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nchus

검색결과 467건 처리시간 0.026초

최근 본교실에서 경험한 흥미있는 기관지이물에 대하여 (A recent case of an interesting foreign body in the bronchus)

  • 이양선;지중민;송재권;김정도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6년도 제10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89.1-89
    • /
    • 1976
  • 기도 및 식도이물은 이비인후과 영역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보고도 허다하다. 또한 그 종류도 여러가지로써 우리들 주위에 있는 모든 물건이 순간적인 부주의로 인하여 이물이 될 수 있으며 이물의 종류와 그 부위에 따라서는 직달경을 제외한 다른 이화학적 검사로써 오진하는 수가 때로 있어 장기간 이물을 체내에 잔류케 하거나 심지어는 생명에 위협을 주는 일이 없지 않아 이비과의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병환이다. 저자는 최근 13세 소아에서 기관지점막의 색과 같은 pink color의 pencil cap이 기관지내에 함입되어 흡사 이물이 기관지륜과 같아 이물제거에 곤란을 야기시켰던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을 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Lobectomy

  • Kim, Hong Kwa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4호
    • /
    • pp.239-245
    • /
    • 2021
  •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VATS) has been established as the surgical approach of choice for lobectomy in patients with early-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Patients with clinical stage I NSCLC with no lymph node metastasis are considered candidates for VATS lobectomy. To rule out the presence of metastasis to lymph nodes or distant organs, patients should undergo meticulous clinical staging. Assessing patients' functional status is required to ensure that there are no medical contraindications, such as impaired pulmonary function or cardiac comorbidities. Although various combinations of the number, size, and location of ports are available, finding the best method of port placement for each surgeon is fundamental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surgical procedure. When conducting VATS lobectomy, it is always necessary to comply with the following oncological principles: (1) the vessels and bronchus of the target lobe should be individually divided, (2) systematic lymph node dissection is mandatory, and (3) touching the lymph node itself and rupturing the capsule of the lymph node should be minimized. Most surgeons conduct the procedure in the following sequence: (1) dissection along the hilar structure, (2) fissure division, (3) perivascular and peribronchial dissection, (4) individual division of the vessels and bronchus, (5) specimen retrieval, and (6) mediastinal lymph node dissection. Surgeons should obtain experience in enhancing the exposure of the dissection target and facilitating dissection. This review article provides the basic principles of the surgical techniques and practical maneuvers for performing VATS lobectomy easily, safely, and efficiently.

Removal of a Bronchial Foreign Body by Bronchoscopic Cryotherapy: A Case Study

  • Kim, Hyoyeon;Byun, Gwanghyun;Lee, Sang Joon;Woo, Seung Hoon
    • Medical Lasers
    • /
    • 제10권1호
    • /
    • pp.55-59
    • /
    • 2021
  • A foreign body in the airway can be a potentially life-threatening event.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foreign bodies in the airway are a challenge for otolaryngologists. Despite the improvements in medical care and public awareness, approximately 3,000 deaths occur each year from foreign body aspiration. A high degree of vigilance is required to ensure prompt treatment and avoid the complications of foreign body aspiration. The author encountered a case of a 77-year-old female patient who had aspirated an unknown foreign body that was fixed in her main bronchus. An initial attempt was made to remove it with a flexible bronchoscope but failed due to the patient's hypoxemic state during the procedure. Under general anesthesia, a rigid bronchoscopic examination was performed, but it was difficult to approach the object due to the bronchus curvature. Instead, a cryotherapy instrument of bronchoscopy was applied. The foreign body was frozen and removed to the carina, where a laryngoscope and laryngeal forceps were used to remove it.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적 가치 -병변과 기관지의 관계에 따른 진단율을 포함한 연구- (Diagnostic Value of Transbronchial Lung Biopsy -Including Diagnostic Yield According to Tumor-bronchus Relationship-)

