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 pigments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4초

산란계 사료에 천연 및 합성착색제 첨가가 산란성적, 난질 및 난황의 지방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atural or Synthetic Pigment Supplementation on Egg Production, Egg Quality and Fatty Acid Contents in the Egg Yolk of Laying Hen)

  • 김창혁;이성기;이규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71-278
    • /
    • 2002
  • 본 시험은 시판 착색제의 형태 및 혼합 수준에 따른 산란성적, 난황 착색도 및 난황 지방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시험 1과 2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사료는 에너지와 단백질 수준이 동일하게 배합하였으며, 시험 1의 옥수수 0%사료는 xanthophylls 이 함유되지 않았으며, 시험2의 옥수수 54% 사료는 xanthophylls 수준이 19.34 ppm이었다. 시험 1에서 갈색산란계 480수는 각 처리당 60수씩 8처리로 구분하여 4주간 옥수수가 함유되지 않은 사료에 여러 수준의 천연 및 합성 착색제를 첨가하여 시험에 이용하였다. 시험 2에서는 갈색 산란계 600수를 각 처리당 60수씩 10처리로 구분하여 옥수수가 54%함유된 사료에 천연 및 합성 착색제를 혼합 첨가하여 4주간 시험하였다. 시험 1과 시험 2에서 사료섭취량, 산란율, 난중 및 사료효율은 착색제의 첨가에 따른 영향이 없었으며, 난질에 있어서도 난백고와 haugh unit은 착색제 첨가와 전혀 관련이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시험 1에서 난황 착색도가 Roche color fan 12∼13에 근접하기 위한 천연 적색착색제 첨가 수준은 25∼30 ppm이었고, 합성 red 착색제는 15∼20 ppm이었으며, 본 시험의 조건에서는 천연착색제보다 합성착색제의 착색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 2에서 착색제 혼합에 따른 착색 효과는 천연 적색착색제를 첨가한 TM2구와 동일한 양의 합성 적색착색제를 첨가한 TM6구를 비교하였을 때, 천연 적색착색제보다 합성 적색착색제의 착색효과가 우수하였으나, 첨가 수준이 높은 TM3와 TM8를 비교하였을 때에는 천연 착색제의 착색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난황내 지방산 함량은 착색제 첨가로 인한 영향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망막 내 노인성 형광색소의 광산화에 미치는 Brown 착색렌즈와 UV-A 차단 안경렌즈의 영향 (The Effect of Brown Tinted or UV-A blocking Ophthalmic Lens Against the Photooxidation of A2E, a Lipofuscin in Retina)

  • 박상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1-97
    • /
    • 2012
  • 목적: 본 연구는 노인성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의 병인으로 잘 알려진 A2E의 광산화가 자외선 차단렌즈나 brown 착색렌즈에 의해 억제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두 분자의 all-trans-retinal과 한 분자의 ethanolamine을 합성하여 만든 A2E에 청색광(420~470 nm, $94mW/cm^2$)을 3분 동안 조사하여 광산화를 유도하였다. UV 차단 및 brown 착색 안경렌즈의 A2E의 광산화 저해 효과는 광산화되지 않고 남아있는 A2E의 흡광도와 HPLC chromatogram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자외선 차단렌즈는 청색광 조사로 유발되는 A2E의 광산화를 억제하지 못하였다. 반면 Brown 착색렌즈에서는 가시광선 차단율이 15%인 경우 A2E의 광산화율에는 별차이가 없었지만, 55%와 86% 차단된 렌즈에서는 각각 9.98%, 16.55%의 A2E 광산화 억제 효과를 보였다. HPLC로 분석한 잔존 A2E량을 확인해 보면 렌즈로 차단하지 않은 A2E의 잔존량은 $199.29{\pm}26.53{\mu}M$ 이었으나, 55% 차단율을 가진 brown 렌즈는 $264.58{\pm}31.91{\mu}M$, 86% 차단율을 가진 렌즈에서는 $402.93{\pm}26.68{\mu}M$의 A2E 잔존량을 보여 A2E 광산화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자외선 차단렌즈의 경우에는 잔존량 분석에서도 광산화 억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brown 착색 안경렌즈는 노인성 황반변성의 원인물질인 A2E의 광산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Penicillifer diparietisporus: a New Record from Field Soil in Korea

  • Das, Kallol;Back, Chang-Gi;Lee, Seung-Yeol;Jung, Hee-Young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27-233
    • /
    • 2018
  • A fungus was isolated from field soil collected from Daegu, Korea. The colony of the isolated fungus showed short, branched, and light to dark yellow pigments with hyaline, yellowish red to orange brown aerial mycelia. In addition, the fungus produced solitary to aggregated perithecia, ovoid to pyriform, short neck, and asci as well as biseriately arranged ascospores. Phylogenetic analysis using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and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sequence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dentified the isolated fungus as Penicillifer diparietisporus, which belongs to the family Nectriaceae.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Penicillifer diparietisporus in Korea.

