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redom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5초

Flow and Learning Emotions in Computer Education: An Empirical Survey

  • Wang, Chih-Chien;Wang, Kai-Li;Chen, Chien-Chang;Yang, Yann-Jy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1권3호
    • /
    • pp.53-64
    • /
    • 2014
  • It is important to keep learners' feeling positive during learning to enhance learning performance. According to flow theory,challenge-skill balance is a precondition for flow experience: Learners feel anxiety when the challenge of learning is higher than their ability, feel boredom when the challenge of learning is lower than learners' ability, and engage in flow status when the challenge of learning matches the learners' ability. However, the current empirical study reveals that emotions related to enjoyment may appear when the learners' skill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learning challenge. Nevertheless, boredom emotion may appear when learners perceive the courses are difficult but unimportant. These empirical survey results revealed the necessary of rethinking the appearance of boredom and enjoyment emotions in computer education.

사회초년생의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구 (The Explor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Burnout among Young Working Adults)

  • 홍민기;변현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743-750
    • /
    • 2023
  • 본 연구는 사회초년생들을 대상으로 직무소진에 미치는 긍정적인 요인과 부정적인 요인을 탐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긍정적인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원 및 공감을 선정하였고, 부정적인 요인으로는 직무권태와 직무 스트레스를 선별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은 여러 연구에서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으로 다루어졌다. 연구방법으로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변수 간 영향력을 더욱 세밀하게 파악해 보았다. 연구결과 부정적 요인들(직무 스트레스, 직무권태)이 긍정적 요인들(공감, 사회적 지원)보다 직무소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에 사회초년생들에게 관심과 배려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료함, 통증, 그리고 놀람 정서 간 자율신경계 반응의 차이 (Difference of Autonomic Nervous System Responses among Boredom, Pain, and Surprise)

  • 장은혜;음영지;박병준;김상협;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14권4호
    • /
    • pp.503-512
    • /
    • 2011
  • 최근 HCI 분야에서 정서 인식은 정서 지능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적인 단계 중의 하나이다.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정서 인식을 시도하는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으나, 기본 정서 이외의 다른 정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료함, 통증, 그리고 놀람의 세 가지 정서 간 자율신경계 반응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실험자는 217명의 실험참여자(남 96명)들을 대상으로 시/청각 자극을 조합하여 무료함과 놀람 정서를 유발하였고, 혈압기를 이용하여 통증 정서를 유발하였다. 정서 자극이 제시되는 동안 피부전기활동, 피부온도, 심전도와 광혈량도를 측정하였고, 실험참여자들이 경험한 정서 범주와 강도를 정서평가척도 상에 평정하게 하였다. 정서 자극에 대한 평가 결과, 사용된 정서 자극은 평균 92.5%의 적합성과 5.43의 효과성을 보였는데, 이는 각 정서 자극이 해당 정서를 효과적으로 유발한 것을 의미한다. 자율신경계 측정 결과, 피부전기활동, 피부온도, 심박률, 심박률의 저주파수 성분과 평균 혈류량은 안정 상태와 정서 상태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각 정서에 의해 유발된 자율신경계 반응은 정서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이론의 확장과 자율신경계 반응 측정 지표를 활용하여 정서를 인식하는 알고리즘 및 인간 정서를 변별하는 컴퓨터 시스템 개발에 응용 가능할 것이다.

  • PDF

Streamer Motives and User-Generated Content on Social Live-Streaming Services

  • Friedlander, Mathilde B.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5권1호
    • /
    • pp.65-84
    • /
    • 2017
  • Three most popular information services, Periscope, Ustream, and YouNow, vicarious for all Social Live-Streaming Services (SLSSs), are investigated to analyze their streamers' motivations and the user-generated content. Additionally, we collected demographic data (gender and age). More than 7,500 streams by users from the U.S., Germany, and Japan were observed. Main streamer motivations on SLSSs are boredom, socializing, the need to reach a specific group, the need to communicate, and fun. Important content categories on all three SLSSs are chatting, sharing information, 24/7, and 'slice of life.' We were able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users from the U.S., Germany, and Japan as well as between the users of Periscope, Ustream, and YouNow. The main motive to stream in the U.S. is to reach a specific group, while in Japan it is socializing, and in Germany boredom. The top content category for both, YouNow as well as Periscope, is to chat; on Ustream it is 24/7 (i.e., webcams).

