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ric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1초

당류 및 유지류 첨가가 밥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ng Sugars and Lipids on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 권혜진;김영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3-170
    • /
    • 1999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ding sugars and lipids on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the solubility, swelling power, blue value, amylogram and sensory evaluation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s with 0.5, 1.0, 1.5, 2.0% level of sugars and lipids additives were measured. The solubility, swelling power and blue value of cooked rice with sugars were increased as the more sugars were added. Those parameters of the cooked rice with isomalto oligosaccharide were higher than sucrose. The solubility decreased as the more lipids were added. The swelling power decreased as the more lipids were added. As the result of amylograph analysis, addition of isomalto oligosaccharide accelerates the gelatinization and retards the retrogradation. In sensory evaluation, the cooked rice with 0.5% level of sucrose and isomalto oligosaccharide were showed better acceptability than the others. In conclusion, the additions of sugars and lipids affect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Especially, the cooked rice with 0.5% isomalto oligosaccharide was showed the best physi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 PDF

선식용 곡류원료 및 제조공정에 따른 유해미생물 오염도 분석 (Analysis on Hazard Microorganisms in Raw Materials and Processing Environment for Sunsik Manufacture)

  • 김진희;이유근;양지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10-416
    • /
    • 2011
  • 선식의 품질향상과 위생적인 선식제조에 기초단계인 곡류원료에 위생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선식업체 19곳을 방문하여 선식용 곡류원료 10종류에 대한 일반생균수는 찹쌀 4.8~7.2, 보리 4.8~8.6, 현미 4.6~7.4, 검정콩 4.3~7.1, 검정쌀 4.1~7.1, 검정깨 4.1~6.1, 찰수수 3.1~5.1, 찰조 4.2~5.1, 들깨 3.1~5.1, 율무 3.6~5.2 log(CFU/g)로 검출되었고, Coliform, E. coli은 찹쌀 4.4~2.1, 2.1~3.4, 보리 2.2~4.4, 2.1~3.1, 현미 3.1~3.2, 1.0~2.8, 검정콩 2.3~3.8, 검정쌀 2.1~3.1, 1.0~2.1, 검정깨 2.3~3.6, 찰수수 2.2~2.4, 찰조 2.3~3.2, 들깨 2.3~3.1, 1.0~2.1, 율무 2.2~3.2, 1.0~2.1 log(CFU/g)검출되었으며, B. cereus은 찹쌀 1.0~2.1, 보리 2.1~3.1, 현미 2.4~2.6, 검정쌀 2.1~3.5, 들깨 1.0~2.1 log(CFU/g)로 검출되었다. Sal. spp은 검정깨에서 검출되었고, mold는 보리에서 검출되었다. 제조공정 중 미생물 오염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일반생균수는 입고단계의 경우 5.1~8.5 log(CFU/g)로 검출되었고, 세척 및 증자 공정은 4.4~7.5, 1.0~2.3 log(CFU/g)로 검출되었으며, 냉각, 건조, 방냉, 마쇄, 포장공정에서는 2.4~4.2, 1.0~4.0, 3.4~4.2, 4.3~5.2, 3.3~5.8로 검출되었다. 대장균군는 입고공정에서 1.0~2.01 (CFU/g)로 검출되었고, mold은 입고단계에서 검출되었다. 선식 가공업체의 환경 중 미생 물 결과 일반생균수는 원료탱크 40.2~7.5(CFU/g), 세척기와 건조기는 0.1~2.0, 0.1~3.2(CFU/g)로 검출되었고, 분쇄기, 포장지, 작업실은 3.2~4.0, 2.5~3.0, 3.8~5.2로 검출되었으며, 대장균군은 원료탱크와 분쇄기에서 각각 2.4~4.0, 0.0~4.1 log(CFU/g) 검출되었으며,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Mold은 원료탱크와 분쇄기, 작업실에서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