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ad making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6초

국산원료(國産原料)를 활용(活用)한 복합분(複合粉) 및 제품개발(製品開發)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 2 보 복합분(複合粉)을 이용(利用)한 제빵시험(試驗) - (Development of Composite Flours and Their Products Utilizing Domestic Raw Materials - II. Bread-making Test with Composite Flours -)

  • 김형수;김용휘;우창명;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6-24
    • /
    • 1973
  • 국산원료(國産原料)를 활용(活用)한 복합분(複合粉)으로 빵을 만들고 그들의 품질(品質)을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보리빵의 제조(製造)에 있어서, 표준 밀가루빵(speciffic loaf volume, SLV : 3.3)과 동일(同一)한 formula로 제조(製造) 할 때, 그 SLV 는 1.3(물 100%)으로 아주 낮았으나 탈지대두분(脫脂大豆粉)을 10% 혼합(混合)하면 1.7(물 100%)로 증가하였다. 한편 분질개량(粉質改良)을 위한 여러 가지 첨가제중(添加劑中)에서 1.5% GMS + 0.5% CSL 의 경우가 가장 우수하였다. (SLV : 2.0, 물 100%) 이에 다시 밀가루를 혼합(混合)하면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는 바, 보리가루의 25%를 밀가루로 대체하면 그 SLV 는 2.8(물 90%)로, 50%의 경우는 3.2(물 90%)로 증가하여 표준빵과 비슷하였으며, 빵색깔도 우수하였다. 2) 고구마빵은 baking이 끝나면 흑갈색으로 되는것이 특징(特徵)이고 탈지대두분(脫脂大豆粉) 20%를 혼합(混合)하면 그 loaf volume이 증가하며 결착제(結着劑)로서 GMS + CSL의 첨가(添加)는 효과적(效果的)이었다. (SLV : 1.9, 물 100%) 고구마가루 복합분에 밀가루를 25%와 50%수준(水準)으로 혼합(混合)하면 그 SLV는 각각(各各) 2.3, 2.6(물 90%)으로 증가하고 빵색깔이 연해지며 빵조직(組織)이 개선되었다. 3) 감자가루를 주원료(主原料)로 한 제빵은 그 분질(粉質)이 고구마가루와는 다르고 GMS + CSL의 첨가(添加) 효과가 낮았다. 옥수수가루에 의한 제빵은 쌀보리가루와는 상이한 경향이었으며, 탈지(脫脂)쌀겨가루는 제빵 원료(原料)로서 부적당하였다. 4) 원료(原料) 공급(供給)면에서 전망(展望)이 보이는 쌀보리가루와 고구마가루를 주원료(主原料)로 한 5종(種)의 복합분(複合粉), 즉 (1) 쌀보리가루+탈지대두분+밀가루 (45 : 10 : 45) (2) 쌀보리가루+탈지대두분+밀가루 (67.5:10:22.5) (3) 쌀보리가루+탈지대두분 (90 : 10) (4) 고구마가루+탈지대두분+밀가루 (40 : 20 : 40) (5) 고구마가루+탈지대두분+밀가루 (60 : 20 : 20) 으로 첨가제를 넣고 제빵한 후, 밀가루빵을 표준(So)으로 하여 관능시험(官能試驗)한 결과(結果), 평균점(平均點)의 서열은 So>(1)>(2)>(3)>(5)>(4) 이었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의 결과 (1)의 빵, 즉 보리가루와 밀가루를 동량(同量)섞고 여기에 탈지대두분(脫脂大豆粉)을 10% 혼합한 복합분(複合粉)을 주원료(主原料)로 한 빵은 그 색깔, 조직(組織), 및, 향기(香氣)등의 종합평가(綜合評價)에 있어서 밀가루빵과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 PDF

압출성형 옥수수 섬유질 첨가에 따른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Supplemented with Extruded Corn Fiber)

