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in text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2초

뇌텍스트(Brain Text) 및 뇌개념(Brain Concept)의 형성원리와 문학윤리학비평 (The Forming Mechanism of Brain Text and Brain Concept in the Theory of Ethical Literary Criticism)

  • 섭진교;윤석민
    • 대중서사연구
    • /
    • 제25권1호
    • /
    • pp.193-215
    • /
    • 2019
  • 문학윤리학비평이론은 모든 문학에 텍스트가 있다고 전제한다. 구비 문학의 원뜻은 말로 전승되는 문학의 한 형태이다. 구비문학의 텍스트는 구두로 표현되기 전에 이미 사람의 뇌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뇌텍스트(Brain Text)라고 일컫는다. 뇌텍스트는 인간의 대뇌에 기억되어 있는 텍스트로서, 인간이 문자와 정보 저장 방식을 발명하기 이전의 텍스트 형식이다. 문자가 탄생한 뒤에도 뇌텍스트는 여전히 존재한다. 뇌텍스트와 유사한 텍스트는 문자 텍스트와 전자 텍스트이다. 모든 뇌텍스트는 뇌개념(Brain Concept)으로 구성된다. 뇌개념은 물상(物象)개념과 추상(抽象)개념 두 유형으로 분류된다. 뇌개념은 사유에 필요한 도구이며, 사유는 뇌개념을 이해하고 운용함이다. 뇌개념을 운용하여 사유를 전개하면, 사상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이 사상은 뇌텍스트를 매개체로 한다. 뇌개념 조합 과정의 완성은 사유 과정의 끝맺음을 의미한다. 사유과정의 끝맺음에 사상이 생겨나고, 뇌텍스트를 형성하게 된다. 뇌텍스트는 인간의 사상과 행위를 결정하는 확정과정으로서, 정보의 교류와 확산에 작용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의식, 사유, 판단, 선택, 행동, 감정까지도 결정한다. 뇌텍스트는 인간의 생활방식과 도덕행위를 결정하고, 인간의 존재를 결정하며, 인간의 본질까지도 결정한다. 어떠한 뇌텍스트가 어떠한 사상과 행위를 결정하고, 어떠한 뇌텍스트가 어떠한 인간을 결정하는 것인가? 이 문제의식은 곧바로 문학윤리학비평이론과 연계된다.

Discovering the anti-cancer phytochemical rutin against breast cancer through the methodical platform based on traditional medicinal knowledge

  • Jungwhoi Lee;Jungsul Lee;WooGwang Sim;Jae-Hoon Kim;Chulhee Choi;Jongwook Jeon
    • BMB Reports
    • /
    • 제56권11호
    • /
    • pp.594-599
    • /
    • 2023
  • A number of therapeutic drugs have been developed from functional chemicals found in plants. Knowledge of plants used for medicinal purposes has historically been transmitted by word of mouth or through literatur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a systemic platform for the development of lead compounds against breast cancer based on a traditional medical text. To verify our systematic approach, integrating processes consisted of text mining of traditional medical texts, 3-D virtual docking screening, and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al validations were demonstrated. Our text analysis system identified rutin as a specific phytochemical traditionally used for cancer treatment. 3-D virtual screening predicted that rutin could block EGFR signaling. Thus, we validated significant anti-cancer effects of rutin against breast cancer cells through blockade of EGFR signaling pathway in vitro. We also demonstrated in vivo anti-cancer effects of rutin using the breast cancer recurrence in vivo models. In summary, our innovative approach might be proper for discovering new phytochemical lead compounds designing for blockade of malignant neoplasm including breast canc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