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nch numbers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5초

방사선조사가 백서의 치주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Co-60 IRRADIATION IN THE RAT PERIODONTIUM.)

  • 박대희;이상래
    • 치과방사선
    • /
    • 제16권1호
    • /
    • pp.41-48
    • /
    • 1986
  • It is known that radiation therapy is a kind of treatment choices of the maxillofacial tumors.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rradiation effects on rat's periodontal tissues as functional tissues which relate to tooth-support, hard tissue formation and destruction. 20 rats (Sprague-Dowley branch, male) were devided into control group of 4 and experimental groupe of 16. Experimental group was singly exposed to Co-60 irradiation with 10 Gy in the head and neck region. Animals were sacrificed on 2 days, 1 week, 2 weeks and 3 weeks after the irradiation. The specimens were observed by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employing H-E stain, van-Gieson stain and PA-ACH fluorescent stai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ementoblasts and osteoblasts were gradually lost and rearranged along the external surfaces of the cementum and alveolar bone, but osteoclasts were almost not affected. 2. The cell numbers of the periodontal ligament were decreased due to the cellular atrophy and degeneration, but recovered almost normally on the 3rd week after irradiation. 3. The collagen fibers within the periodontal ligament were irregularly oriented, became finer and decreased in number. 4. The vessels of the periodontal ligament were decreased at the initial stage but increased again on the 2nd week after irradiation, and the hemorrhagic appearances, occurred within the tissues, due to the arterial destruction, were lasted until 3 weeks after irradiation. 5. The glycogen within the periodontal ligament was gradually increased and stored in the matrices of the cemental side on the 1st week after irradiation, but recovered almost normally on the 3rd week after irradiation.

  • PDF

해송에서의 솔껍질깍지의 벌레 수상분포 양식 (Within0tree Disribution of matsucoccus thunbergianae on Pinus thunbergiana)

  • 박승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4-121
    • /
    • 1994
  • 우리나라 남부지역 해송림에 피해를 주고 잇는 솔껍질깍지벌레으 해송 단목당 밀도가 추정되었다. 구피해자와 신규발생자에서 흉고직경 10cm내외의 공시목을 채취, 가해 약충의 서식가능 면적을 조사한 바 1차측지 밀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2차측지 이하 부속지의 밀도는 구피해지가 낮았다. 약충의 분포양식은 양 지역의 고시목에서 유사한 형태를 나타냇으며 단목당 약충 추정수는 주간의 약충수에 비하야 구피해지에서는 10.8배 신규발생지에서는 13.1배로서 최소 4,200마리, 최대 208,500마리이었다. 오차범위 20%내에서 필요한 공시지의 수는 수관중분의 내부, 수관하부의 중부 및 내부에서 채취한 길이가 10~20cm, 20~30cn인 2차측지이하 부속지로서 각 21개 및 11개이었다. 알주머니는 단목당 63.6%가 주간에 분포하여 이중 가장 밀도가 높은 부위는 역지를 보유한 절간마디이었으며 이를 포함, 인접된 4개 절간에서의 밀도는 주간 전체 밀도의 약 37%이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macroalgal epiphytes on Thalassia testudinum and Syringodium filiforme seagrass in Tampa Bay, Florida

  • Won, Boo-Yeon;Yates, Kim K.;Fredericq, Suzanne;Cho, Tae-Oh
    • ALGAE
    • /
    • 제25권3호
    • /
    • pp.141-153
    • /
    • 2010
  • Seagrass epiphyte blooms potentially have important economic and ecological consequences in Tampa Bay, one of the Gulf of Mexico's largest estuaries. As part of a Tampa Bay pilot study to monitor the impact of environmental stresses, precise characterization of epiphyte diversity is required for efficient management of affected resources. Thus, epiphyte diversity may be used as a rational basis for assessment of ecosystem health. In May 2001, epiphytic species encompassing green, brown and red macroalgae were manually collected from dense and sparse seagrass beds of Thalassia testudinum and Syringodium filiforme. A total of 20 macroalgal epiphytes, 2 Chlorophyta, 2 Phaeophyta, and 16 Rhodophyta, were found on T. testudinum and S. filiforme seagrass at the four sampling sites (Bishop Harbor, Cockroach Bay, Feather Sound, and Mariposa Key). The Rhodophyta, represented by 16 species, dominated the numbers of species. Among them, the thin-crusted Hydrolithon farinosum was the most commonly found epiphyte on seagrass leaves. Species number, as well as species frequency of epiphytes, is higher at dense seagrass sites than sparse seagrass sites. Four attachment patterns of epiphyte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cortex and rhizoid development: 1) creeping, 2) erect, 3) creeping & erect, and 4) erect & holding. The creeping type is characterized by an encrusting thallus without a rhizoid or holdfast base. Characteristics of the erect type include a filamentous thallus with or without a cortex, and a rhizoid or holdfast base. The creeping and erect type is characterized by a filamentous thallus with a cortex and rhizoid. A filamentous thallus with a cortex, holdfast base, and host holding branch is characteristics of the erect and holdfast attachment type. This study characterized each species found on the seagrass for epiphyte identification.

