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ne lead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32초

Subungual Osteochondromas of the Toe: Two Case Report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 Myung Chul Lee;Chan Eol Seo;Wook Youn Kim;Wan Seop Kim;Jeenam Kim;Donghyeok Shin;Hyungon Choi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50권1호
    • /
    • pp.101-105
    • /
    • 2023
  • Benign cartilaginous tumors, known as chondrogenic tumors, show cartilage components in the microscopic diagnosis. We present two clinical cases with cartilaginous tumors of the toes showing distinctive clinical manifestations. Two juvenile patients visited our outpatient clinic due to tumors with toenail deformities. A 10-year-old girl presented with a palpable mass with a nail deformity on the left third toe. The initial pathology report was soft tissue chondroma until complete resection. Another 15-year-old male patient visited the dermatology department with a toenail deformity and underwent a punch biopsy. The pathology report was fibrosis with myxoid degeneration. Excisional biopsies were performed for both patients. In the operative field, we observed exophytic tumors connected to the distal phalangeal bones. The final pathology reports were subungual osteochondroma on both patients. The specimen exhibited mature bone trabeculae with a focal cartilaginous cap. Benign cartilaginous tumors have a slow, progressive course and do not show significant symptoms. However, tumors in subungual areas are accompanied by toenail deformities and they can cause pain.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lead to a delayed diagnosis. Surgeons can be confused between soft tissue and chondrogenic tumors. When they conduct physical examinations, these categorie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Facial palsy reconstruction

  • Soo Hyun Woo;Young Chul Kim;Tae Suk Oh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0
    • /
    • 2024
  • The facial nerve stimulates the muscles of facial expression and the parasympathetic nerves of the face. Consequently, facial nerve paralysis can lead to facial asymmetry, deformation, and functional impairment. Facial nerve palsy is most commonly idiopathic, as with Bell palsy, but it can also result from a tumor or trauma. In this article, we discuss traumatic facial nerve injury.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injury, it is important to first determine its location. The location and extent of the damage inform the treatment method, with options including primary repair, nerve graft, cross-face nerve graft, nerve crossover, and muscle transfer. Intracranial proximal facial nerve injuries present a challenge to surgical approaches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temporal bone. Surgical intervention in these cases requires a collaborative approach between neurosurgery and otolaryngology, and nerve repair or grafting is difficult. This article describes the treatment of peripheral facial nerve injury. Primary repair generally offers the best prognosis. If primary repair is not feasible within 6 months of injury, nerve grafting should be attempted, and if more than 12 months have elapsed, functional muscle transfer should be performed. If the affected nerve cannot be utilized at that time, the contralateral facial nerve, ipsilateral masseter nerve, or hypoglossal nerve can serve as the donor nerve. Other accompanying symptoms, such as lagophthalmos or midface ptosis, must also be considered for the successful treatment of facial nerve injury.

Mechanisms Underlying the Role of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s in Clinical Diseases: Good or Bad

  • Yongtong Ge;Dalei Cheng;Qingzhi Jia;Huabao Xiong;Junfeng Zhang
    • IMMUNE NETWORK
    • /
    • 제21권3호
    • /
    • pp.21.1-21.22
    • /
    • 2021
  •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s (MDSCs) have strong immunosuppressive activity and are morphologically similar to conventional monocytes and granulocytes. The development and classification of these cells have, however, been controversial. The activation network of MDSCs is relatively complex, and their mechanism of action is poorly understood, creating an avenue for further research. In recent years, MDSCs have been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immune regulation and in effectively inhibiting the activity of effector lymphocytes. Under certain condition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issue damage or inflammation, MDSCs play a leading role in the immune response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 cancer, however, this can lead to tumor immune evasion and the development of related diseases. Under cancerous conditions, tumors often alter bone marrow formation, thus affecting progenitor cell differentiation, and ultimately, MDSC accumulation. MDSCs are important contributors to tumor progression and play a key role in promoting tumor growth and metastasis, and even reduce the efficacy of immunotherapy. Currently, a number of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MDSCs play a key regulatory role in many clinical diseases. In light of these studies, this review discusses the origin of MDSCs,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ir activation, their role in a variety of clinical diseases, and their function in immune response regulation.

Middle meatal nasal recesses of the maxillary sinuses and dangerously modified nasal anatomy

  • Mugurel Constantin Rusu;Alexandru Nicolae Muresan;Carol Antonio Dandoczi;Alexandra Diana Vrapciu
    • Anatomy and Cell Biology
    • /
    • 제57권3호
    • /
    • pp.463-467
    • /
    • 2024
  • Pneumatisation of the maxillary sinus (MS) is variable. The archive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file of a 54-year-old female was retrospectively evaluated anatomically. Nasal or retrobullar recesses of the MSs (NRMS) were found. The MSs were bicameral. NRMSs extended from the postero-lateral chambers of the MSs into the lateral nasal walls. The right NRMS was reached superior to the middle turbinate and the ethmoidal bulla was applied on its anterior side. The left NRMS had two medial pouch-like ends, one beneath the ethmoidal bulla and the other on the anterior side of the basal lamella of the middle turbinate. Additional anatomical findings were the uncinate bulla, infraorbital recesses of the MS, maxillary recess of the sphenoidal sinus, and atypical posterior insertions of the superior nasal turbinates, maxillo-ethmoido-sphenoidal and ethmoido-sphenoidal. The NRMS is a novel finding and could lead to erroneous endoscopic corridors if not documented before the interventions.

