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wl life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7초

시판 Breakfast Cereals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Breakfast Cereals)

  • 박찬경;맹영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89-293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시판 breakfast cereals의 품질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Breakfast의 water absorption index(WAI)가 클수록 water soluble index(WSI)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Bowl life는 WSI가 클수록 길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판 breakfast cereals의 Bowl life는 제품의 WSI 이외에도 크기, 모양 및 조직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 표현용어의 조사에 따르면 시판 breakfast cereals의 중요한 관능적 품질요소는 고소한 맛, 단 맛, 굳기, 부서지는 정도 및 먹은 후 입속에 남는 느낌으로 구분되며, 특히 부서지는 정도가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단 맛과 고소한 맛은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첨가물에 의한 단 맛 강화는 오히려 고소한 맛을 감소시켰다. 전체적인 관능적 품질은 색, 고소한 냄새, 고소한 맛과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입안에서의 마찰 정도, 부착성, 첨가물 맛과는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좋은 색과 고소한 맛, 바삭바삭한 조직감을 갖는 breakfast cereal이 좋은 품질의 제품으로 평가되었다.

  • PDF

거대배아미와 일반미를 이용하여 제조한 현미 flake의 품질특성 비교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Flakes Prepared with Giant Embryonic Rice and Normal Rice Cultivars)

  • 이연리;최영희;고희종;강미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40-544
    • /
    • 2001
  • 거대배아미 4품종과 각각의 일반미 4품종 등 8품종의 현미를 이용하여 간편식인 flake 제조에 대한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쌀눈의 영양성분을 그대로 섭취할 수 있는 곡립상 현미 flake을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수침온도와 시간별 용출된 환원당함량, 수분흡수율, 쌀알의 경도를 측정하여 $60^{\circ}C$에서 5시간 수침한 후 곡립상 현미 flake을 만들었다. 일반품종으로 제조한 flake들에 비해서 거대배아미 품종으로 제조한 flake가 팽화도가 높고, 경도는 낮으며, 아삭아삭한 정도가 높은 바람직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거대배아미 품종으로 제조한 flake들의 bowl life가 일반품종들에 비해서 긴 경향이 있었으며, 특히 화청찰거대배아미로 제조한 현미 flake의 bowl life가 가장 길고, 화청벼로 제조한 현미 flake의 bowl life가 가장 짧았다. 제조된 flake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메벼, 찰벼에 상관없이 거대배아미 품종으로 제조한 것들이 높았으며, 일반 품종간에서는 찰벼로 제조한 것이 메벼로 제조한 것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수침에 따른 수분흡수율은 제조된 flake의 bowl life 및 아삭아삭한 정도와 정의 상관성을 가지며 현미 flake의 수분흡수지수는 팽화도 및 bowl life와는 정의 상관성이 있었다. 관능검사상의 경도와는 부의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시험된 8개의 품종중에서 신선찰거대배아미 및 화청찰거대배아미 품종이 flake 제조에 가장 적합하였다.

  • PDF

제조조건에 따른 압착형 현미 Flake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Flakes Subjected to Various Flaking and Toasting Method)

  • 이연리;최영희;강미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1-139
    • /
    • 2001
  •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flakes by different processing conditions such as flaking Process and their heat treatments were investigated to establish the brown rice flake processing procedure. To successfully make the compressed rice grain type flakes, the most appropriate water steeping conditions were 5 hours at 60'C. The brown rice flakes by compressed flaking procedure and heat treatment with microwave toasting showed the best crispiness-texture that tested from textrometer or sensory evaluat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ource of rice varieties. The water absorption index(WAI) of tested flak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water soluble index( WSI)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wl life. The flakes made by compressed flaking procedure and heat treatment with microwave toasting showed longer bowl life, which is the length of the time that the cereal can retain its crispness after being soaked in milk.