  • 강태경;차승익;박재용;채상철;김창호;정태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4호
    • /
    • pp.438-447
    • /
    • 2000
  • 연구배경 : 흉부 방사선사진상 국한성 혹은 미만성 음영을 보이는 환자로 비관혈적인 통상의 검사로 진단이 되지 않은 경우에 병변의 크기와 위치에 따른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율의 차이, 폐암의외 경우 세포형에 따른 진단율의 차이, 병변의 위치결정에 있어 흉부전산화단층촬영사진과 경기관지폐생검의 일치율, 종양과 기관지의 관계에 따른 진단율의 차이 등을 조사하여 시술 전에 폐질환의 진단 가능성을 예측함으로써 적절한 진단적 접근방법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 법 : 경북대학교병원에서 경기관지폐생검을 시행 하였던 27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1) 대상환자 278예 가운데 116예에서 경기관지폐생검으로 진단이 가능하였고 경피침생검 등의 다른 방법으로 진단된 76예를 포함하여 총 192에서 확진이 되었다. 2) 확진된 192예 가운데 악성종양에 대한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율은 64.7%로 양성질환의 53.9%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9). 원발성 폐암으로 확진된 110예에 대한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율은 선암과 소세포암이 나머지 세포형에 비해 진단율이 높았다(p<0.01). 양성질환의 경우 결핵의 양성질환에 비해 높았다(p<0.05). 3) 폐야를 내측 1/3, 중간 1/3, 외측 1/3 그리고 상, 중, 하 폐야의 3구역으로 나누었을 때의 진단율 그리고 폐문 혹은 기관분기부(carina)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진단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진단된 192예에서 병변의 양상에 따른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율은 양성질환의 경우 병변의 양상에 따른 진단율의 차이가 없었으나 악성종양회 경우에는 미만성 및 다발성 결절 병변의 진단율이 국한성 병변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5) 병변의 크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크기가 클수록 진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6). 6) 병변의 위치판정시 흉부전산화단충촬영과 기관지 내시경 검사는 높은 일치울을 보였다(r=0.994, p<0.01). 7) 기관지-종피의 상관관계에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율을 비교하면 종괴와 기관지의 관계를 확인할 수 없는 VII형을 제외하고는 기관지가 종괴와 만나는 부위에서 단절되는 I형과 기관지가 종괴내로 일부가 틀어가는 II형에 대한 진단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 론 : 폐병변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전산화단층촬영과 경기관지폐생검은 높은 일치율을 보이고 전산화단층촬영상 '기관지정후'(bronchus sign)에 해당되는 I형과 II형에서 진단율이 높았다. 기관지와 종괴의 해부학적 관계를 보다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 thin section 전산화단층촬영이 도용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경기관지폐생검을 이용해 병변으로 접근이 어려운 경우 경피침생검 등이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기관지에 발생한 선양 낭포성 암종 (Primary Adenoid Cystic Carcinoma Arising in the Bronchus)

  • 김영근;정경영;신동환;김혜진;김창년;강신명;고원기;김영삼;이준구;박재민;김세규;장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5호
    • /
    • pp.591-598
    • /
    • 2001
  • 연구배경 : 기관과 폐에서 발생하는 선양 낭포성 암종은 타액선에서 발생하는 것과 조직학적으로 동일한 종양으로 기관지에서 발생하는 것은 무척 드물다. 이에 기관지에 원발성으로 발생한 선양 낭포성 암종의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저자들이 경험한 5예와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문헌상 보고된 8예 등 총 13예를 대상으로 임상 양상, 치료, 경과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환자의 연령은 20-74세이고 남자가 9예, 여자는 4예이었다. 발현 증상은 기침, 호흡곤란, 객혈 등이었다. 굴곡성 기관지경상 대부분 표면은 부드럽고 점막이 울혈되어 있는 용종성의 종양을 나타내었고, 기도를 거의 혹은 완전히 폐쇄시키고 있었다. 골전이 1예와 경부 림프절 전이 1예 등 2예에서 원격전이가 있었고, 종격동 침범이 1예 있었다. 10예에서 수술적 절제술을 시행하여으며 이중 2예에서 수술후 방사선 치료을 하였다. 수술한 예 중 8예에서 생존기간 정중값이 21개월이었고, 13년간 재발되지 않고 생존한 경우도 1예 있었다. 결 론 : 기관지에 원발성으로 발생한 선양 낭포성 암종이 드물지만 13예를 확인하였으며, 원격전이나 종격동 침범이 적은 편이고 수술 절제가 가능하면 예후가 좋은 경향이므로 기관지 협착이나 폐쇄가 있는 환자에서 기관지경을 활용한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수술 절제 치료가 중요하다.

