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king forces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5초

가동단 마찰계수가 장대레일 축력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검토 (Review of effects of friction coefficient of moving bearing on Stability of CWR)

  • 유제남;최영준;양신추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12-817
    • /
    • 2004
  • Recently drastic improvement of railway technology has been accompanied by the construction of very high-speed tracks. It should be noticed that Continuously Welded Rail(CWR) has played significant role in technical development of railway and that installation of CWR is now being scheduled on existing lines as well as newly-built lines. In general, interaction between CWR and bridge deck takes place on bridge section and additional axial force and displacement is to be developed owing to temperature and braking/acceleration forces. This interaction is known to be mainly governed by span organizations and arrangements of foot bearings. In common practice, movable bearing is stationed and designed on the assumption that it is not able to transfer the horizontal force of upper decks. However, it is well known that horizontal resistance is developed in movable bearings due to friction and that friction coefficient of movable bearing is ranged from 0.03 to 0.20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bearings and magnitude of reactions. Therefore, it is easily reasoned out that friction of movable bearing can influence the mutual behavior of CWR and bridge decks. Suggested in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and efficiency of friction effect of movable bearings in controlling the axial force and displacement of CWR on continuous railway bridges.

  • PDF

개폐식 지붕구조의 움직임에 대한 공간구조물의 진동해석 (Vibration Analysis of Space Structure with Retractable Roof)

  • 김기철;강주원;김현수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13-120
    • /
    • 2011
  • 지붕구조의 개폐가 가능한 체육시설 및 복합시설은 대공간구조물의 장점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대공간구조물의 전천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개폐식 지붕구조는 구조형식, 마감재료, 개폐방식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며 개폐방식에 따라서 중첩방식, 수평이동방식, 주름접기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중첩방식이나 수평이동방식에 의한 지붕구조의 움직임은 주행하중, 충격하중, 관성력 및 제동력과 같은 동적하중이 구조물에 가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공간구조물의 진동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붕구조의 움직임에 의한 주행하중은 이동질량 또는 이동하중으로 적용할 수 있으나 비교적 움직임이 느린 개폐식 지붕구조에 의한 동적하중은 아동하중으로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붕구조의 개폐로 야기되는 이동하중에 대한 새로운 적용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개폐식 지붕의 개폐속도에 따른 대공간구조물의 진동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등가 이동하중은 지붕구조 개폐에 의한 대공간구조물의 진동해석에 있어서 매우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3축 유압 피로 시뮬레이터의 커플링에 대한 역기구학적 해석 (Inverse Kinematic Analysis for a three-axis Hydraulic Fatigue Simulator Coupling)

  • 김진완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20
    • /
    • 2020
  • 차량이 주행 중에 그리고 항공기가 활주로에 착륙하는 순간과 활주 중에 발생하는 피로는 착륙장치, 기체와 차량의 현가장치 등에 수명 주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휠에 작용하는 하중들은 종축 힘, 횡력, 수직력과 제동력이다. 차량의 동특성과 내구성을 연구하기 위해 본 논문의 시뮬레이터는 시험실에서 실제 노면 형상을 재현에 사용된다. 그러므로 제품 개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하드웨어적으로 유압 피로 시뮬레이터 구조의 중요한 요소는 각 축을 분리하고 여러 하중과 진동을 견뎌내는 것이다. 본 논문의 역기구학적 해석 방법은 Dummy wheel 중심에서 축 방향으로 최대 동작 변위를 준 후 커플링에 의한 유압 서보 작동기의 작동 크기를 도출한다. 해석의 결과는 실제 노면 형상을 정확하게 재현하기 위해 축 간의 커플링이 미약함을 확인하는 것이다.

AFS 횡력 제한조건 하에서 ESC와 AFS를 이용한 최적 요 모멘트 분배 (Optimum Yaw Moment Distribution with ESC and AFS Under Lateral Force Constraint on AFS)

  • 임성진;이정재;조성익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5호
    • /
    • pp.527-53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능동 전륜 조향장치(AFS)에 의한 횡력의 크기가 제한된 상황에서 자세 제어장치(ESC)와 능동 전륜 조향(AFS)을 이용한 통합 새시 제어기의 최적 요모멘트 분배 방법을 제안한다. 차량을 안정화시키는데 필요한 제어 요모멘트는 슬라이딩모드 제어이론을 이용하여 구한다. 가중 역행렬 기반 제어 할당 방법을 이용하여 제어 요모멘트를 ESC의 제동력과 AFS의 추가 조향각으로 분배한다. 저마찰 노면에서 AFS에 의한 횡력이 물리적 최대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 요모멘트를 제대로 만들어내지 못하므로 가중 역행렬 기반 제어 할당 방법을 이용하여 AFS에 의한 횡력의 크기를 제한하고 ESC의 제동력으로 부족한 제어 요모멘트를 보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차량 시뮬레이션 패키지인 $CarSim^{(R)}$에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AFS에 의한 횡력이 물리적 최대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안된 방법이 차량의 조종 안정성과 횡방향 안정성을 향상시킨다는 사실을 검증했다.

롤러 신발과 조깅 슈즈 신발 착용 후 보행 시 지면반력의 형태 비교 분석 (The Effects of Wearing Roller Shoes on Ground Reaction Force Characteristics During Walking)

  • 채원식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1-10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GRF characteristics during walking wearing jogging and roller shoes. Twelve male middle school students (age: $15.0{\pm}0.0\;yrs$, height: $173.6{\pm}5.0\;cm$, weight: $587.6{\pm}89.3\;N$) who have no known musculoskeletal disorders were recruited as the subjects. Kinematic data from six S-VHS camcorders(Panasonic AG456, 60 fields/s) and GRF data from two force platform; (AMII OR6-5) were collected while subjects walked wearing roller and jogging shoes in random order at a speed of 1.1 m/s. An event sync unit with a bright LED light was used to synchronize the video and GRF recordings. GRF data were filtered using a 20 Hz low pass Butterworth. digital filter and further normalized to the subject's body weight. For each trial being analyzed, five critical instants and four phases were identified from the recording. Temporal parameters, GRFs, displacement of center of pressure (DCP), and loading and decay rates were determined for each trial. For each dependent variable,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test if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shoe conditions (p <.05). Vertical GRFs at heel contact increased and braking forces at the end of initial double limb stance reduced significantly when going from jogging shoe to roller shoe condition. Robbins and Waked (1997) reported that balance and vertical GRF are closely related It seems that the ankle and knee joints are locked in an awkward fashion at the heel contact to compensate for the imbalance. The DCP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for the roller shoe condition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e corresponding value for the jogging shoe condition. Because the subjects tried to keep their upper body weight in front of the hip to prevent falling backward, the DCP for the roller shoe condition was restricted The results indicate that walking with roller shoes had little effect on temporal parameters, and loading and decay rates. It seem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GRF characteristics between roller shoe and jogging shoe conditions. The differences in GRF pattern may be caused primarily by the altered position of ankle, knee, and center of mass throughout the walking cycle. Future studies should examine muscle activation patterns and joint kinematics during walking with roller sho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