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admaking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2초

냉동(冷凍)반죽을 이용(利用)한 발효(醱酵)빵 제조(製造)에 있어서 적정(適正)반죽의 조성(組成) (Suitable Dough Formula for Yeast-Raised Breadmaking Using Frozen Dough)

  • 서석출;방광웅;송형익;정기택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6권
    • /
    • pp.137-143
    • /
    • 1988
  • Straight no-time method로 조제한 냉동(冷凍)반죽을 이용(利用)한 발효(醱酵)빵제조에 있어서 가장 적절한 반죽의 조성(組成)을 제(製)빵성적(成積)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경질(硬質)밀가루 1,000 g에 대하여 압착효모(壓搾酵母) 30 g, 설탕 50 g, 식염(食鹽) 20 g, 쇼트닝 40 g, 브롬산칼륨 75mg, L-ascorbic acid 200mg, yeast food 3 g, vital wheat gluten 30 g, 제1인산칼슘 400mg, 스테아릴젖산나트륨 8 g, 급수량(汲水量) 680 g 으로 냉동(冷凍)반죽을 만드는 것이 제(製)빵과정(過程)에서 팽창력(膨脹力)과 발효시간(醱酵時間)이 적절하고 높은 비용적(比容積)을 얻을 수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였다. Farinograph 성적상의 흡수율(吸水率)보다 높은 68%의 급수량(汲水量)으로도 유화제(乳化劑)나 품질개량제(品質改良劑)의 다량첨가(多量添加)로 반죽의 동결장해(凍結障害)를 억제할 수 있었다.

  • PDF

쌀겨, 발효쌀겨 그리고 쌀겨유의 첨가에 따른 제빵특성의 변화 (Changes of Breadmaking Characteristics with the Addition of Rice Bran, Fermented Rice Bran and Rice Bran Oil)

  • 박현실;최경민;한기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40-646
    • /
    • 2008
  • 쌀겨와 발효쌀겨, 쌀겨유의 쇼트닝 대체에 따른 제빵특성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빵 반죽에 대한 쌀겨의 첨가는 제빵 후 명도의 감소, 황색도 및 적색도의 증가와 전반적 물성 변화를 가져오나, 5% 정도의 쌀겨 첨가는 쌀겨의 기능성을 가지면서 대조구와 외관 및 물성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효모로 예비 발효한 발효쌀겨의 첨가는 대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면서 texture 및 풍미가 향상되었다. 빵 반죽에 대한 쌀겨유의 쇼트닝 대체는 첨가 수준이 클수록 반죽 내 비 용적이 감소되었다. 황색의 쌀겨유의 첨가는 반죽의 명도를 낮추고 황색도를 증가시켰다. 또한 쇼트닝의 쌀겨유 대체는 경도, 씹힘성 그리고 부서짐 등의 증가를 가져오는 불리한 점이 있으나, 50% 정도의 쌀겨유 대체는 빵의 물성변화에 있어 대조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쌀겨유의 대체는 관능평가에서 부피의 상대적 감소 및 경도의 증가로 인한 질감의 저하를 가져오나, 제빵 후 풍미 향상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쌀겨, 발효쌀겨 그리고 쌀겨유의 제빵과정 중 첨가는 빵의 색, 부피 등 외관상 대조구에 비하여 다소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나, 쌀겨 특히, 발효쌀겨의 첨가는 오히려 맛 과 풍미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사료된다.

발효 쌀겨 첨가에 따른 제빵 특성의 변화 (Characteristics of Breadmaking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Fermented Rice Bran)

  • 박현실;한기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2-67
    • /
    • 2008
  • 본 연구는 쌀겨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개발된 발효쌀겨 의 식품소재화 가능성을 발효쌀겨 첨가에 따른 제빵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졌다. 발효쌀겨의 일반성분은 수분함량 38.72%, 조단백질 11.06%, 조지방 17.38%, 조섬유 12.74 %, 회분 11.85%, 가용성 무질소물 8.24%이였다. 발효쌀겨 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식빵을 제조한 결과, 발효팽창력 및 pH 분석에서 5% 첨가구가 대조구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낸 반면 그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발효팽창력은 감소하고, pH 의 감소도 적었다. 식빵의 무게 및 부피는 첨가량이 증가함 에 따라 무게는 증가하고, 부피는 감소하였으나 정의 상관 관계는 없었고, 식빵 내부의 색도에서 발효쌀겨 첨가량이 증 가함에 따라 어두운색을 나타내었고, 적색도 및 황색도는 증 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경도, 점성, 부서짐성은 발효쌀 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한 반면에 응집성과 탄력성 은 감소하였다. 관능검사에서 발효쌀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색, 풍미, 맛, 질감,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낮은 선호도 를 보였으나, 5% 첨가구는 대조구와 유사한 기호성을 나타 내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발효쌀겨는 경제적인 빵 의 영양 강화 부재료로 사용될 수 있고, 발효쌀겨를 5%까 지 첨가는 발효쌀겨의 특성을 살리면서 제빵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실크펩티드 첨가가 제빵과정 중 이화적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ough with Added Silkpeptide Powder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read during Breadmaking)