  • PDF

폐엽절제를 통한 BALT 림프종 치료 1 예 (A Case of Bronchus-Associated Lymphoid Tissue(BALT) Lymphoma Treated with Lobectomy)

  • 최원섭;조재현;황용일;장승훈;김동규;전선영;민광선;이인재;이재웅;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5호
    • /
    • pp.427-431
    • /
    • 2007
  • 기관지 연관 림프조직 림프종은 비특이적인 호흡기 증상만을 나타내며,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세기관지 폐포암, 림프구성 간질성 폐렴등과 뚜렷이 구분이 되지 않는 결절 외 림프종의 일종이다. 저자들은 비특이적인 호흡기 증상만을 나타내는 병변에 대해 침습적인 방법인 경피 미세흡입생검을 시행하여, 원발성 기관지 연관 림프조직 림프종으로 진단하였으며, 병리적 진단이 내려진 상태에서 치료를 목적으로 좌상엽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기관지 연관 림프조직 림프종은 서서히 진행되는 질환으로, 대부분 최종 진단이 늦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국소적 병변일 경우 외과적 수술로 완치가 가능한 질환이므로,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적극적 검사와 치료를 시도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관지 선종의 외과적 치료[17례 보고] (Surgical Treatment of Bronchial Adenoma - Reports of 17 Cases -)

  • 문석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3호
    • /
    • pp.247-257
    • /
    • 1992
  • Bronchial adenoma, firstly described by Muller[1882] had been reported on the subject stressed their benign nature prior to 1940`s, but these tumors including carcinoid tumor, mucoepidermoid carcinoma, adenoid cystic carcinoma, pleomorphic adenoma are now known to possess the various degree of malignant natures from benign course, low grade malignant potential to distant lymphatic or hematogenous metastasis or combination. Although histologically diffeerent, four varieties except carcinoid tumor which is a spectrum of neu-roendocrine tumor originating Kulchitsky cell of the bronchial epithelium and form the part of the APUD tumor spectrum, are morphologically and in many respects clinically similar to the corresponding tumor of the salivary gland is a specific varient of adenocarcinoma that occurs most commonly in the major and minor salivary gland and less frequently tra-cheobronchial tree, esophagus etc. To better underst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ssess more precisely the malignat nature of bronchial adenoma, we studied 17 cases of bronchial adenoma, which had been experienced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of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from April 1977 to september 1991. Seventeen cases of bronchial adenoma consist of 2 carcinoid tumors, 6 adenoid cystic carcinomas, 8 mucoepidermoid carcinomas and one pleomorphic adenoma. There is a slight predominace of male patients[10/17] and the age of pt studied varied with a higher incidence occurring between the ages of 40 years and 60 years[mean age, 46.5 years]; the youngest being 15 years and oldest 69 years. Their leading complaints were hemoptysis[4], exertional dyspnea[8], fever & chilness [4], and symptoms mimicking the bronchial asthma[4]. Diagnosis was aided by the radiologic studies such as chest X-ray, polytomography, CT scan, brochography and bronchoscopy. The preferred locations of fumor were in the trachea[4], main stem bronchus[3], bronchus intermedius[3], bronchus of RUL[2], LUL[1], RLL[1], LLL[3] with no peripheral location. Modalities of treatments were single or combination of surgical resection, radiation therapy, chemotherapy. Complete resections were permitted in 12 cases with late recurrences of 4 cases ranging from 6 months to 10 years: pneumonectomy[4], lobectomy[4], bil-obectomy[2], sleeve resection[2]. Gross findings of resected specimens in 14 cases showed that 4 cases were polyp-like pedunculated mass[entirely intraluminal mass] with intact mucosa, 8 cases were broad-bas-ed sessile mass[predominatly intraluminal] and the main portions were located below the mucosa similar to tip of iceburg[predominantly extraluminal] in 2 cases. Follow-up information was availble in all 17 cases ; eight were alive without evidence of disese ranging from 1 month to 13 years. But seven cases died of the causes related to tumor[6 cases within 12 months, one case 10 years after pneumonectomy]. We concluded that 8 cases[47%] of 17 cases were metastasizing bronchial adenoma and precise survival rate cannot be answered by the scanty materials available for study.