양식산 넙치의 백화현상에 따른 아미노산 조성의 비교 (Comparison of Amino Acid by Appearance of Albinism in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종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96-501
    • /
    • 1999
  • Albinism is a phenomenon that color of the body surface is changed to white orfaint brown from the specific color to the species by difficiency of pigments due to mutation or disea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xperimental basis on the appearance of albinism in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he skin and muscle from the normal and albinic flounder were used by measuring contents of amino acid free amino aci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Contents of amino acid in theskin and muscle are different from normal and albinic flounder. Phenolic and sulfuric amino acids in the skin of normal flounder were 2 times those of albinic ones. Especially tyrosine contents of the skin in normal flounder were 24 times higher than those. Methionine was 26 times higher than those Phenylalanine was 1.6 times higher. In free amino aicd phosphoserine and phosphoethanolamine were a little higher than that ones. The melanin formation of the skin in flounder was affected by substrates such as phenolic amino acid and cofactor such as sulfuric amino acid.

  • PDF

양식산 넙치의 백화현상에 따른지질 및 지방산의 비교 (Comparison of lipid and Fatty Acid by Appearance of Albinism in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종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02-507
    • /
    • 1999
  • Albinism is a phenomenon that color of the body surface is changed to white or faint brown from the specific color to the species by difficiency of pigments due to mutation or disea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xperimental basis on the appearance of albinism in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he skin and muscle, from the normal and albinic flounder were used by measuring contents of lipid and fatty acid, Contents of lipid and fatty acid in the skin and muscle are different from normal and albinic flounder. Contents of lipid in the skin were higher than those of muscle from flounder. The major fatty acids in both skin and muscle were palmitic acid, oleic acid docosahexaenoic acid (DHA) and eicosapentaenoic acid(EPA).

  • PDF

볶음처리에 의한 인삼의 이화학적 특성변화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inseng by Roasting)

  • 박명한;김교창;김종승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228-231
    • /
    • 1993
  • Physicochemival properties of ginseng roasted at 170 to $250^{\circ}C$ were investigated. Soluble solid contents in roast ginseng increased until $200^{\circ}C$, but decreased at higher temperature than $200^{\circ}C$. Contents of reducing sugar and protein were decreased and pH values were dropped, while optical density, acidic polysaccharide contents, precursor of brown pigments and hydrogen donating activities by DPPH were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in roast temperatures. The color distribution of roast ginseng expressed as Hunter L, a and b values demonstrated that lower L values and higher a values were observed according to higher temperature, but b values were almost not changed.

  • PDF

Occurrence of bacterial canker of sweet cherry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runorum

  • Kim, G. H.;I. S. Nou;Y. J. Koh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98.2-99
    • /
    • 2003
  • Bacterial canker of sweet cherry (Prunus cerasus L.) was observed in farmers' orchard in Goesan, Chungbuk in 2003. Typical canker symptom occurred on the branches or twigs of sweet cherry in early spring and bacterial exudates oozed out of the cracked barks of diseased trees. Watersoaked brown symptom appeared on the leaves and severe infection caused thorough defoliation on the branches or twigs of sweet cherry. When cut the severely infected branches or twigs, irregular and rusty-colored symptoms in sapwood and heartwood were clearly found, indicating that they could serve as specific symptoms of bacterial canker of sweet cherry. The gram negative, aerobic bacterium isolated from the lesion produced fluorescent pigments on King's B agar medium but did not grow at 37$^{\circ}C$ The bacterium formed Levan-type colonies, and showed negative reactions in oxidase reaction, arginine dihydrolysis test, and pectolytic activity Based on the biochem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causal organism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runorum. This is the first report on bacterial canker of sweet cherry in Korea.