Congenital malformations in the vertebral column: associations and possible embryologic origins

  • Anneli M. Du Plessis;Quenton Wessels;Albert Van Schoor;Natalie Keough
    • Anatomy and Cell Biology
    • /
    • 제55권4호
    • /
    • pp.399-405
    • /
    • 2022
  • Cases of associations between random spinal congenital defects have previously been reported, yet several questions remain unanswered. Firstly, why are associations between what seems to be random combinations of vertebral malformations observed? Secondly, is there a common event or pattern that connects the associated defec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ongenital defects in the vertebral column and also to determine whether any associations, if present, between vertebral malformations exist. This article consequently discusses the possible embryological disruptions that may lead to the formation of various defects in the vertebral column. A random skeletal sample (n=187) was selected from the Pretoria Bone Collection housed in the Department of Anatomy, University of Pretoria (Ethics 678/2018). The sample was evaluated to determine the frequencies of spinal congenital defects in each set of remains. Identifiable congenital malformations were observed in 48.1% (n=90/187) of the sample. The results demonstrated a high probability of association between the different defects observed in the vertebral column. Findings are of value as they provide a reasonable explanation to why seemingly random cases of associations have been reported by several authors. This study is clinically relevant as severe spinal defects have been shown to have high morbidity in patients and mortality in infants.

Exploring the Genetic Mechanisms Underlying Diamond-Blackfan Anemia

  • Ye Jee Shim
    •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Genomics
    • /
    • 제6권2호
    • /
    • pp.25-32
    • /
    • 2024
  • Diamond-Blackfan Anemia (DBA) is a rare congenital bone marrow failure syndrome primarily characterized by erythroblastopenia and macrocytic anemia. This disorder results from mutations in ribosomal protein (RP) genes, which lead to defective ribosomal RNA maturation, nucleolar stress, and impaired erythropoiesis. Mutations in RP genes have been identified, with RPS19 being the most commonly affected gene,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25% of all cases. Other frequently mutated genes include RPL5, RPL11, and RPS26. These mutations are mostly heterozygous and cause defective ribosome assembly and biogenesis, which activates the p53 pathway, resulting in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addition, non-RP gene mutations, such as those in GATA1, TSR2, or HEATR3, have been linked to DBA-like phenotypes, further complicating the genetic landscape. Congenital malformations, particularly craniofacial anomalies, thumb abnormalities, and cardiac defects, are common in patients with specific RP gene mutations, such as RPL5 and RPL11. Advances in next-generation sequencing have improved the identification of novel mutations; however, approximately 20-25% of DBA cases remain genetically unexplained. In this review, we explore the genetic landscape of DBA and provide insights into the underlying mutations and their contributions to disease pathophysiology.

환경모니터링을 위한 집비둘기 깃털의 중금속 축적특성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Accumulations in Feral Pigeon (Columba livia) Feathers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 이장호;이종천;이상희;김명진;이유진;한아름;심규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23권6호
    • /
    • pp.492-504
    • /
    • 2014
  • 집비둘기는 도시지역에서 환경오염물질의 생물축적 모니터링을 위한 지표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집비둘기 알은 생물 자체를 죽이지 않고도 생물축적의 경향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료로서 유용하다. 하지만 알은 유기 오염물질 축적은 잘 되는 반면, 납, 카드뮴 같은 특정 중금속은 저농도로 축적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중금속에 대한 적절한 모니터링을 위해 대체 시료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집비둘기의 세척깃털을 이용하여 중금속 축적 특성을 연구하였고, 중금속 모니터링 시료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도시지역인 서울 한강공원과 농촌지역인 함평군 함평공원을 대상으로 2013년 4월~5월에 집비둘기 개체 포획 및 알 채집을 실시하였고, 생체 조직, 세척깃털, 알의 중금속 5종(Pb, Cd, Total Cr, Ni, As)에 대한 축적 농도를 분석하였다. 중금속 5종의 생체 조직 내 축적 특성을 보면, 납(Pb)과 카드뮴(Cd)은 나머지 3종(Total Cr, Ni, As)에 비해 생체 조직 내 축적이 두드러지게 높게 나타났다. 특히, 납은 다른 중금속에 비해 지역 간 비교에서도 두드러진 농도 차이를 보였는데, 뼈, 간, 혈액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농촌지역인 함평공원보다 도시지역인 한강공원이 높은 농도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깃털에서도 나타났다. 알 시료(알 내용물, 껍데기)는 깃털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로 납이 축적되는 경향을 보였다. 깃털 중에서는 꼬리깃과 날개깃이 각각 신장 및 뼈 조직의 납 농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중금속 배출경로 요소(깃털, 알, 배설물 등) 중 하나인 깃털로 축적되는 납 농도는 다른 요소(예: 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환경 오염요소(대기, 토양, 먹이 등) 내 납 농도가 서로 차이나는 지역들 내의 집비둘기의 생체 축적농도 차이를 깃털이 어느 정도 반영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칼슘섭취 부족 흰쥐에서 임신, 수유기 동안 칼슘보충 수준이 무기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 Supplementation on Mineral Metabolism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of Calcium-Deficient Young Adult Rats)