데이터 로딩과 사용자 경험의 상관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Correlating Data Loading with User Experience)

  • 윤인식;문일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85-193
    • /
    • 2024
  •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해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차량 내에서도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고, 사용자는 웹과 앱을 통해 매일 정보를 얻고 있다. 하지만 데이터 처리량이 증가함에 따라 프로그램의 응답 속도가 느려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사용자는 기다리라는 메시지를 받게 된다. 사용자의 대기는 불편한 경험이지만, 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시간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 대기를 최소화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그러나 서비스 처리 시간이 예상치를 넘어가면 사용자는 더욱 심한 지루함과 고통을 겪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의 대기 지루함을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사용자의 대기 지루함을 완화하기 위해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로딩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신의 로딩 기법인 Skeleton 로딩이 사용자 대기 경험에 어떤 효과를 가져오는지, 다른 로딩 기법과 비교하여 UI 측면에서 얼마나 매력적인 디자인 기법인지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Skeleton 로딩은 사용자 대기 경험을 개선하고, UI 디자인 측면에서도 매력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플로우 4경로모형의 마음상태와 플레이(play) (State of Mind in the Flow 4-Channel Model and Play)

  • 손준상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1-2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플로우 4경로모형에서 마음상태와 플레이(play)가 하는 역할과 그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선행요인인 도전감 및 숙련도의 조합에 따른 마음상태를 측정하고, 플레이를 플로우 4경로모형에 투입하여 플로우이론에서 가설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마음상태와 플레이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플로우와 플레이의 웹충성도에 대한 영향도 분석하였다. 가설검정 결과에서는 첫째, 도전감과 숙련도의 조합에 따라 플로우, 두려움, 지루함, 무관심의 마음상태가 형성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두려움의 수준은 도전감과 숙련도가 모두 가장 낮은 무관심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플로우이론의 설명과 일치하지 않는데, 무관심집단은 두려움으로 인해 온라인 쇼핑을 회피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도전감과 숙련도에 따라 구분된 집단 간에 플레이 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플레이는 플로우에 대해서는 정(+)의 영향을 미쳤고, 지루함에 대해서는 부(-)의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두려움과 무관심에 대해서는 부(-)의 영향효과가 유의적이지 않았다. 넷째, 플레이와 플로우는 웹충성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마음상태인 두려움, 지루함, 무관심은 웹충성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플레이의 웹충성도에 대한 영향은 부정적 마음상태에서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플로우 4경로모형에서의 마음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마음상태별로 수립한 4개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플로우 뿐만 아니라 두려움, 지루함, 무관심의 부정적 마음상태에서 발생하는 영향관계를 종합적으로 입증하였다. 이런 결과는 부정적 마음상태의 영향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이론발전에 기여하였다고 본다. 또한, 플로우모형에서 플레이의 역할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실무적으로도 인터넷 소비자들의 마음상태에 따른 시장세분화와 플레이를 활용한 마케팅전략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

청소년기 여학생의 의복행동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연령.지역 차이와 심리적 특성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Influencing Factors of Korean Female Adolescent′s Clothing Behaviors: -Effect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ge and Residence-)

  • 고애란;진병호;심정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75-48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re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clothing behavior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ll relation to age and residence and to identify the relative effects of Korean female adolesc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clothing behaviors. The instruments measuring 9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adolescent egocentrism, social and general self-efficacy, public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boredom susceptibility, optimal stimulation level, body attitudes-were adapted from previous studies. Clothing behavior measurement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pilot study results or adapted from previous studies. The data. collected from 2284 nationwide sample of Korean female adolescents(early, middle, late) was analyzed by frequency, two-way ANOVA, and LISR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lothing behavior were factor analyzed and 6 factors were identified: dressing for others. conformity to peers, clothing interest, self-expression, psychological dependence and clothing exhibition. Effects of age were dominant in 6 out of 9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ive clothing behavior factors except conformity to peers. Dominant main effect of residence was found oかy in boredom susceptibility. From the results of LISREL, adolescent egocentrism,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ensation seeking tendency were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emale adolescents'clothing behaviors.

