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nchoscopy

검색결과 471건 처리시간 0.026초

Clinical Utility of CT-Based Bronchial Aspirate TB-PCR for the Rapid Diagnosis of Pleural Tuberculosis

  • Lee, Jaehee;Lee, So Yeon;Choi, Keum Ju;Lim, Jae Kwang;Yoo, Seung Soo;Lee, Shin Yup;Cha, Seung Ick;Park, Jae Yong;Kim, Chang Ho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5권4호
    • /
    • pp.150-156
    • /
    • 2013
  • Background: Thoracoscopic pleural biopsy is often required for rapid and confirmative diagnosis in patients with suspected pleural tuberculosis (PL-TB). However, this method is more invasive and costly than its alternatives. Therefore, we evaluated the clinical utility of the chest computed tomography (CT)-based bronchial aspirate (BA) TB-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est in such patients. Methods: Bronchoscopic evaluation was performed in 54 patients with presumptive PL-TB through diagnostic thoracentesis but without a positive result of sputum acid-fast bacilli (AFB) smear, pleural fluid AFB smear, or pleural fluid TB-PCR test. Diagnostic yields of BA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arenchymal lesions on chest CT. Results: Chest radiograph and CT revealed parenchymal lesions in 25 (46%) and 40 (74%) of 54 patients, respectively. In cases with an absence of parenchymal lesions on chest CT, the bronchoscopic approach had no diagnostic benefit. BA TB-PCR test was positive in 21 out of 22 (95%) patients with early-positive results. Among BA results from 20 (37%) patients with patchy consolidative CT findings, eight (40%) were AFB smear-positive, 18 (90%) were TB-PCR-positive, and 19 (95%) were culture-positive. Conclusion: The BA TB-PCR test seems to be a satisfactory diagnostic modality in patients with suspected PL-TB and patchy consolidative CT findings. For rapid and confirmative diagnosis in these patients, the bronchoscopic approach with TB-PCR may be preferable to the thoracoscopy.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Diagnostic Value of Transbronchial Lung Biopsy and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Cytology in Lung Cancer

  • Binesh, Fariba;Pirdehghan, Azar;Mirjalili, Mohammad Reza;Samet, Mohammad;Majomerd, Zahra Amini;Akhavan, Al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호
    • /
    • pp.201-204
    • /
    • 2015
  • Background: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accuracy of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cytology (BAL) using histopathologic examination of transbronchial biopsy specimens as the gold standard in diagnosis of lung carcinoma at our center.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 total of 388 patients who were suspected of having lung cancer and had undergone fiberoptic bronchoscopy in Shahid Sadoughi hospital from 2006 to 2011. Lung masses were proven to be malignant by histology. Results: Transbronchial lung biopsy (TBLB) identified malignancy in 183 of the 388 cases, including 48 cases (26.2%) with adenocarcinoma, 4(2.1%) with bronchioloalveolar carcinoma, 47(25.6%)with squamous cell carcinoma, 34(18.5%) with well-diffentiated neuroendocrine carcinoma, 35(19.1%) with small cell carcinoma, 14 (7.6%) with non-small cell carcinoma, and 1 (0.54%) with large cell carcinoma. A total of 205 cases were correctly classified as negative. BAL was also performed in 388 patients; 86/103 cases were consistent with the final diagnosis of lung cancer and 188/285 cases were correctly classified as negative. The sensitivity of BAL was 46.9%(CI:41.9%, 51.8%)) and its specificity was 91.6%(CI:88.8%, 94.3%). BAL had a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of 83.4%(CI:79.7%, 87.1%) and a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of 65.8%(CI:61%, 70.5%). The overall accuracy of BAL was 70.5% and the exact concordance was 39%.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BAL cytology is not sensitive but is a specific test for diagnosis of lung carcinoma. If transbronchial lung biopsy is combined with bronchoalveolar lavage, the positive diagnostic rate will be further elevated.

포인터견에서 기관지연화증의 내시경적 진단 (Endoscopic Diagnosis of Bronchomalacia in a Pointer Dog)

  • 노성준;조규덕;강지훈;장진화;장동우;나기정;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8-81
    • /
    • 2012
  • 5세 수컷 포인터견이 만성 기침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기관지내시경 검사에서 좌측 폐엽으로 분지하는 기관지 내강은 점액농성 삼출물과 함께 70% 이상 허탈된 상태로 관찰되었으며, 주기관 내강에서는 점액성 결절들이 확인되었다. 컴퓨터 단층촬영 검사는 좌측 폐엽으로 주행하는 기관지의 허탈을 재확인하게 하였다. 해당 검사결과들을 근거로, 환자는 만성기관지염과 함께 기관지연화증이 발병한 것으로 진단되었다. 본보는 만성기침을 보이는 대형견에서 기관지연화증을 진단한 증례이며, 기관지내시경검사는 기관지연화증의 발생 유무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검사법임을 보여준다.

