다. 배지의 NH$_4$$^{+}$ : NO$_3$의 비율이 1 : 2와 1 : 3일 때, 또는 MS기본배지 (NH$_4$$^{+}$ : NO$_3$= 약 1 : 2)가 인편에서 자구의 형성 및 비대에 적절하였다. 따라서 MS 기본배지가 자구의 형성 및 비대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의 농도가 높아지면 자구형성은 억제되고 자구비대는 촉진되었으며, 당 9~12% 첨가배지에서 자구비대가 양호하였다. 배지내 활성탄의 첨가는 인편에서 자구의 형성을 억제하였으나 형성된 자구의 비대는 촉진하였다. 특히 활성탄 1 g/L를 첨가한 배지가 자구의 비대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자구의 형성 및 형성된 자구의 비대는 명, 암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L. Oriental Hybrid 'Casa Blanca'의 기내 대량번식은 당 9%와 활성탄 1 g/L가 첨가된 MS기본배지에서 기내인편을 배양하여 자구를 형성 및 비대시키고 형성된 자구의 인편을 계대배양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 PDF

자생나리의 기내 소인경 비대에 미치는 온도, 일장 및 자당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Day length and Sucrose on Bulblet Enlargement of Korean Native Lilies In Vitro)

  • 엄선정;변미순;구대회;김규원
    • 화훼연구
    • /
    • 제16권3호
    • /
    • pp.161-167
    • /
    • 2008
  • 자생나리 8종을 식물재료로 소인경 비대에 미치는 배양온도, 일장 및 자당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자생나리는 $25^{\circ}C$에서 소인경의 비대가 양호하였으나, 날개하늘나리와 섬말나리는 $20^{\circ}C$에서 비대가 촉진되었다. 또한 하늘나리, 말나리, 털중나리와 날개하늘나리는 암조건에서 비대가 촉진되었으나, 섬말나리와 중나리는 일장이 증가할수록 생체중이 증가하였다. 하늘나리와 솔나리는 명암조건과 소인경의 비대와는 무관하였다. 대부분의 자생나리는 자당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체중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120g{\cdot}L^{-1}$ 첨가구에서 소인경의 비대가 촉진되었다. 그러나 하늘말나리와 솔나리는 $60g{\cdot}L^{-1}$ 구에서, 날개하늘나리는 $90g{\cdot}L^{-1}$ 첨가구에서 소인경의 비대가 촉진되었다. 소인경의 비대는 인편엽의 형성이나 분구율이 낮을 때 촉진되는 경향이었으나, 인편엽의 형성보다는 분구현상에 더욱 큰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인편엽의 발생, 분구현상 그리고 소인경의 비대는 배양조건보다 유전적 요인, 즉 종에 따른 영향이 더욱 컸다.

MS 배지 내 무기물 농도 및 질소 농도가 나리의 자구 형성과 비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S Medium Strength and Nitrogen Concentration on Bulblet Formation and Growth of Lilium In Vitro)

  • 염미란;박현춘;양찬석;백기엽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341-346
    • /
    • 2001
  • 본 실험에서 Lilium oriental hybrid 'Casa Blanca'. asiatic hybrid 'Mona'와 longiflorum hybrid 'Hinomoto'의 기내 인편으로부터의 자구 형성 및 비대를 위해 MS 배지 내 무기물 농도를 0.5∼2배로, 배지 내 총 질소 농도를 30∼120 mM로 달리하여 자구 형성과 생장을 조사한 결과 인편으로부터의 자구 형성수는 0.5와 1배의 MS 배지 무기물 농도 또는 30 mM의 총 질소 농도에서 'Mona' 품종이 다른 품종에 비해 가장 많았다. 'Casa Blanca'와 'Hinomoto'에서는 0.5배 MS 무기물 농도 또는 30 mM의 질소 농도가 자구 형성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자구 비대는 2배 MS 무기물 농도 또는 120 mM 총질소 농도에서 3품종 모두 양호하였다.

  • PDF

쪽파(Allium wakegi Araki)의 정단분열 조직배양으로부터 식물체 분화와 인경형성 (Direct Plant Regeneration and Bulblet Formation from Apical Meristems Culture in Allium wakegi Araki)

  • 송원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6
    • /
    • 2004
  • 쪽파의 정단분열조직을 LS기본배지에 zeatin(0.1, 0.5, 1.0, 3.0mg/L)과 NAA(0.1, 0.5, 1.0, 2.0, 5.0mgA)를 단독 및 혼합 첨가시키어 식물체 생산과 인경 형성율을 조사하였다. 정 단분열조직으로부터 신초 분화는 zeatin 0.1, 0.5, 1.0 mg/L 단독처리구와에 zeatin 0.5 mg/L에 NAA 1.0mg/L 혼합첨가구에서 가장 양호한 반응을 보였다. 뿌리분화율은 zeatin 0.5 mg/L에 NAA 1.0mg/L 혼합첨가구에서 가장 좋았다. 분화된 식물체로부터 정상적인 인경형성은 NAA단독첨가보다는 zeatin과의 혼합첨가가 효과적이었다. 특히 NAA 3.0mg/L에 zeatin 1.0mg/L를 혼합시켰을 때 정상적인 인경 형성에 가장 좋은 반응을 보였다.

오리엔탈 백합의 인편 및 줄기의 박판 세포층 절편으로부터 고빈도 자구형성 (High Frequency Bulblet Formation in Scale and Stem Thin Cell Layer Explant Cultures of Lilium Oriental Hybrids)

  • 오승철;정명희;김석원;유장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3호
    • /
    • pp.251-255
    • /
    • 2003
  • An efficient system for in vitro bulblet formation of Lilium oriental hybrids(cvs). Casa Blanca and Siberia is described. Transverse thin cell layer(tTCL)(1mm thick) explants of 'Casa Blanca' formed bulblets at a frequency of 97.7% when cultured o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mg/L 2,4 dichlorophenoxyacetic acid(2,4-D) (On average 15.6 bulblets were formed per explant). The frequency of bulblet formation was drastically reduced when the explant ghickness was thinner than 1 mm. Explants from the outermost layer of bulb scale produced greater frequency of bulblet formation than middle or innermost layer. Among auxins supplemented to culture medium at 1 mg/L, 2,4-D led to greater frequency of bulblet formation on explants than dicamba, picamba, or phenylacetic acid(PAA). tTCL explants from the middle region of the outermost layer bulb scale yielded greater frequency of bulblet formation than the upper or lower region. tTCL stem explants of 'Siberia' formed bulblets at a frequency of 95.3% when cultured on MS medium with 1 mg/L 2,4-D(On average 9.1 bulblets were formed per explant). The system estabilish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in vitro rapid propagation and genetic transformation of Lilium Oriental hybr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