황기의 녹비작물 작부체계 활용 유기재배 시 생장반응과 수량에 관한 연구 (Effects of Organic Fertilizers and Green Manure Crops on Growth Responses and Yields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 송범헌;이경아;장윤기;김영국;안태진;안영섭;박충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3-89
    • /
    • 2011
  • This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responses and yields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which were grown with organic cultivation using two organic fertilizers and two green manure crops of hairy vetch and rye in 2008 and 2009. The lengths of stems and roots were not clearly different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cultivations. The root diameters and the branch numbers were slightly thicker and more in all treatments of organic cultivation than that of conventional cultivation in 2008, although the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cultivating methods in 2009. The dry weights of shoot and root were heavier on organic cultivation than those on conventional cultivation. The T/R ratios were commonly higher in organic culture, showing more clearly in 2008 than 2009. The yields were generally higher in organic cultivation than those in conventional cultivation in 2008 although the effect did not clear on yield in 2009. The organic cultivation using of organic fertilizers and green manure crops would be new method to have safety and qualitative products. The techniques of organic cultivation for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would be studied more on utilizing the natural organic resources.

두둑높이가 넓은잎큰조롱의 생육 및 근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dge Height on Growth and Tuber Yield in Cynanchum auriculatum Royle ex Wight)

  • 남상영;김인재;김민자;노창우;이정관;윤태;민경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9-303
    • /
    • 2009
  • 넓은잎큰조롱의 두둑높이에 따른 생산성 및 품질향상을 위하여 재배법 확립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두둑높이를 달리하여 2005년부터 3년간 시험한 결과, 만장, 엽장, 엽폭, 엽수, 엽록소함량, 경엽 건물중은 두둑높이가 높을수록 양적인 증가를 가져왔으나, 경태와 분지수는 두둑높이가 낮을수록 굵거나, 많은 경향이었다. 근수와 근장은 두둑높이 20 cm까지는 두둑높이가 높을수록 많거나, 길었으나, 20 cm 이상의 두둑높이에서는 생육량이 감소하였으며, 근태는 두둑높이가 낮을수록 굵어지는 경향이었다. 비상품근 중 세근은 두둑높이 20 cm에서 다소 많았으며, 부패근은 두둑높이가 낮을수록 많은 경향이었고, 근수량은 두둑높이 20 cm내지 30 cm 까지는 두둑높이가 높을수록 증수되어 두둑높이 10 cm의 515 kg/10a 대비 3%, 11% 증수되었다.

시비량과 재식밀도가 목화의 개화 및 결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tilizer Levels and Plant Densities on Flowering and Bolling in Cotton)

  • 김상곤;박홍재;성병열;정동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36-441
    • /
    • 1992
  • 목화 재배에 있어서 시비량별 재배밀도에 따른 화뢰의 착생, 개화 및 결삭의 양상과 이들 화뢰 또는 삭의 낙하에 관한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목화는 적채면 수확한계기인 8월 25일(목포지방)까지의 전체 개화수의 67%가 개화하였고 그 후 목채면으로 수확할 수 있는 개화수비율은 약 30%였다. 2. 비료수준은 1.5배비(표준비 4-4-5kg/10a)에서 화뢰, 개화 및 삭수가 가장 많았다. 3. 휴폭 50cm의 협폭하에서는 밀식할수록 양분쟁탈에 의한 생육 부진으로 개체당 화뢰, 개화 및 삭수의 감소가 심하였으나 다비조건의 70cm의 광폭에서는 주간이 좁을수록 그 수가 많은 반면에 소식에서는 과번무의 양상을 볼 수 있었다. 4. 화뢰수에 대한 개화비율은 약 70% 정도이고 개화수에 대한 결삭비율은 48% 내외였으며 개화수가 많으면 결삭비율은 오히려 낮아졌다. 5. 화뢰의 낙하비율은 30% 내외이며 협휴밀식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고 낙뢰율이 높을수록 낙삭율은 낮았다.

  • PDF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baffles on the efficiency improvement of irrigation sedimentation tank structures

  • Nouri, Alireza Zamani;Heydari, Mohammad Mehdi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63권4호
    • /
    • pp.567-574
    • /
    • 2017
  • Sedimentation tanks are essential structures to filter the suspended sediments in the inlet flow which are constructed at the inlet of the basins forked from rivers and irrigation canals. The larger the constructed tank, the better the sedimentation process is conducted. However, the construction and dredging costs increase. In this regard, improving the performance and sedimentation efficiency seem necessary by alternative methods. One of these effective methods is using baffle plates. Most of the studies carried out in this field are on the use of these baffles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edimentation tanks. Hence, this study is carrier out with the objective of increasing the retention efficiency in the irrigation sedimentation tanks using baffles. To reach this goal,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a flume with length 8 meters, width 0.3 meters, and height 0.5 meters, considering a sedimentation tanks with a length of 3 meters, in three different inlet concentration, three flow rates and three Froude numbers. The baffles were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tank and the effects of the angle, height and position in the tank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on average, employing the baffles increased the sedimentation efficiency 5 to 6% and the highest value was obtained for angle 60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ost favorable height and position of these baffles were obtained to be in 40% of the depth of the flow and 50% of the length of the sedimentation tank, respectively. Also, by increasing the number of baffles, the sedimentation efficiency decreased. Regarding the sedimentation regions in this case, more than 80% of the settled sediments were observed in the middle of the tank measured from the inlet.