  • PDF

A New Spray Chrysanthemum Cultivar, 'Snow Bowl', Resistant to White Rust, Long Vase Life and Single Type with White Petals for Cut Flower

  • Lim, Jin-Hee;Shin, Hak-Ki;Park, Sang Kun;Cho, Hae-Ryong;Rhee, Hye-Kyung;Kim, Mi-Seon;Joung, Hyang Young;Yae, Byeong Woo
    • 화훼연구
    • /
    • 제18권4호
    • /
    • pp.303-307
    • /
    • 2010
  • A new spray chrysanthemum cultivar 'Snow Bowl' was released by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NIHH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in 2008. The cross was made in 2005 between '03B1-230', breeding lines of NIHHS and 'Sei-Alps'. Trials were conducted from 2006 to 2008 for the evaluation and selection of this cultivar, including shading cultures in summer and retarding cultures in spring. The natural flowering time of 'Snow Bowl' is late October, but year-round flowering is possible by photo-periodic control. It has single type flowers with white petals. The growth of plant is very vigorous and it is resistant to white rust. The diameter of flower is 6.3cm. Number of flowers per stem and petals per flower are 12 and 31, respectively. Days to flowering under the short day treatment is about 59 and its vase life is 24.1 days in autumn season. 'Snow Bowl' was applied as No. 2009-179 on February 18, 2009 for variety protection and the plant variety protection rights have been registered as No. 3239 on August 3, 2010 at the Korea Seed and Variety Service.

세제세척 후 용기재질과 헹굼시간에 따른 계면활성제 잔류량 변화 (Effects of Bowl Material and Rinsing Period on Variation in the Amount of Residual Surfactant Resided in the Bowls after Dish-Washing)

  • 정종신;정연훈;정승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12호
    • /
    • pp.978-981
    • /
    • 2013
  • 일상생활과 실험실에서 널리 사용하는 대표적 용기를 선정하여 세제세척 및 헹굼 후 용기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의 양을 정량화하였다. 일반적 세제 사용량인 8 mL를 수세미에 묻혀 용기를 닦은 후 흐르는 물에 7초 및 15초간 헹궈주었다. 설거지가 끝난 용기에 증류수 100 mL를 붓고 흔들어 그릇에 남아 있는 계면활성제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7초 헹굼과정을 거친 후 용기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 농도는 뚝배기 4.68 mg/L, 후라이팬 1.22 mg/L, 유리그릇 0.57 mg/L, 플라스틱 용기 0.25 mg/L 순으로 모든 용기에서 계면활성제가 검출되었다. 그러나 15초 헹굼과정을 거친 경우, 뚝배기에서만 계면활성제가 여전히 검출되었고 다른 용기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실험결과 다공성매체로 이루어진 재질일수록 계면활성제의 잔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제로 식기를 세척할 경우 충분한 헹굼과정이 있어야 세제 섭취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많은 이공계실험실에서 실험실 용기가 세제세척 후 충분히 헹궈지지 않는다면 잔류 계면활성제가 이후 실험 결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디젤기관의 실린더내 유동 및 분무액적 거동의 수치적 연구(I) (A Study on the Numerical Analysis of Behavior of Spray Droplets and Internal Flow Field of Cylinder in Diesel Engine)

  • 장영준;박호준;전충환;김진원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35-46
    • /
    • 1992
  • In this study, we calculated gas flow fields and distribution of fuel droplet and mass fraction using the CONCHAS-SPRAY code which modified to execute in IBM PC and changed three important factors, injection rate pattern (BASIC, I, II, III), different bowl shape and spray type. Especially vortices which be influenced by fuel-air mixing process, evaporation and flame propagation are generated more strongly in the bowl-piston type combustion chamber than in the flat-piston type. As the spray type changes, it is found that conical type produced large and strong vortices and fuel droplets are effictively diffused into the entire combustion chamber. As the injection rate pattern changes I, II, III based on BASIC type, we confirmed that End-of-Injection Effect strongly influence on droplets life time.