  • PDF

Experiences of Patients with Coronavirus in the COVID-19 Pandemic Era in Indonesia

  • Aungsuroch, Yupin;Juanamasta, I Gede;Gunawan, Joko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8권3호
    • /
    • pp.377-392
    • /
    • 2020
  • COVID-19 is considered the worst pandemic of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Among the ASEAN countries, Indonesia has the second highest number of active cases and is ranked 23th in the world in active cases as of August 14, 2020. The number of people becoming infected in Indonesia continues to grow along with fear and panic conditions that have negative impacts on Indonesian society. Therefore, efforts to deal with the conditions should be mad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patients with COVID-19 experiences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This study used literature and video clip analysis of 14 cases.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were presented in the following five themes (i) experience of receiving a diagnosis (I am shocked, how could I get infected?, suggestive thinking between dead or alive, and uncertainty of the test result), (ii) boredom during isolation, (iii) being stigmatized and discriminated against, (iv) self-reflection with God, and (v) social support from family members and healthcare workers. This study serves as an input to increase the chances of the recovery of the patients with COVID-19.

성인 여성의 의복 폐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omen's Clothing Discard Behavior)

  • 유연실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2-156
    • /
    • 199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ason, = of clothing discard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demographic and clothing variables on the clothing discard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from 610 women who lived in Seoul and Kwangjoo. By means of factor analysis, 6 general factors of clothing discard reason.; were extracted The 6 factors were named as dissatisfaction with appropriateness, physically worn out, dissatisfaction with clothing quality, fashion change, boredom, inconvinience. Among the five clothing items (suits or one pieces, jackets, jumpers, shirts or blouses, skirts or pants), there existed differences in the reason factors of clothing discard The relationships between clothing discard behavior (reason factors of clothing discard, peviods of clothing utilization) and variables like user's age, degrees of satisfaction with clothing, clothing items were also examined. There exist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age groups and the groups classified by clothing satisfaction degrees in the reason factors of clothing discard and in the Periods of clothing utilization. Periods of clothing utilization were also differed by the clothing items. As user's a age grew older, periods of clothing utilization increased and the rates of clothing discard because of dissatisfaction with appropriateness, and dissatisfaction with clothing quality, boredom, inconvinience factors were decreased. As the degrees of satisfaction with clothes increased, the periods of clothing utilization also increased and the rates of clothing discard because of dissatisfaction with appropriateness, and dissatisfaction with clothing quality, inconvinience factors decreased. And the rates of clothing discard because of physically worn out factor increased.

  • PDF

Construction Workers' Sensation-Seeking and Inattentiveness to Warning Alarms from Construction Vehicles

  • Kim, Namgyun;Gregoire, Laurent;Anderson, Brian A.;Ahn, Changbum R.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261-268
    • /
    • 2022
  • In road work zones, pedestrian workers' habituated inattention to warning alarms from construction vehicles can lead to fatal accidents. Previous studies have theorized that human factors such as personality traits may affect workers' inattentiveness to workplace hazards. However, there has been no study that directly examined how road construction workers' personality traits affect their attention to warning alarms within a work zone and the likelihood of engagement in a struck-by accident. This study examines how workers' sensation-seeking (especially boredom susceptibility) is related to inattention to warning alarms while performing a task in road work zones. An experiment with actual road construction workers was conducted using a virtual road construction environment. Workers' attention to repeatedly presented warning alarms was measured using eye-tracking sensors. In response to workers' frequent inattentive behaviors, a virtual accident was simulated.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boredom susceptibility and workers' engagement in the virtual accident, a consequence of inattentiveness to warning alarms. The findings suggest that workers' personality traits predispose them to tune out warning alarms and become vulnerable to accidents in road work zon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targeted interventions aimed at preventing workers' inattention to repeatedly exposed workplace hazards, thereby contributing to reducing fatal accidents in road work zon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