정보화 기기용 SPD의 설치조건에 따른 보호효과 (Protection Effect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Installations of SPDs for Information-Oriented Equipments)

  • 이복희;이동문;정동철;이수봉;이승칠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5-41
    • /
    • 2007
  • 최근 고품질의 정보통신서비스와 안정한 전력공급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뇌서지로부터 정보통신설비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대책을 제안하기 위해서 실규모 실험회로를 적용하여 여러 가지 설치조건에 따른 서지보호기의 보호효과를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전원계통의 접지방식, 분기회로의 수, 접지선의 배선방법 등에 따라 서지보호기의 보호효과는 크게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정보화 기기용 서지보호기를 설치하는 경우, 전원선과 통신선을 포함하는 공통접지방식과 접지선을 전원선과 일괄하여 금속관 내에 배선하는 것이 서지보호기의 서지차단성능의 향상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주요(主要) 논잡초(雜草) 올챙이고랭이와 사마귀풀 생태(生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Emergence and Ecology of the Scirpus hotarui and Aneilema japonica on Paddy - Field)

  • 김소연;송석길;김봉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09-113
    • /
    • 1985
  • 1.잡초(雜草)의 발생심도(發生深度)는 2개초종(個草種) 다같이 지표면(地表面)에서 발생(發生)이 많았으나 올챙이고랭이는 3cm깊이에서도 다소(多少) 발생(發生)하였고 그이상 깊이에서는 발생(發生)되지 않았으마 사마귀풀은 주로 표면(表面)에서 발생(發生)이 많았다. 2. 잡초(雜草)의 생육(生育)이 왕성(旺盛)한 시기(時期)가 8월(月)18일(日) 이전이였고 그 이후(以後)에는 생육량(生育量)이 적었으며 3. 일장(日長)의 영향(影響)은 올챙이고랭이 및 사마귀풀 공히 단일처리(短日處理)하므로써 초장(草長)이 작고 분지수(分枝數)도 적었다. 개화기(開花期)는 단일처리(短日處理)하에서 빨라지는 영향(影響)을 나타냈다. 4. 사마귀풀은 재생력(再生力)이 1회절제(回切除)하므로써 재생(再生)되지 않았으며 올챙이고랭이는 분얼성기(分蘖盛期) 절제(切除)가 가장 재생력(再生力)이 높았다. 5. 올챙이고랭이 월동주(越冬株) 자체(自體)는 고사(枯死)가 없이 100% 재생(再生)이 가능하였고 근경부착수(根莖附着數)가 많을수록 발생(發生)이 잘되었다. 6. 잡초(雜草)와 수도수량(水稻收量)과의 관계(關係)를 보면 각 초종(草種) 공(供)히 잡초수(雜草數)가 많을수록 수량(收量)이 낮았으며 그 원인(原因)은 수수(穗數)의 감소(減少)가 수량(收量)에 미친 영향(影響)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홉필드 네트웍에서 에너지 함수를 이용한 최적 경로 탐색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hortest Path by the energy function in Hopfield neworks)

  • 고영훈;김윤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15-221
    • /
    • 2010
  • 홉필드 네트웍은 패턴 매칭과 더불어 최적화 문제를 푸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Zhang과 Ali는 홉필드 네트웍의 노드를 2차원으로 확장하여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였다. 잠재적 브랜치의 총합인 노드의 제곱만큼 뉴런이 필요한 Ali 알고리즘은 탐색 네트워크가 커지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Ali의 방식을 개선하여 계산량을 대폭 줄이고 효과적으로 최적 경로를 탐색할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한다. 효과적인 최적 경로 탐색을 위하여 2단계로 구분하여 진행된다. 1단계에는 홉필드 네트웍을 2단계에는 eSPN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적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제안된 방식은 샘플 네트웍을 통하여 최적 경로 탐색이 확인되었으며, Ali 알고리즘보다 빠르고 간단하여 실제 최적화에 적용하기기 용이하다. 특히, 네트웍의 브랜치 비용이 변화할 경우에도 홉필드 네트웍의 연결 시냅스가 아닌 입력 바이어스를 조정하므로 동적으로 변화하는 네트웍의 최적 경로 탐색에도 유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