  • 윤성준;김영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65-275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ough with added silkpeptide powder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read during breadmaking, wher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bread dough containing silkpeptide were investigated. The protein content of the silkpeptide was 90.83%. In the amino acid analysis of the silkpeptide flour, glycine content was highest at 18,760.04 mg%. Alanine, serine, and tyrosine were much higher in the silkpeptide flour than in wheat flour. In the amino acid analysis of the wheat flour, glutamic acid was determined to be 4,046.16 mg%, which was the highest content, followed by aspartic acid, glycine, leucine, and tryrosine respectively. The pH of the control dough sample was 5.94 and in the dough with added silkpeptide powder it was 5.94~5.96 after mixing. The pH of the test dough, in which 0.2% lactic acid was added, was lower than the control at 5.88. There was no difference in pH between the control and the other samples after fermentation for 30 minutes. The pH of the control was 5.68 and that of the dough with 1.0% silkpeptide was 5.73 after fermentation for 60 minutes. The sucrose content of both the control sample and the sample with added silkpeptide was 3,080 mg% after mixing, while that of the control sample was 550 mg% and that with silkpeptide was 780 mg% after prooping. Sucrose content tented to decrease greatly as it was consumed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and the dough with added silkpeptide had a slower sucrose consumption speed than the control dough.

전립분 첨가빵의 품질과 제빵 과정 중 Phytic Acid 변화 (Qualities of Bread and Changes in Phytic Acid during Breadmaking with Whole Wheat Flour)

  • 김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79-785
    • /
    • 1996
  • 전립분 입도를 달리하여 거친전립분, 고운전립분을 각각 첨가했을 경우 첨가량에 따른 제빵과정 중 phytic acid 함량 변화와 전립분 첨가빵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회분 함량은 밀가루가 0.413%, 전립분이 1.569%로 전립분이 밀가루 보다 무기성분이 현저히 많았으며, 섬유소도 같은 경향이었다. Amino acid 중에서 glutamic acid 의 함량이 밀가루 및 전립분에서 32~36g/100g protein으로 다른 amino acid 함량 보다 많았다. Lysine, glycine, arginine, aspartic acid는 전립 분에 많았으며, proline, glutamic acid, phenylalanine은 밀가루에 많았다. Phytic acid 함량은 밀가루에서 0.312%, 전립분에서 0.734% 로 나타났다. 제빵 과정 중 phytic acid 함량은 yeast 첨가량 3%첨가구 보다 5% 첨가구에서 더 크게 감소하였다. Phytic acid 함량은 yeast food 무첨가, 0.1, 0.3 및 0.5% 첨가 중 0.1% 첨가구에서 감소되는 효과가 가장 컸다. 전립분 첨가빵 품질에 있어서 거친전립분 30%, 고운전립분 50% 첨가까지는 빵의 부피에 현저한 감소는 없었다. 전립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빵의 부피는 감소하고 색택이 검어졌으며, 관능검사는 거친 전립분 20% 첨가, 고운전립분 30% 첨가한 것이 선호도가 높았다.

  • PDF

제빵시 난각의 이용에 관한 연구 (Utilization of Egg-shell for Bread-making)

  • 김중만;김용섭;양희천;최용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0-166
    • /
    • 1989
  • 제빵시 폐자원 일종인 난각을 첨가하여 식빵의 calcium 강화효과와 팽창기능을 조사하였다. 제빵시 첨가한 난각의 최적 입자는 120mesh 이상으로 분쇄 하는 것이 적당하였고, baking-powder, yeast, 난각의 탄산가스 발생량은 각각 $153{\pm}3ml/g,\;115{\pm}3ml/g(Yeast\;1g+Sugar\;29),\;205{\pm}3ml/g(egg-shell\;1g+10%\;acetic\;acld\;50ml)$로 반응물질(혹은 기질) 1g 당 탄산가스 발생량은 난각이 제일 많았다. Baking-powder, yeast, 난각의 $CO_2$ 최대발생량 도달시간은 각각 10분, 240분 45분 이내였다. 기본 식빵재료구성에 난각과 젖산이 함께 첨가될때 용적과 견고성에서 바람직하였고 반대로 효모를 넣지않고 팽창제로서 난각만 첨가하거나 혹은 난각과 젖산을 첨가한 경우는 좋지 않았다. 빵제품의 calcium 함량은 난각의 첨가량$(3{\sim}5%)$에 비례하여 증가 효과가 없으면서도 기존 빵제품에 비하여 맛과 견고성 면에서 떨어지지 않았다. 결국 제빵시 난각의 첨가는 빵제품의 calcium강화와 yeast평창효과를 보족하여 주는 효과가 있었다.