  • PDF

붓다볼(싱잉볼) 명상을 활용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효과 연구 -중년 여성 불자 중심으로- (Buddha Bowl Meditation A Study on the Effect of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s -Focused on middle-aged women Buddhists-)

  • 김경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676-687
    • /
    • 2021
  • 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붓다볼 명상을 활용하여 중년여성들의 자기 존중감, 긍정적 사고를 향상시키는 프로그램 효과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대상은 '붓다볼'에 관심이 있는 부산시 H사찰 중년여성 불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방법은 본 연구의 단일집단의 사전-사후검사(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활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붓다볼 명상이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검증 결과, 삶의 질 전체는 실험집단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둘째, 붓다볼 명상이 자기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검증 결과, 자기 존중감은 실험집단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셋째, 붓다볼 명상이 긍정사고에 미치는 효과 검증 결과, 긍정사고 전체는 실험집단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본, 주요 결론은 소리의 파동 에너지를 활용한 치유 명상의 도구인 붓다볼은 중년여성 불자의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붓다볼 명상프로그램은 개인과 가정, 사회적인 환경 여건으로 인하여 더 복합적인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중년여성들에게 긍정적인 활용 가치가 있음을 판단된다. 아울러 붓다볼 명상프로그램을 교육적·정책적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함으로써 중년여성들의 자아존중감, 긍정적 사고 및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활용할 당위성과 필요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싸이폰원리를 이용한 콩나물 자동재배기 개발 (Development of Soybean Sprouter Using Principle of Siphoning)

  • 김중만;최용배;양동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60-463
    • /
    • 1997
  • 콩나물 재배시 수주방식은 콩나물 재배기 자동화에 중요한 관건이다. 본 재배기는 기존 콩나물 재배기의 단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재배기로 싸이폰이 내설된 저수조와 분수통 및 재배통으로 구성되어 구조가 간단하면서 완전 자동으로 수주가 가능하고 고장이 없는 내구성 콩나물 재배기이다. 수주방법은 적수(滴水)를 모아 일정시간 간격으로 자동 수주가 이루어 지는데 수주간격은 분당 떨어지는 적수량을 조절하여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 재배기는 사용할 때 경제적이며 사용중 고장이 없고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특히 염소 가스로 살균된 수돗물을 이용하여 건전하게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다. 더욱이 중요한 것은 본재배기는 콩나물 속성재배 적온인 $25{\sim}30^{\circ}C$에서 건전한 재배가 가능하였으나 다른 재배기는 $20^{\circ}C$ 이하에서만 재배가 가능하였다.

  • PDF

압출성형공정을 이용한 삼 종자 후레이크 제조 (Manufacturing of Hemp Seed Flake by Using Extrusion Process)

  • 김철;구본재;류기형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99-105
    • /
    • 2010
  • 경제적 잠재성이 큰 삼 종자의 식품소재로서의 활용을 모색하고자 삼 종자의 일반성분을 측정하였고 삼 종자 첨가 압출성형펠릿의 호화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페이스트 점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삼 종자 후레이크의 체적밀도, 색도, 압착강도, 수분용해지수와 수분흡착지수, 조직감 유지 시간(bowl life) 등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압출성형 공정조건은 배럴온도 90, 100, 110$^{\circ}C$, 수분함량 35%이었다. 삼 종자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함량은 각각 5.67${\pm}$0.02, 25.93${\pm}$0.16, 28.21${\pm}$0.56, 7.70${\pm}$0.08%이었다. 압출성형 펠릿의 페이스트 점도 측정결과 삼 종자 펠릿의 제조에 적합한 압출성형 배럴온도는 100-110$^{\circ}C$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삼 종자 후레이크의 체적밀도는 0.24-0.43 g/mL 범위로 배럴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명도와 압착강도는 삼 종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배럴온도가 90$^{\circ}C$에서 11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수분용해지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수분흡착지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직감 유지시간은 5.8-15.5분 범위로 삼 종자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삼 종자 첨가량 20%일 때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Arcuphantes catillus n. sp., a new spider species (Araneae: Linyphiidae) from Korea

  • Im, Jae Seong;Kim, Seung Tae
    • 환경생물
    • /
    • 제39권2호
    • /
    • pp.156-159
    • /
    • 2021
  • Arcuphantes catillus n. sp., a new species of the genus Arcuphantes Chamberlin and Ivie, 1943 is described from Korea. The present species is distinguishable from its known similar congeners by a conspicuous proximal process and a blunt lateral process of the paracymbium, feathery tipped lamellar extension of the pseudolamella, and bowl-like posterior part of radix. The present new species was collected from the leaf litter layer of mixed forest on a hillock around rice fields with a pitfall tr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