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ok art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9초

그림책과 명화를 활용한 미술프로그램이 유아의 미술 감상능력과 미술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Picture Book and Famous Paintings Art Programs : Effect on Young Children's Artistic Appreciation and Artistic Expression)

  • 장영숙;윤경아
    • 아동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97-110
    • /
    • 2005
  • This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art programs took place in Gwangju with asample of 60 four- to five-year-old children from three kindergartens. The children were assigned to one of three experimental groups : 20 children in the picture book group(experimental group 1), 20 children in the famous paintings group(experimental group 2), and 20 children in the traditional group(control group).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using the scores of the pre-test as covariance. Results showed that the picture book and the famous painting art programs affected young children's art ability more positively than the traditional art program. The picture book art program showed particularly high educational effectiveness.

  • PDF

도면 분석을 통한 덕수궁미술관의 고전주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assicism in Drawings of Deoksugung Palace Art Museum)

  • 김종헌
    • 건축역사연구
    • /
    • 제24권6호
    • /
    • pp.83-92
    • /
    • 2015
  • Deoksugung Palace Art Museum was built in 1938 as the first professional art museum in Korea. In 2015,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published a book on architectural drawings of this building. This book, called Architectural Drawings of the Deoksugung Palace Art Museum, consists of 646 sheets, 23 types of documents, as well as other historical letters. This paper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cism in Architectural Drawings. It shows that every dimensions of drawings were controled by 3 partition compos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architectural plan drawings, elevation drawings and even section drawings. Thus, Classicism for the museum is not about classical elements but the principle of composition of each elements for the construction. This paper further argues that Deoksugung Palace Art Museum exemplifies beautiful Classicism architecture which follows the principle of classical architectural composition.

전자책 이용자의 시스템, 콘텐츠 및 서비스 품질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the System, Contents, and Service Quality of e-book User Purchase)

  • 나윤빈;이승하;명유진;조세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141-150
    • /
    • 2016
  • 근래 스마트 디바이스 확산과 더불어 전자책 기술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종이책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콘텐츠, 파일 호환성 문제 등 소비자가 느끼는 불만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는 현재의 전자책 시장이 기술 개발 관점이 아닌 시장의 요구사항을 수용하려는 소비자 관점의 연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IS 성공 모형에 근거하여 전자책을 구성하는 시스템, 콘텐츠, 서비스 등 세 가지 주요 속성의 품질을 측정하여 독자들의 전자책 구매의도와 단말기 구매의도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시스템 품질이 단말기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콘텐츠 품질이 전자책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가설들은 기각되었다.

창의교육에 있어 예술 활동을 통한 창의실습도서에 대한 고찰 (Contemplation of Creative Practice Book though Art Activity in Creative Education)

  • 안종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106-115
    • /
    • 2012
  • 21세기는 창의(創意) 중심의 시대이다. 교육정책 또한 창의성을 강조하며 창의를 바탕으로 새로운 변화를 꿈꾸고 있다. 예술을 통한 창의교육은 사물의 본질을 파악하고 본인이 느낀 것을 추구하고 인지능력 향상만 가져오는 것뿐 아니라 피교육자의 창의성 개발을 촉진시키며 사물에 대한 통찰력과 기존의 것과는 다른 새로운 사유와 법칙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얻게 된다. 창의교육은 가정, 학교, 지역사회, 공공기관, 사설기관 등을 통하여 실행되고 있지만 창의적 환경에 노출되는 피교육자의 수는 극히 드물다. 창의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다양한 방법 중 가장 보급력이 높은 창의실습도서의 연구와 개발은 아직 미흡한 현실이다. 창의교육실습도서의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며 창의교육을 범국민적인 차원으로 넓혀가려면 손쉽게 볼 수 있도록 누구나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예술 활동을 통한 창의교육 실습도서에 대한 고찰을 시작하게 되었으며 널리 연구되어 다양한 방식의 창의실습도서가 저서 되었으면 한다.

'한 권의 책'으로서 『앵무새 죽이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o Kill a Mockingbird As 'One Book')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115-133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 및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의 'The Big Read(TBR)'에서 Harper Lee의 "앵무새 죽이기"가 보여주는 '한 권의 책(One Book)'으로서의 가치, 이 책을 선정한 지역사회들의 지향점과 다양성 등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 책은 2001년-2014년 사이 86개 '한 책, 한 도시' 프로그램 및 2007년-2015년 사이 138개 TBR 지역사회에서 선정되었다. 많은 지역사회가 용기, 관용, 정의 등 주제로 표현된 인간 존엄성에 대한 공감을 시도하였고, 독서토론, 다양한 프로그램 및 행사로 이 가치를 표현하였다.

국내 정기간행물에 나타난 그림책 서평의 내용분석 (A Content Analysis of Picture Book Reviews in Korean Periodicals)

  • 공정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331-352
    • /
    • 2014
  • 본 연구는 그림책 서평의 발전적 토대를 마련하고 서평의 생산자로 사서의 전문영역을 확장하는데 기여하고자 국내 정기간행물에 나타난 그림책 서평을 내용 분석하였다. 문헌연구와 델파이 기법을 통하여 바람직한 그림책 서평의 기준을 제시하고, 국내 서평매체에서 그림책 서평기준에 맞는 서평을 기술하였는지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향후 그림책 서평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림책 서평의 분석 결과 그림책 서평의 바람직한 기준에 맞는 우수한 서평이 더 생산되어야 하며, 기술적 서술보다 평가적 서술의 내용이 많아져야 한다. 또한 매체별로 서평자의 직업에 따른 서평의 내용이 달라지므로 서평자의 문학과 미술에 관한 전문지식이 필요하다. 서평의 분량이 길수록 서평기준에 맞는 우수한 서평이 생산되므로 일정분량이상의 서평이 필요하며, 서평 작성자로서 사서의 역할이 더욱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구황본초(救荒本草)"의 역대(歷代) 간행(刊行)에 관한 연구 (Study of on the "Gu-Hwang-Bon-Cho" of Publish)

  • 지명순;김정은
    • 혜화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3-35
    • /
    • 2014
  • Gu-Hwang Plants(plants collected from mountains and fields and eaten when no food was available) is healthy, life saving food material, being Mi(taste) and Ki(energy) of nature, for modern people who lose their health by oversupplying energy and unbalanced diet. Also, Gu-Hwang Plants is material for new medicine and functional foods. However, there is a lack of document research about Gu-Hwang plants in Korea. "Gu-Hwang-Bon-Cho" is a book about plants written as a guide for collecting food from nature and maintaining life at times when no food is available due to natural disaster. The book describes in which soils the plants are produced and the names for the plants, and classifies them according to hot and cold characters and sweet and bitter tastes of the plants. In addition, the book distinguished plants' edible parts, such as flower, fruit, root, stem, peel, and leaf, with how to collect and cook them. The book is of great value that it is reprinted over generations and now there are 30 kinds of existing books.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based on books published throughout history which are the first book of this kind by Ju-wang-ju, a book published in 1525 by I-Ryeom, a book published in 1555 by Youk-gan, a book published by Ho-seung of Sa-cheon, and a book published in 1566 by Ju-g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