  • PDF

품종에 따른 포도과피의 안토시아닌 색소 조성 및 색발현의 차이 (The Difference of Anthocyanin Pigment Composition and Color Expression in Fruit Skin of Several Grape Cultivars)

  • 최성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47-852
    • /
    • 2010
  • 흑색계(캠벨어얼리, 거봉, 머스캇베일리에이)와 적색계(노스레드)의 4종류의 포도 품종에 대하여 안토시아닌의 조성을 분석하고 과피에서 추출한 안토시아닌 색소의 색발현을 조사하였다. 조사한 4종류의 품종에서 모두 12종류의 안토시아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흑색계 품종에서 특히 머스캇베일리에이 품종은 안토시아닌 조성이 가장 다양한 반면 적색계의 노스레드는 안토시아닌 조성이 비교적 단순하였다. 포도 과피에서 안토시아닌 농축액을 조제한 후 품종별 색 발현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낮은 pH 조건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적색이 나타난 반면 중성 이상의 pH 조건에서는 품종에 따라 청색, 자색, 갈색, 흑색 등의 다양한 색이 발현되었다. 품종에 따른 이러한 색 발현의 차이는 안토시아닌 색소을 구성하는 안토시아니딘의 품종별 조성과 함량의 차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포도에서 추출한 안토시아닌 색소는 낮은 농도에서도 선명하고 다양한 색을 발현하므로 식품 첨가용 천연 색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어견류의 Trypsin활성 저해물질의 분포와 가공중의 변화 3. 염건조기 가공저장중의 TI 및 단백질품질변화 (Distribution of Trypsin Indigestible Substrate(TI) in Seafoods and Its Changes during Processing 3. Changes in TI and Protein Quality of Salted and Dried Yellow Corvenia(Pseudosciaena manchurica)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 이강호;권혜란;유홍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9-116
    • /
    • 1984
  • 염장방법을 달리하여 만든 염건조기의 단백질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온저장 중의 트립신 활성저해물의 함량과 시험관적 단백질 개산소화율(in vitro apparent protein digestibility)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병행하여 유효성 라이신의 보유양과 비효소적 갈변도의 변화도 분석 비교하여 각 실험결과에 대한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트립신 활성저해물의 함량은 저장 중 점차 증가하였으며, 저장 57일후에는 가공 직후에 비하여 $1.5{\sim}2$배에까지 증가하였다. 가공방법별로 비교하였을 때 $25\%$ 염수에 간하여 건조한 것이 TI함량으로 0.21mg/g solid로써 가장 적었고, $10\%$ 고형식염으로 간한 것은 0.30mg/g solid로써 가장 많았다. 시험관적 단백질 소화율에 있어서는, $25\%$ 염수로써 간하여 건조한 것을 제외하면, 모든 시료가 30일까지는 TI함량의 증가와 더불어 유의적으로 저하하였다. 저장 57일 후의 시험관적 소화율은 $25\%$ 염수로 간하여 건조한 것에서는 불과 $4\%$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전 저장기간을 통하여 비효소적 갈변색소는 유효성 라이신양의 감소 및 시험관적 단백질소화율의 저하와 더불어 증가하였다. 염장방법을 달리한 염건조기 제품 중에서는 $25\%$ 염수로써 간하여 건조한 것이 가장 낮은 갈변화율과 유효성 라이신의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라이신의 실효화와 비효소적 갈변색소의 증가는 염건조기의 단백질 품질에 가장 주요한 영향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순창 운림리 농소고분 출토 목관 칠 분석을 통한 제작방법 연구 (Lacquer Layers and Making Methods of the Wooden Coffin Excavated from the Nongso Tomb of Unrimri, Sunchang in Korea)

  • 이혜연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55-362
    • /
    • 2017
  • 순창 농소고분은 적성면 운림리 일대와 내월리 농소마을을 둘러 형성된 구릉지 능선에 위치하고 있다. 고분의 토광은 비교적 깊은 곳에 조성되어 도굴의 피해가 없었으며 전체적으로 다량의 숯으로 채워져 있어 목관이 비교적 좋은 상태로 출토되었다. 고분 구조 및 매장시설, 출토 유물, 방사선탄소연대 측정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농소 고분의 축조시기는 고려시대 후기부터 조선 초기까지로 추정하고 있다. 농소고분에서 출토된 목관은 목곽과 목관의 2중 구조로 목관 외면에 두껍게 옻칠을 하고 금색 문자와 흰색 문양으로 장식되었다. 안료 분석 결과 금색 문자는 금(Au), 흰색 문양은 은(Ag)이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칠 막은 안료 층, 황갈색 층, 검은 층의 3개 층으로 관찰되었다. 검은 층은 그을음과 같은 검은 물질로 목재 바탕의 밑칠로 사용되었다. 황갈색 층은 옻칠로서 정제칠로 추정된다. 목관 칠막 분석을 종합하면 칠 제작방법은 금박을 이용하는 방법과 금분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추정된다. 안료 형태 및 내부 구조상으로는 금박이 유력하지만 표현된 글자의 형태를 보면 금분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금박과 금분을 이용한 재현실험을 통하여 제작방법을 확인한다면 고분 축조 당시 칠기 제작기술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