  • 이규철;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1290-1295
    • /
    • 2013
  • 옥수수 섬유질을 이용한 고식이섬유 식빵을 제조하기 위하여 옥수수 섬유질을 수분함량 30, 40%, 배럴온도 $140^{\circ}C$, 스크루 회전속도 200 rpm으로 압출성형 처리한 후 첨가율에 따른 제빵특성을 검토하였다. 식빵의 부피는 옥수수 섬유질의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압출성형 옥수수 섬유질 5% 첨가군에서는 수분함량 30, 40% 압출성형 옥수수 섬유질 첨가 식빵의 비체적이 각각 5.688, 5.712로 대조군 5.222(L/kg)보다 더 높게 측정되었다. 저장 기간 동안 옥수수 섬유질 첨가 식빵의 경도는 대조군과 압출성형 옥수수 섬유질첨가 식빵보다 높은 경도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옥수수 섬유질과 압출성형 옥수수 섬유질 5% 첨가 시 저장기간에 따라 대조군보다 낮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관능검사 결과는 대체적으로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선호도가 떨어졌다. 이는 첨가물의 비율이 높을수록 품질특성이 낮아지는 결과와 일치한다. 옥수수 섬유질을 압출성형하여 첨가하였을 때 전반적인 기호도는 상승하였다. 압출성형공정을 통해 옥수수 섬유질에 포함된 전분이 호화되고 섬유질의 구조가 파괴되어 비전분성 다당류인 cellulose와 hemicellulose가 식빵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김치 유산균으로 제조한 preferment 첨가 수준에 따른 white pan bread의 품질특성 (Study on the Properties of White Pan Bread Made by Adding Preferment Prepared b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신언환;김소미;박천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193-1198
    • /
    • 2003
  • 김치에서 분리한 L. brevis를 접종하여 제조한 preferment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을 살펴보았다. Preferment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pH를 감소시켰고, 산도는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식빵의 품질 평가에 있어서 비용적은 preferment의 함량을 20%까지 하였을 때 높게 나타났으며, 25% 첨가하였을 때에는 오히려 낮은 비용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수분함량 및 수분활성도에서는 대조구와 preferment 첨가구간의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물성특성에서는 hardness와 gumminess에서 preferment 첨가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spinginess는 증가시켰다. 그 외 cohesiveness와 색도(L, a, b값)은 모두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관능검사에서는 preferment가 신맛과 감칠맛을 증진시켰고, 20%의 preferment를 첨가하였을 때, 부피, 감칠맛, 조직에서 탄성에 우수한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식빵을 제조하는데 있어 김치 유산균의 preferment의 첨가 수준은 식빵의 품질 특성 및 관능검사가 우수하게 나타난 20%의 첨가구가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Soaking and Particle Sizes on the Properties of Rice Flour and Gluten-free Rice Bread

  • Song, Ji-Young;Shin, Mal-Shic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5호
    • /
    • pp.759-764
    • /
    • 2007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aking and particle sizes on the properties of rice flour and gluten-free rice bread, wet-milled (WRF, dried at $20^{\circ}C$) and dry-milled rice flours (DRF) were passed through sieves (45 or 100 mesh). Soaking of the rice grains affecte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flour passed through the same size screen. The L and b values of WRF were higher than those of DRF and were not changed with decreasing particle sizes, but DRF increased L and decreased b values. The initial pasting temperatures and setback viscosities of both flours decreased with decreasing particle sizes. The swelling powers at $100^{\circ}C$ increased with decreasing particle sizes in DRF, but maintained in WRF. Starch granules were observed on the surface of flour particles in WRF. The apparent viscosity of WRF paste exhibited 3-5 times higher than that of DRF. Thus, wet milled rice flour with smaller particle sizes (${\phi}<150\;{\mu}m$) showed better properties for making gluten-free rice bread.

대봉감 퓨레를 첨가한 우리밀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s Made from Domestic Wheat Flour Added with Deabong Persimmon Puree)

  • 임전순;김지명;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95-703
    • /
    • 2014
  • Daebong persimmon puree (DPP) prepared from removing the astringency of persimmon was used as a substitute for water when making the dough of white pan bread using domestic wheat flour, and the resulting,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content of DPP was 96.69%, and the dough was made by various levels of substitution of DPP for water (0, 10, 30, 50 and 100%). During fermentation, the expansion power of the dough decreased with increasing DPP levels (p<0.05). The volume, specific volume, baking loss, and the L and ${\Delta}E$ values of the crust and crumb of the breads also decreased with increasing DPP levels. The hardness and chewiness of the bread containing 100% DPP (without water) showed the highest values, but the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resilience showed the opposite trends. In the difference tests, all attributes except air cell uniform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read made with 100% substitution of DPP for water achieved the highest scores for flav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우리밀을 이용한 Sourdough Starter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Sourdough Starters using Korean Wheat)

  • 안혜령;허수진;이광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7-46
    • /
    • 2009
  • 우리밀을 이용하여 제조한 sourdough starter가 starter로 사용하기에 적합한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글루텐 함량, pH 및 TTA 측정, 발효율, mixograph, crumbScan과 관능검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우리밀은 pH의 수치가 4.0에서 4.5 사이로 나타나 sourdough starter로 사용하기에 적당하였다. KWF 5와 KWF 6은 다른 우리밀에 비하여 기공의 조밀도가 높았고, 찌그러짐의 정도가 적게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 KWF 6이 우리밀 중에서 텍스쳐와 껍질의 생상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결과적으로, 비록 강력 밀가루를 사용하여 제조한 sourdough starter SF를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인 sourdough bread SF를 관능검사 결과에서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결과에서 보여지듯이 대조구보다 우리밀을 이용하여 제조한 sourdough bread KWF 6이 좋은 sourdough starter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ourdough 분말첨가가 소맥분의 물리적 특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urdough Powder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Bread Flour)

