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ath concentration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7초

부산지역 조선업 용접공들의 진폐증에 관한 역학적 조사연구 (The Epidemiologial Study on the Welders' Pneumoconiosis among Shipyard Welders in Pusan Area)

  • 이채언;이종태;손혜숙;김성천;배기택;박형종;김용완;윤임중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2권1호
    • /
    • pp.153-161
    • /
    • 1989
  • Authors studied on the prevalence of 94 cases of pneumoconiosis who were found out through the screening test on 1,062 workers engaged in welding process at 36 shipyard in Pusan area from March 1st, 1986 to November 30th, 1986.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Dust concentration was measured $4.49{\pm}0.54mg/m^3$ in the small scale shipyard while it was $6.25{\pm}1.08mg/m^3$ in the large one. 2. The prevalence of welder's lung was 8.9% (male:8.5%, female:12.0%) and this is consist of 4.9% suspected pneumoconiosis and 4.0% pneumoconiosis more than category 1/0. 3. The prevalen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dust exposure(p<0.05), and it showed the increasing tendency by the age group. 4. The preval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arge scale shipyard than is the small scale one(p<0.01). 5. The type and shape of opacities were 71.4% of p type and 28.6% of q type, however no pneumoconiosis with r type observed in this study. 6. The main subjective symptoms were the sputum(29.8%), coughing(25.5%), shortness of breath(20.2%), fatique(6.4%), and chest pain(5.3%). In other hand, 57.4% of pneumoconiosis were asymptomatic. 7. The prevalence of pulmonary tuberculosis was radiologically 1.7% in all subjects including 5.3% in pneumoconiosis and 1.3% in no pneumoconiosis(p<0.01).

  • PDF

철 보충제 섭취가 빈혈 여고생의 철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ron Supplementation on Iron Status of Anomic High School Girls)

  • 홍순명;황혜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726-733
    • /
    • 200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ron supplementation on the iron nutritional status and anemia of high school girls in Korea. One hundred thirty-five female students residing in Ulian metropolitan city in Korea diagnosed as having anemia or iron deficiency participated in this study. One or two tablets of iron medicine(80-160 mg Fe as ferrous sulfate/day) were administered to all participants for 3 months. Subjects were evaluated with a questionaire, measurement of hematological indices before and after iron supplementation.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of respondents were 161.62 $\pm$ 4.68 cm and 53.87 $\pm$ 6.10 kg, respectively. Daily intakes of energy were 1597.8 $\pm$ 302.35 kcal(76.0% RDA). Iron intakes were 13.72 $\pm$ 4.17 mg (76.3% of RDA) and calcium intakes were 580.74 $\pm$ 177.21(72.5% of RDA) before iron supp]ementation. At baseline, 63% of all participants had depleted store(serum ferritin 12 ug/ml and/or transferrin saturation(TS) < 14%). After iron supplementation, this proportion declined to 19.3%. 55.6% of subjects had 12 ug/m1 of basal ferritin concentration before iron supplementation, and this proportion declined to 16.3% after iron supplementation. The basal hemoglobin(Hb) concentrations were 12.13 $\pm$ 1.01 g/dl and they increased to 12.79 $\pm$ 0.81 g/dl,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rtier iron supplementation(p < 0.001). The basal ferritin and TS(%) were 13.24 $\pm$ 11.66 ng/ml, 18.42 $\pm$ 10.12% and they significantly increased to 32.95 $\pm$ 21.14 ng/ml, 33.53 $\pm$ 16.64%, respectively(p < 0.001). The basal total iron binding protein(TIBC) were 467.81 $\pm$ 97.24 ug/dl and they significantly decreased to 325.05 $\pm$ 48.89 ug/dl(p < 0.001) after iron supplementation. The number of tablets administere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rum iron(t = 0.553, p < 0.01), serum ferritin(t = 0.557, p < 0.01), TS(%)(t = 0.588, p < 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IBC(t= -0.409, p <0.01). The anemia symptoms such as ‘Shortening of breath when going upstairs(p < 0.01)’, ‘Tired out easily(p < 0.01)’, ‘Feeling blue(p < 0.001)’, ‘Decreased ability to concentrate(p < 0.01)’, and ‘Poor memory(p < 0.001)’improved significantly after iron supplementation. In this study, daily iron supplementations were efficacious in improving the iron status and anemic symptoms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Regular check-ups and nutrition education for adolescents are necessary because of their vulnerability to iron deficienc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minimum effective dose of iron and to examine the adverse effect of long-term iron supplementation.