폐양성 종양 61례의 외과적 고찰 (Clinical Study of 61 cases Benign Lung Tumor)

  • 박종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2호
    • /
    • pp.272-289
    • /
    • 1989
  • Benign lung tumors compose a heterogeneous group of solid growths that present variations in clinical features, depending on whether the origin is within the bronchus on lung parenchyma or from visceral pleura. Benign tumors of the lung are relatively uncommon, and series are to be found in the literature and the classification of benign tumors of the lung continues to be controversial because of disagreement concerning the origin and prognosis of many common lesions. We adopt Liebows original classification but excluded bronchial adenoma which no longer considered as benign tumor and added pulmonary A-V fistula and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We analyzed 61 cases of benign tumors which were composed of 16 original Korean cases and 45 cases which were reported on journal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The results were. [1] Incidence; Of 61 cases, chondromatous hamartoma was 2 cases [41 %],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10 cases [16.4 %], pulmonary A-V fistula 5 cases [8.1 %], sclerosing hemangioma 4 cases [6.5 %], teratoma, plasma cell granuloma & mesothelioma were 3 cases [4.9%], Castlemans disease 2 cases [3.3%], and mucous gland adenoma, paraganglioma, and leiomyoma 1 case [1.6 %]. [2] Age & Sex distribution; Male 30 cases and female 31 cases. Mean age was 31.4 years old. [3] Main symptom; was coughing, 32.8%, and no symptom, 24.6%. [4] Sixty eight percentage of chest film showed mass density, and 4 cases showed calcification, 2 cases had lobulation. [5] Size of mass was large and multiple mass was 2 cases. Endobronchial tumors were 9 cases, 14.9 %. [6] Three cases of endobronchial tumor were preoperatively diagnosed by bronchoscopy and 2 cases of pulmonary A-V fistula were diagnosed by pulmonary arteriography. [7] Seven cases, 11.5%, had associating diseases such as bronchogenic cyst, thymic cyst, Schwannoma, situs inversus, bronchiectasis and bronchogenic carcinoma. [8] Minor resection such as excision 8i: wedge resection were 15 cases, 26.2 %, and 6 cases, 75.4 %, of lobectomy were performed including 5 cases of pneumonectomy 5 cases had. [9]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ne case, 1.6 %, expired due to respiratory insufficiency. Two cases had re-operation due to bleeding and hemoptysis.

  • PDF

기관지내 지방종 -체험 1례- (A Case Report of Endobronchial Lipoma)

  • 이종목;박종호;백희종;조재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호
    • /
    • pp.116-118
    • /
    • 1997
  • 기관지내 지방종은 주로 기관지 근위부에서 발병하면서, 그 원위부의 폐실질에 비가역적 손상을 입히는 아주 드문 질환이다. 이는 조직학적으로는 양성종양이다. 그러나 진단 및 치료가 늦을 경우에는 비가역적 폐실질 손상 및 기관지확장증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가능하다면 가장 좋은 치료방법은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종양 제거술이다. 그러나 내시 경을 이용하여 종양 제거가 불가능하거나, 진단이 불명확한 경우에는 폐엽절제술 또는 전폐적출술 등을 포함한 개흉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이는 이들 대부분이 폭넓은 폐실질 손상을 동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기관지 내경을 완전히 막으면서. 그 원위부에 비가역적 손상을 일으킨 기관지내 지방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일반적인 기관지내 지방종의 임상증상, 진단 방법, 그리고 치료방법 등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중엽증후군 (Middle Lobe Syndrome)

