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ing degree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6초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한 마늘 열풍건조 공정의 최적화 (Development of Optimum Processing Conditions in Air Dried Garlic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명환;김병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4-238
    • /
    • 1990
  • The effects of salt concentration immersion time in a salt solution prior to air dehydration and heating of air temperature during dehydration upon the browning reaction and pyruvic acid content of air dried garlics to a 6.5% moisture content(wet basis) were analyzed by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RSM), Those values were also predicted by using a second degree polynomial regression model. Heating of air temperature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both browning reaction and pyruvic acid content. Salt concentration had more influence to browning reaction than immersion time whereas immersion time was more impor-tant factor than salt concentration on a retention of pyruvic acid sugested different processing conditions. While the processing conditions to minimize the browning reaction(O.D=0.009) were 0.3% of salt solution 9 min of immersion time and 5$0^{\circ}C$ of air temperature compared to control(O.D=0.022) of air dehydration at 5$0^{\circ}C$ Pyruvic acid contents were maximized(174 $\mu$mole/g garlic solid) at the 0.1% of salt solution 3 min of immersion time and 5$0^{\circ}C$ of air temperature compared to control(147 $\mu$mole/g garlic solid) of air dehydration at 5$0^{\circ}C$

  • PDF

진공 예냉처리가 포장 저장중 표고버섯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Vacuum Cooling on Browning, PPO activity and Free Amino Acid of Shiitake Mushroom)

  • 김병삼;김의웅;정진웅;김동철;남궁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4호
    • /
    • pp.345-352
    • /
    • 1995
  • 진공예냉처리에 의한 표고버섯의 변색, PPO활성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였다. 저장중 예냉처리한 버섯의 경우 예냉처리하지 않은 버섯에 비하여 표면색택의 변화가 억제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저장중 Polyphenoloxidase(PPO) 의 활성은 증가하였는데 예냉처리한 버섯의 경우 예냉처리하지 않은 버섯에 비하여 PPO 활성이 낮게 나타났고 갈변이 진행되면서 그 활성이 상대적으로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포장방법에 있어서는 PVC 랩포장한 경우가 골판지 포장한 표고버섯에 비하여 변색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고 아울러 PPO 활성도 더 낮게 나타났다. 표고버섯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수확 직후에는 2,501 mg%였으며 그 중 glutamic acid가 가장 많았고, 저장중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계속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처리구별 차이를 보면 예냉처리한 버섯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예냉처리하지 않은 버섯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온도와 포장방법 그리고 기간에 따라서 상당한 변화를 보였다.

  • PDF

알칼리에 의한 천마 단백질 추출의 최적 pH 조건 (Optimized pH condition of protein extraction of Gastrodia elata Blume by alkaline method)

  • 장혜림;윤경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56-26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알칼리 사용에 따른 갈변을 최소화하고 영양적으로 우수한 천마 단백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용출 및 침전 pH에 따른 단백질의 갈변도와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탈지 천마 단백질 알칼리 추출의 최적 pH 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천마의 수분은 약 15%로 측정되었으며, 대부분 탄수화물로 구성되어 있었고, 단백질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단백질을 다양한 pH에서 용출시킨 결과 pH가 증가함에 따라 용출된 단백질의 양이 증가하였으며, 갈변도 또한 증가함을 보였다. 침전 pH에 따른 단백질 함량은 pH 4에서 침전된 pellet이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상등액의 단백질 함량 또한 대부분 pH 4로 침전시킨 경우 가장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단백질의 회수율도 침전 pH가 4일 때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갈변도와 단백질 함량을 고려한 탈지 천마 단백질 추출을 위한 최적조건은 용출 pH 9와 침전 pH 4로 결정되었다.