  • PDF

기관 및 주기관지에서 발생한 기관지기형의 임상적 고찰 (The Clinical Evaluation of Anomalous Bronchi Arising From The Trachea and Main Bronchi)

  • 김준철;김연재;강병준;윤영득;이세영;권영란;이수옥;정치영;이병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6호
    • /
    • pp.664-669
    • /
    • 2005
  • 목 적 : 기관 또는 주 기관지에서 발생하는 기관지 기형은엽 또는 구역 기관지에서 흔히 관찰되는 비정상 분지에 비해 매우 드물게 관찰되며, 기관성 기관지와 심장성 부속 기관지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특이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으며, 드물게 반복적인 폐렴을 유발하거나 기관 삽관시 기관성 기관지의 폐쇄에 의한 폐허탈 혹은 우상엽의 과팽창을 초래할 수 있다. 연자들은 최근 4년간 경험하였던 기관 또는 주 기관지에서 발생한 기관지 기형의 고찰을 통하여 그 임상적인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부터 2005년 3월까지 기관지내시경 검사를 시행한 환자가운데 기관성 기관지(13예)와 심장성 부속 기관지(8예)가 관찰되었던 21예를 대상으로 임상적 증상, 기관지내시경 소견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남자가 13예, 여자가 8예였으며, 평균연령은 58.2(34-77)세였다. 내원시 주증상은 기침 7예, 객혈 8예, 호흡곤란 4예, 그리고 흉통 및 무증상이 각각 1예였으며, 18예에서 기관지 기형과는 관계없이 기저 폐질환에 의한 증상이었다. 기관성 기관지가 있었던 2예에서 각각 만성 파괴성 폐질환의 급성악화, 중증폐렴으로 인한 호흡부전으로 사망하였다. 기관성 기관지에서 기인한 우상엽의 말초형 폐암 1예는 우상엽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심장성 부속 기관지에 국한된 폐렴 1예는 보존적인 치료로 호전되었으며, 기도삽관후 우상엽 폐허탈을 보인 환자는 기관지내시경 검사 3일후 폐허탈의 호전을 보였다. 모든 예에서 기관지 기형으로 인해 사망한 경우는 없었다. 결 론 : 기관 또는 주 기관지에서 발생하는 기관지 기형은 대부분 기저 폐질환의 진단을 위한 검사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되며, 양호한 임상경과를 보이는 질환으로 예후는 기저 폐질환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Bronchial compression in an infant with isolated secundum atrial septal defect associated with severe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 Park, Sung-Hee;Park, So-Young;Kim, Nam-Kyun;Park, Su-Jin;Park, Han-Ki;Park, Young-Hwan;Choi, Jae-Yo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5권8호
    • /
    • pp.297-300
    • /
    • 2012
  • Symptomatic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PAH) in patients with isolated atrial septal defect (ASD) is rare during infancy. We report a case of isolated ASD with severe PAH in an infant who developed airway obstruction as cardiomegaly progressed. The patient presented with recurrent severe respiratory insufficiency and failure to thrive before the repair of the ASD. Echocardiography confirmed volume overload on the right side of heart and severe PAH (tricuspid regurgitation [TR] with a peak pressure gradient of 55 to 60 mmHg). The chest radiographs demonstrated severe collapse of both lung fields, and a computed tomography scan showed narrowing of the main bronchus because of an intrinsic cause, as well as a dilated pulmonary artery compressing the main bronchus on the left and the intermediate bronchus on the right. ASD patch closure was performed when the infant was 8 months old. After the repair of the ASD, echocardiography showed improvement of PAH (TR with a peak pressure gradient of 22 to 26 mmHg), and the patient has not developed recurrent respiratory infections while showing successful catch-up growth. In infants with symptomatic isolated ASD, especially in those with respiratory insufficiency associated with severe PAH, extrinsic airway compression should be considered. Correcting any congenital heart diseases in these patients may improve their symptoms.

기관지결석 (Broncholithiasis)

  • 전용선;손영상;최영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82-87
    • /
    • 1996
  • Broncholithiasis is a relatively rare condition in which a calcified mass is found either within or eroding into the bronchus. We report two cases of broncholith of the right lung. One patient is a 41 year old male with a chief complaint of chronic cough and blood tinged sputum, and the other is a 43 year old female with intermittent substernal pain for 3 years. We confirmed the broncholiths by bronchoscopy and underwent bilobectomy and right middle lobectomy, respectively. They recovered and discharged without any compli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