  • PDF

밀 및 자색고구마 가루의 제빵성에 대한 첨가제의 영향 (Effect of Certain Additives on Bread-Making Quality of Wheat-Purple Sweet Potato Flours)

  • 김선영;유정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92-499
    • /
    • 1997
  • 밀가루(80%)와 자색고구마가루(20%)를 이용한 복합분으로 고구마빵을 제조하기 위하여 L-ascorbic acid, potassium bromate, gluten, carboxy methyl cellulose 및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등의 물성개량제를 첨가하여 고구마빵의 제빵성을 비교.검토하였다. Alveograph에 의한 반죽특성은 물성개량제를 첨가함에 따라 P, L, W값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L-ascorbic acid, gluten, carboxy methyl cellulose 등의 영향이 컸다. 반죽의 표면구조는 산화제를 첨가한 경우 gluten의 얇은 막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고, gluten, carboxy methyl cellulose,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를 참가한 경우 전분입자의 형태는 비교적 선명하나 큰 전분입자를 중심으로 얇은 막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빵 내부색의 총체적인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 ΔE값은 첨가제에 의한 영향은 없었으며, 빵 내부의 물성은 최대하중치, 강도, 경도 특성치가 사용첨가제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탄성, 응집성의 특성치는 증가하였다. 빵 내부의 노화특성은 7일 냉장저장 결과 엔탈피($\Delta$H)값이 증가하였으나 각 첨가제 모두 노화지연 효과가 있었다. 빵의 부피도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증가하였으며 특히 L-ascorbic acid, L-cystine, carboxy methyl cellulose 및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등의 효과가 좋았고, 관능검사결과 potassium bromate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제빵의 품질이 양호하였다.

  • PDF

제과제빵 기술의 발전과 베이커리 시장의 분석 (Development of Baking Technology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Bakery Market and Trends)

  • 이광석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45권4호
    • /
    • pp.16-20
    • /
    • 2012
  • Although the technology of breadmaking simply goes through the process of mixing, fermentation, and baking, it is very hard to make a same product every day. The reason is that baking science begins with the very first process of breadmaking which is mixing, and every steps and working environments are so closely connected. The baking science has developed in short time since the theory of fermentation has released. If you check the development of baking technology synthetically, it is consisted of the discovery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ingredients, the optimization process of new machines, and the maintenance of the quality as fulfilling social demands. Because the baking business is making and selling the product, baking itself is a business, and it has the form that manufacturing and service business coexist. In today's current domestic bakery market, the supply exceeds the demand. Moreover, the concept of bakery itself has been changing from the fixed image of bakery which is selling the bread to the differentiated bakery with others. As we look at the general bakery's trends, it is focused on going back to the basic or traditions, going to the functional, and working with automations. To conclude, the baking has a long history, but it actually has the short history in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Baking business can be viewed as the simple business, but many factors are related to the business. It has a few basic kinds of products in baking, but it has diverse kinds of products with the base of infinite creativity. Even though it is physically a hard working business, it is also a business that can face with fun. For managing a bakery, finally, the differentiated strategy with other bakery that maximizes the customers' value is needed.

제빵과정에 있어서 밀가루 지방질, 쇼트닝 및 유화제의 역할 (A Three Way Contribution of Wheat Flour Lipids, Shortening and Surfactants to Bread-making)

  • 정옥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4-89
    • /
    • 1981
  • Breadmaking is a complex system in which many variables govern the production of acceptable bread. Lipids, a minor component of wheat flour, function importantly in bread-making. Shortening, or fat, is one of the essential ingredients in commercial baking. Beneficial shortening effect depends on type and quantity of lipids present in wheat flour and also on wheat flour quality. Surfactants have been used in baking industry during last decade because certrain surfactants can replace shortening and/or natural flour lipids. A proper combination of lipidshortening-surfactant is more useful in the production of specialty breads such as whole wheat breads, high protein breads, high fiber breads or even non-wheat composite breads rather than in the production of regular white breads. This presentation is a review of recent studies on the contribution of flour lipids, shortening, and surfactants, alone or in combination in the production of breads; illustrations are mainly from data obtained in the author's laboratory.

  • PDF

밀의 경도가 밀가루 제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lour Products on Wheat Hardness)

  • 김혁일;하영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53-662
    • /
    • 1991
  • aThe terms of hard and soft as applied to wheats are descriptions of the texture of the kernel. A hard wheat kernel required greater force to cause it to disintegrate than those a soft wheat kernel. Factors than can affect the measurement of hardness outnumber those that affect hardness itself. Kernel texture is the most important single characteristic that affects the functionality of a common wheat. It affect the way in which must be tempered for milling ; the yield and the particle size, and density of flour particles ; and the end use properties in milling, breadmaking, production of soft wheat products, and noodle-making. Papers are reviewed from various sources not only hardness but flour functiona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