  • PDF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Pediococcus pentosaceus CBT SL4 배양물의 감염방어 및 제균활성 (Protection of Infection and Eradication Activity of Culture Product by Pediococcus pentosaceus CBT SL4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 홍운표;정명준;김수동;오은택;소재성;정충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79-783
    • /
    • 2004
  • P. pentosaceus CBT SL4균이 생산하는 항균물질 농축건조물은 H. pylori균에 대하여 평판 및 액상배양 조건에서 생육억제 활성이 확인되었고, 사막모래쥐를 사용한 감염실험에서는 감염방어 및 제균작용이, 보균자 인체실험에서는 제균작용이 확인되었다. 최근 3제 요법이나 신규 약물 등에 의하여 자각증세가 있는 위염증 환자에서의 제균율은 크게 향상되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전체국민의 감염율이 매우 높은 것과 식습관 등의 요인에 의하여 단체 및 사회생활을 통한 신규감염이나 재감염을 방어할 효과적 수단은 없는 상태에 있다. 따라서, 일상적인 섭취가 가능하고, 병원균의 내성개발 우려나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며, H. pylori균에 대한 감염방어 및 제균작용을 동시에 지닌 유산균 및 그 항균활성물질을 이용한 식품소재는 국민전체의 H. pylori 감염율을 낮추고, 신규감염과 재감염의 악순환을 방지하기 위한 유용한 방어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유산균 배양액에 의한 H. pylori균에 대한 생육억제 현상은 모든 유산균에서 보편적인 현상은 아닌 것으로서 특정한 균주의 배양액에서만 관찰되고 있어 단순히 젖산 등 유기산에 의한 효과로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Gram 음성의 병원균들은 외막의 보호작용에 의하여 분자량이 큰 박테리오신 성분에 의해서는 생육이 억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저자들은 당 균주가 생성하는 H. pylori 생육 억제 물질을 산성의 저분자 물질로 추정하고, 물질 및 작용기작 규명을 위하여 활성물질의 분리 및 구조분석 작업을 진행 중에 있으며, 이러한 연구가 완료되면 분리정제 물질을 활용한 추가적인 산업화 용도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상성인에서 ALDH-I의 변이가 알콜의 정신운동성 수행과 주관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cohol on Psychomotor Performance and Subjective Assessments In Normal Adults with Variation of Acetaldehyde Dehydrogenase I)

  • 윤보현;윤진상
    • 생물정신의학
    • /
    • 제3권2호
    • /
    • pp.222-239
    • /
    • 1996
  • ALDH-I 활성군과 비활성군에서 음주후 정신운동성 수행 및 주관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사교적 음주에 상응하는 4종류의 알콜(0.25, 0.5, 0.75, 1.0g/kg)을 투여한 결과 비활성군이 활성군에 비해 보다 부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이는 특히 고용량의 알콜(0.75 및 1.0g/kg)을 투여시 분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활성군이 활성군에 비해 알콜에 대한 민감성이 주관적인 판단과 객관적인 수행에서 모두 더 높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 PDF

림프구성 흉막염의 감별 진단에서 NO(nitric oxide)의 측정 (Measurement of Nitric Oxide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Lymphocytic Pleural Effusion)