  • 김석영;황성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1-176
    • /
    • 2004
  • Sourdough 분말의 첨가가 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sourdough 분말 Phil XN 290, Phil IM 1을 각각 1%, 2%를 넣은 다음 farinogram 특성, 호화도 특성, 반죽의 팽창력, crumb softness, 관능적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farinogram에서 sourdough 분말을 첨가한 것이 control에 비하여 흡수율은 차이를 거의 보이지 않았지만 반죽의 안정도가 감소하였으며 breakdown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RVA 값은 sourdough 분말을 첨가한 것이 초기호화 온도는 control 보다 0.7$^{\circ}C$-l.3$^{\circ}C$ 상승하였고, 최고점도는 Phil IM 1이 3-6 RVA 증가하였고, Phil XN 290은 유사하였다. 최종 점도는 Phil XN 290은 첨가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지만 Phil IM 1은 증가하여 일치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반죽의 팽창력은 sourdough 분말을 첨가한 것이 control과 비교하여 90분 이후부터 약간 낮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Hardness는 Phil XN 290과 Phil IM 1이 control과 비교하여 2일까지는 낮게 나타났으나, 4일 이후에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Phil XN 290 2%가 control 보다 향미, 식감, 맛이 5% 수준에서, Phil IM 1 2%가 control보다 향이 5%수준에서 우수하였고, 색상은 1% 수준에서 우수하였다.

국산밀 제분부산물을 첨가한 고식이섬유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igh-Fiber Breads Added with Domestic Wheat Bran)

  • 이영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23-328
    • /
    • 2003
  • 국산밀의 제분시 생성되는 밀기울(총 식이섬유 42%)을 밀가루에 $0{\sim}30%4 첨가함에 따라 반죽과 yeast 발효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고식이섬유빵의 소재로 활용하였다. 밀가루에 첨가하는 국내산 밀기울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amylograph 최고점도와 set back은 감소하였으며, mixograph에 의한 반죽의 리을로지 특성에서 peak height는 증가한 반면에 mixing time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밀기울의 첨가는 빵의 부피를 현저히 낮추고 crumb grain, 텍스쳐 등 관능특성에서 빵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기울의 첨가에 의해 빵은 L 값이 감소하여 어두워졌으며, crumb의 a 와 b값은 증가하여 적색과 황색의 색조를 부여하였다. 빵의 부피와 관능검사 측정 결과에 따라 국내산 밀기울의 적정 첨가수준은 약 15%까지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15% 밀기울 첨가빵은 대조구 빵에 비해 경도가 2배 이상 높았으며 $5^{\circ}C$$25^{\circ}C$에 5일간 저장실험에서 저장 $2{\sim}3$일에 급격한 경도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옹기가 빵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nggi on Bread Quality)

  • 정순경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6
    • /
    • 2016
  • 빵을 발효하는 과정에서 반죽을 담는 용기를 기존에 사용하는 스테인레스 용기 대신 옹기를 이용하면 어떨까? 빵을 굽는 과정에서 철판이 아닌 옹기판을 사용하면 빵 맛에 영향을 미칠까? 하는 고민을 해보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하였다. 결과는 발효실에서 옹기의 특성이 그대로 반죽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옹기의 장점 중 하나인 보온성이 발효실 내부 온도와 더욱 가깝게 유지되며 반죽의 표면온도와 중심온도가 일치되는 시간이 스테인레스 용기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짧은 시간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반죽의 전체온도를 낮은 편차에서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발효시간을 단축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구운 후 제품의 부피와 표면 색상이 철판보다는 옹기판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관능평가 역시도 기호도 면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옹기를 사용함으로써 발효식품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듯이 빵을 만드는 과정에서도 옹기를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더욱 더 좋은 품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시판 된장을 이용한 식빵 제조 : 3. 된장과 대두분의 단백질분산성이 글루텐물성과 식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효과 (Development of Yeast Leavened Pan Bread Using Commercial Doenjang(Korean Soybean Paste): 3. The Effects of Protein Dispersibility of Doenjang Powders and Soy Flours on the Gluten Rheology and Bread Quality Characteristics)

  • 오현주;김창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043-1048
    • /
    • 2004
  • 된장의 대두단백질 분산성이 제빵적성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전지대두분(FSF; full fat soy flour)과 탈지대두분(DSF; defatted soy flour)을 밀가루 반죽과 빵 배합에 사용하여 gluten물성과 최종 빵 품질을 된장분말 첨가구(2.5%, 5.0%)와 비교하고 측정값들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단백질 분산지수는 된장분말이 57.1%로 FSF 7.3%, DSF 10.8%, 강력분 32.8%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된장분말 첨가는 wet gluten의 현저한 신장저항도 감소와 신장성 증가를 보였으나 대두분 첨가는 단백질분산지수의 차이로 물성의 변화 정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측정값들 간의 상관관계 조사결과 단백질분산지수는 gluten신장성 (r=0.98, p<0.01)과 오븐팽창력(r=0.88, p<0.05) 증가에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이들은 빵 부피와 큰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따라서 된장분말의 일정량 사용으로 인한 된장첨가 빵의 부피와 조직감의 현저한 향상은 된장분말의 높은 protease 활성에 의한 단백질분산지수, 반죽의 신장성 증가 및 오븐 팽창력 증가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