Propolis 의 처리가 마른 오징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polis Treatment on the Quality of Dried Squid)

  • 양승용;이남혁;홍상필;방현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56-360
    • /
    • 1999
  • 프로폴리스 처리가 마른 오징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수분함량 29% 내외의 마른 오징어를 조제하고 0.25% 및 0.5% propolis를 처리하여 저장 중 총균수, TBA가 및 갈변도를 측정하였다. Propolis 처리 오징어는 총균수에서 저장 30일경 $72{\sim}80$마리/g로 대조구 보다 30배 이상 낮게 나타났으며 TBA가의 경우 propolis 처리 오징어는 시판 오징어 보다 $0.1{\sim}0.2$ 정도 적은 값으로 약 $15{\sim}25%$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한편 propolis 처리 오징어와 시판 오징어의 갈색도는 저장 기간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으나 propolis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L값이 높고 a값 및 ${\delta}E$값이 낮게 나타나 propolis 처리구의 갈색도가 시판 오징어에 비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프로포리스는 수분함량을 높혀 조직감을 개선한 오징어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응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L-Ascorbic acid 갈변반응물질 중 항산화성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Antioxidative Substances from Browning Reaction Product Obtained from L-Ascorbic Acid Solution)

  • 유병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14-219
    • /
    • 1993
  • pH7.0으로 조절한 2M의 AsA 용액을 $85^{\circ}C$에서 25시간 갈변반응시켜서 생성된 물질 중 항산화효과를 지닌 물질을 분리하고 성질을 조사하였다. 투석내액 및 투석외액 갈변반응물질 모두 항산화성이 존재하였고 투석외액 갈변반응물질의 항산화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투석외액 갈변반응물질을 gel 여과하여 분리된 3가지 획분(A, B, C)중 갈변도가 가장 높고 환원력이 가장 낮은 획분(C)의 항산화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항산화성이 중간정도인 획분(B)은 환원력의 세기와 갈변도가 세획분중 중간정도에 속하였고 환원력은 가장 높고 갈변도가 가장 낮은 획분(A)은 항산화효과가 가장 낮았다. UV-Visible spectrum에서 A획분과 B획분은 각각 266.1 및 257.4nm에서 최대흡광 peak를 나타냈으나 C획분은 274.8nm에서 약한 peak를 나타내었다. IR-spectrum 조사결과 A, B 및 C획분 모두 hydroxy 및 carboxylic group이 존재하였고 항산화성이 큰 B와 C분획은 carboxylic ester이었다.

  • PDF

당-Lysine 모델 수용액을 이용한 감마선 조사에 의한 비효소적 갈변반응 연구 (The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 Occurred by Gamma Irradiation in Sugar-Lysine Aqueous Model Solution)

  • 이주운;오상희;김재훈;변의홍;김미리;김관수;이현자;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83-587
    • /
    • 2006
  • 당 및 lysine 혹은 당-lysine 혼합모델 수용액에서 감마선 조사에 의한 갈변도 변화 및 화학적 특성을 연구한 결과 감마선 조사에 의한 비효소적 갈변반응은 당 및 아미노산 단독 환경에서는 일어나지 않았으며, 당-아민 환경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lysine 혼합용액의 감마선 조사에 의한 갈변 반응성은 당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나, 당의 감소와 갈변도 사이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비환원당인 sucrose는 감마선 조사에 의해 환원력이 생성되었으며, 다른 당에 비해 높은 갈변 반응성을 나타냈다.

전처리 방법에 따른 민들레 볶음차의 특성 (Properties of Dandelion Tea by Pre-treatment Process)

  • 오상룡;양진무;허향옥;박준희;강우원;강미정;김광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6-141
    • /
    • 2000
  • 천연에 널리 존재하는 민들레를 차라는 식품형태로 접목시켜 상용식품으로 개발하고자 전처리 과정에 따른 특성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형분 함량과 추출수율은 예비건조구보다 예비건조를 하지 않은 비처리구에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탁도와 갈색도는 예비건조 유무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지만 비처리구보다 예비건조구에서 다소 높은 갈색도를 나타내었고 찌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낮은 탁도와 갈색도를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각 변수간에 교우작용이 생겨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예비건조 하지 않고 찌는 시간 60초로 처리할 경우, 산 맛, 풋내 및 떫은맛이 가장 적었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비처리구보다 예비건조구에서 유의적으로 매우 높은 평가를 나타내었고. 예비건조 하지 않은 비처리구는 60초간 찐 뒤 볶음처리 하는 것이 기호도면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송풍건조 시간이 길어질수록 고형분 함량, 추출수율. a값, b값, 탁도 및 갈색도는 높았고, L값은 낮았다. 볶음시간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10시간 송풍 건조하여 5분간 볶음처리 하는 것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비처리구에서 60초 찐 후 볶음 차 제조 공정에 따라 제조한 것과 3$0^{\circ}C$에서 10시간 송풍건조 후 볶음 차 제조공정에 따라 제조한 것이 좋은 민들레 차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 PDF