  • 김태형;손장원;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4호
    • /
    • pp.361-367
    • /
    • 2005
  • 배 경 : 림프구성 흉막염의 감별 진단은 매우 중요하나, 적절한 검사 후에도 감별이 되지 않는 예가 있다. NO는 급성 염증반응 시 혈청, 객담, 호기 응축액 등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활동성 폐결핵 환자의 객담 및 호기에서도 증가하고 적절한 치료 후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어, 결핵성 흉막염에서도 증가 할 가능성이 있으나, 결핵성 흉막염에서 NO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이에 림프구성 흉막염 중 결핵성 흉막염의 감별진단에 있어서 NO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4월부터 2005년 4월까지 한양대 구리병원에 급성 흉막염으로 입원하여 흉수 검사 결과 림프구성 흉막염 소견을 보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흉수 및 혈청 NO를 측정하였으며, 대상 환자는 27명으로, 남:여 각각 14:13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48세였다. 최종진단은 결핵성 흉막염 17명, 악성 흉수 10명이었다. 결 과 : 흉수 NO는 결핵성 흉막염 $540.1{\pm}116.4{\mu}mol$, 악성흉수 $383.7{\pm}71.0{\mu}mol$이며, 혈청 NO는 결핵성 흉막염 $624.7{\pm}142.0{\mu}mol$, 악성 흉수 $394.4{\pm}90.4{\mu}mol$이었고, 각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흉수 NO는 흉수 호중구수, 흉수/혈청 단백질비, 흉수/혈청 알부민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결핵성 흉막염군과 악성 흉수막염군의 비교에서 흉수 단백질양, 흉수 백혈구 수 및 림프구수는 결핵성 흉막염에서 유의하게 높았다(각 p<0.05). 결 론 : NO는 림프구성 흉막염의 감별 진단에 있어서는 유용성이 적으며, 흉수 NO는 흉강 내 호중구의 모집 및 단백 누출과 관련될 가능성이 있으나, 추후 다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히스타민 기관지유발 검사 -일정시간 흡입법- (Histamine Bronchial Provocation Test -Timed Tidal Breathing Technique-)

  • 정연태;원경숙;박해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3호
    • /
    • pp.270-276
    • /
    • 1994
  • 연구배경 : 임상에서 기관지과민성의 측정은 천식의 진단과 심한 정도 판정에 유용하므로 널리 쓰이고 있다. 비특이적 기관지 과민성의 측정은 히스타민등의 약물에 의한 기관지 유발검사법이 비교적 쉽게 시행할 수 있으므로 흔히 사용된다. 약물에 의한 기관지 유발검사시 에어로졸의 흡입방법으로 정량 흡입법(dosing technique with counted number of breaths)과 일정시간 흡입법(timed tidal breathing technique)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정시간 흡입법은 간단하면서 정확도와 재현성은 정량 흡입법과 차이가 없으며, 비싼 dosimeter가 필요하지 않다. 저자들은 이러한 관점에서 이 검사법은 국내의 임상 현실에 적합한 방법으로 생각하여 히스타민을 이용하여 일정시간 흡입법으로 기관지과민성 측정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방법: 대상은 정상대조군 42예, 기관지천식 환자 12예, 비염 환자 10예, 그리고 상기도감염 10예이었다, Jet nebulizer를 사용하였으며, 히스타민을 buffered phosphate saline 에 녹혀서, 0.0625부터 25.0mg/ml까지 연속적인 농도의 용액으로 준비하였다. 검사방법은 코를 nose clip으로 막고 마스크를 이용하여 입으로 에어로졸을 2분간 흡입한다. 흡입 후 $FEV_1$을 30초와 90초 후 2번 측정한다. 먼저 생리식염수를 흡입한 후 기저 $FEV_1$ 구한 후, 최저 농도의 히스타민 용액부터 흡입하여 $FEV_1$이 20% 이상 감소할 때까지 반복 흡입한다. 유발농도 20은 먼저 대수 양-반응곡선을 그린 후, 마지막 두 점을 직선 보간(linear interpolation)하여 구하였다. 결과: 생리식염수 흡입후 FEV1보다 20% 이상 감소하는 농도까지 히스타민 흡입은 정상대조군 42예 중 10예를 제외하고 각각의 대상군에서 모두 가능하였으며, 히스타민 유발농도 20을 구할 수 있었다. 정상대조군의 히스타민 유발농도 20의 기하학적 평균값(Geometric Mean${\pm}$Standard Deviation)은 $8.27{\pm}2.22mg/ml$, 기관지 천식군은 $0.33{\pm}3.02mg/ml$, 비염군은 $0.85{\pm}3.24mg/ml $, 그리고 상기도감염군은 $1.47{\pm}1.98mg/ml$이었다. 히스타민 2.5mg/ml 이상의 고농도 용액의 에어로졸 흡입시는 가벼운 부작용은 있었으나 대부분 흡입이 가능하였다. 결론: 히스타민 일정시간 흡입법은 간단한 기구로 시행할 수 있으므로, 우리 현실에 적합한 기관지 유발검사법이라고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