  • 이용훈;김병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6호
    • /
    • pp.621-625
    • /
    • 1996
  • "중엽증후군"의 용어는 Grahaml)등에,의해 처음 기술되어졌으며 대개 비후된 림프절에 의해 기관지 가 외부적으로 압박되 어 발생된다고 하였다. 환자들은 거의 증상이 없을 수 있으나 가장 흔한 발현 증상 은 기침, 호흡 곤란, 반복되는 발열, 객혈, 그리고 흥통 등이다. 진단방법은 흉부 X선, 기관지경검사, 기 관지조영술, 흉부컴퓨터단층될영 등이며 대개 공기가 없이 압축된 중엽이 중요한 소견이다. 본 저자들은 1990년 3월에서 1995년 5월까지 15례의 중엽증후군을 경 험하였으며 그 중 11례에서 수술 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중엽 증후군의 환자에서 수술적용은 악성 종양이 의심되거나,비가역적 기관지 확장증,기관지협착증,약물 치료에 호전이 없는 경우, 치료후 반복되는 감염 등의 경우에 시행하였다. 수술은 중엽절제술 8례,중엽 및 하엽절제술2례,상엽 및 중엽절제술 1례를시술하였다. 수술후 병리조 직소견상 결핵 6례, 만성감염 3례, 악성 종양 1례, 국소적 출혈 1례의 소견을 보였다 술후 합병증은 2례에서 발생하였으며,그 중 1례에서 술후 폐허탈, 1례에서 간장장애를 경험하였으며 치유되었다.였으며 치유되었다.

  • PDF

기관삽관후 발생한 기관식도루 -치험 1례- (Postintubation Tracheoesophageal Fistu1a)

  • 전상협;박서완;정성운;이행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2호
    • /
    • pp.235-238
    • /
    • 1996
  • 후천성 기관식도루는 드문 질환이 지만 생명을 위협하는 병변이며 원인중에는 cuff가 있는 tube를 삽관하여 부적절한 관리하에 장기간 인공호흡기 치료를 한 환자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손상의 기전은 cutt에 의해 기관벽에 압력이 가해져서 허혈성 손상과 더불어 염증성 반응이 더해져 압박된 식도와 비정상적 교통이 생기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환자는 25세된 임산부로 중이염의 합병증으로 세균성 뇌막염이 발생하여 장기간의 인공호흡기 치료중 갑작스런 피하기종과 종격동기종이 발생하여 기관지 경과 CT를 이용해 기관식도루가 발생 했음을 확인후 본과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수술은 자동봉합기로 기관의 손상부위를 봉합하고 식도 부위는 vlcyl과 Prolene으로 내외층을 단순봉합하였으며 기관과 식도사이에 흉쇄유돌근 절편을 끼워 넣었다. 수술 후 10일째 식도조영술로 기관식도룬가 완전복구되고 식도기능이 정상임을 확인하였으며 퇴원 후 추적조사결과 환자는 별 문제없이 잘 지내고 있다.

  • PDF

Nocardiosis 1예 (A Case of Nocardiosis)

  • 김정희;윤기헌;유지홍;강홍모;서진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4호
    • /
    • pp.355-360
    • /
    • 1992
  • 저자들은 57세 남자환자에서 전형적인 Nocardiosis의 임상상을 보이고 객담 및 피부 농양에서 Nocardia asteroides가 분리 동정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세기관지 유두종 1예 (A Case of Bronchiolar Papilloma)

  • 이상학;김치홍;문화식;송정섭;박성학;장은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5호
    • /
    • pp.792-797
    • /
    • 1996
  • 59세의 여자 환자가 반복되는 폐렴 및 흉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상 우폐하엽 기저분절에 기관지 확장을 동반한 폐허탈 및 염증성 침윤소견이 관찰되었으며, 기관지내의 종괴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굴곡성 기관지경 검사상 우하엽 기저분절 기관지 입구에 점액성의 백색 표면을 보이는 돌출성 종괴가 관찰되었고 관강은 좁아져 있었으며 감자 생김상 세기관지 폐포암으로 확진되었다. 환자는 우하엽 절제술을 시행받았으며 수술후 증상없는 상태로 12개월째 추적관찰중이다. 세기관지 유두종은 극히 드문 양성 폐종양으로 알려져 있고 국내에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폐암으로 오인된 기관지성 낭종 1례 (A Case Report of a Bronchogenic Cyst Misconceived to Lung Cancer)

  • 김영욱;이승희;홍순창;이호학;박상준;이권전;김진국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5호
    • /
    • pp.526-530
    • /
    • 2003
  • 기관지성 낭종은 보통 단순 흉부 사진상 폐실질이나 종격동 내에 얇고 때끄러운 벽을 가지며 경계가 뚜렷한 원형의 종괴 흑은 낭포로 발견되고 보통 Hounsfield Number 0-20의 음영을 가진다. 본 증례는 단순 흉부 방사선 소견 상 폐실질내 경계가 불분명한 종괴로 보이고 CT상 Hounsfield Number 26의 연조직 음영을 보여 폐암을 배제하기 위하여 수술까지 하였던 경우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