한약재 추출물, 가열 및 코팅 처리가 신선절단 사과의 갈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cinal Herb Extracts and Heat and Coating Treatments on the Browning Degree of Fresh-Cut Apples)

  • 정헌식;이주백;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813-817
    • /
    • 2012
  • 신선절단 '후지' 사과의 갈변도에 화학물질(ascorbic acid, cystein, sod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 calcium chloride, histidine: 1% 용액), 한약재(갈근, 당귀, 산약, 오약, 천궁, 황기: 1% 추출액), 가열(절단과실과 원형과실, $40-60^{\circ}C$ 증류수) 및 코팅(albumin, dextrin, sucrose poly ester, whole soy flour: 0.5-4% 용액) 처리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 처리방법별 신선절단 사과의 갈변도는 1% calcium chloride 용액 처리, 황기 추출물 처리, 3% dextrin과 1% whole soy flour 코팅 처리에 의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가열처리의 갈변도는 절단과실 처리시에는 $50^{\circ}C$에서, 원형과실 처리시에는 $45^{\circ}C$에서 각각 처리한 시료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로써 신선절단 사과의 갈변에 대한 한약재 추출물, 가열 및 코팅 처리의 억제 효과와 조건이 확인되었고, 이러한 방법은 화학물질을 부분적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산채류의 Thiamine 분해능 비교 (Comparison of Antithiamine Activities of Wild Vegetables)

  • 윤재영;송미란;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08-811
    • /
    • 1988
  • 국내에서 소비되는 산채류에 대하여 thiamine분해능을 thiochrome 형광법과 Lactobacillus viridescens를 이용한 미생물법으로 측정하였고 페놀 화합물의 함량 및 갈색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더덕, 도라지, 토란대, 호박꼬지, 표고버섯, 도토리 전분 등은 thiamine분해능이 크지 않았으나 가지, 고구마 줄기, 고사리, 고춧잎, 취, 즉 등은 상당량의 thiamine분해능을 가지고 있었다. Thiamine분해능이 큰 산채류는 페놀 화합물의 함량과 갈색도도 높았다. 따라서 산채류를 식용으로 할 때는 thiamine급원식품과 함께 조리하지 말 것이며 조리 즉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Comparative Evalua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ine Needle Powders Prepar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 Chung, Ha-Sook;Lee, Jun H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0권2호
    • /
    • pp.143-147
    • /
    • 2015
  • Systematic study of how different drying methods, namely hot-air drying, vacuum-drying, and freeze-drying, affect color, browning index, degree of rehydration, water solubility, and vitamin C content is critical for utilizing pine needle powders (PNP) as a novel ingredient in functional foods. Samples prepared by vacuum-drying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value, whereas higher $a^*$- and $b^*$-values were detected in the hot-air dried samples (P<0.05). The browning index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amples prepared by vacuum-drying compared to samples prepared by freeze-drying (P<0.05). Freeze-dried PNP exhibited a significantly higher degree of rehydration than hot-air dried samples (P<0.05). Water solubilities of freeze-dried and hot-air dried samp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vacuum-dried sample (P<0.05). Vitamin C was less destroyed during freeze-drying compared to hot-air or vacuum-drying (P<0.05). Freeze-dried samples displayed a clear porous structure and appeared to have a bigger space, whereas hot-air dried samples showed lower porosity than vacuum and freeze-dried sam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