  • 박미나;김은애;이연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58-96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가임기 동안 저칼슘을 섭취한 흰쥐에게 임신기와 수유기에 걸쳐 장기간 칼슘보충수준을 달리했을 때, 어미쥐와 새끼쥐의 골격상태와 무기질 대사가 어떻게 변화하는 가를 알아보고, 가임기 동안의 칼슘부족 상태를 어느 정도 회복시킬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암컷 흰쥐를 이용하여 5주간의 비임신기간 동안 저칼슘을 섭취시킨 후 다시 세 군으로 나누어 고(high 1.5%), 중(normal 0.5%), 저(low 0.15%) 수준의 칼슘을 함유한 실험식이를 임신기와 수유기의 총 6주 동안 각각 급여하였다. 전 실험기간 동안 정상 칼슘 식이를 섭취한 군을 정상대조군으로 하였다. 임신전이나 임신, 수유기 동안 체중 및 식이섭취량은 식이 칼슘 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임신기간 동안 저칼슘을 섭취한 모든 실험군에서 정상칼슘을 섭취한 군에 비해 어미쥐의 혈청 총 단백질 농도가 감소되었다. 그리고 비임신기간 동안 저칼슘 섭취에 의해 저하된 어미쥐의 골격상태는 임신, 수유기간 동안 정상수준 이상의 칼슘을 보충했을 때 정상수준에 가깝게 회복되었다. 그러나, 임신, 수유기간 동안 고수준의 칼슘보충은 어미쥐의 혈청에서 인, 마그네슘 및 철의 함량을, 대퇴골과 요추에서는 마그네슘의 함량을 유의적으로 저하시켰다. 반면, 신장에서는 칼슘, 인 및 마그네슘 함량을 높여서 무기질을 축적시켰다. 임신, 수유기 동안 어미쥐의 칼슘섭취 수준이 새끼쥐에 미친 영향을 보면, 어미쥐의 지속적인 저칼슘 식이 섭취가 새끼쥐의 대퇴골 회분량 및 칼슘, 인과 마그네슘 함량을 유의적으로 낮추었고, 고수준의 칼슘을 보충한 경우에는 새끼쥐의 혈청 마그네슘 농도와 아연 농도를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비임신기에 칼슘 섭취 부족은 모체의 골격 중량, 강도 및 회분함량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이러한 칼슘 섭취부족상태가 임신, 수유기까지 이어진다면 그 영향이 모체뿐만 아니라 그 자손에게까지 미칠 수 있음이 밝혀졌다. 한편 임신 전에 불충분한 칼슘을 섭취했다고 할 지라도 임신, 수유기간 동안 적절하게 칼슘을 보충하면 모체의 골격상태 및 무기질 함량은 회복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칼슘의 보충은 혈청 단백질 농도뿐만 아니라 다른 무기질의 농도를 저하시켜 체내 무기질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임신, 수유기 동안 칼슘보충제의 적절한 섭취가 요구된다.

초분, 한국 이중장제의 분석심리학적 고찰 : 부패와 뼈로의 환원을 중심으로 (CHOBUN, Understanding the Double Burial Custom in Korea from a Jungian Perspective : Focusing on Putrefaction and Reduction to Bones)

  • 조자현
    • 심성연구
    • /
    • 제31권2호
    • /
    • pp.113-150
    • /
    • 2016
  • 초분은 살이 다 썩어 없어질 때까지 관에 넣은 시신을 짚으로 싸두는 초가 형태의 임시 무덤을 말한다. 모든 살이 다 없어지고 나면, 초분은 해체되고, 뼈만 추려 다시 묻는다. 이러한 방식의 초분은 따라서 처음 시신의 살을 처리하기 위한 임시 매장과 이후 남은 부분(뼈나 재)을 영구히 매장 하는 이중장제에 속한다. 초분은 사람이 잘 가지 않고, 집에서도 떨어져 있지만, 유족이 가서 돌볼 수 있는 곳을 택해 만들어지는데, 심리학적으로 이것은 지속적인 관심을 쏟을 수 있으면서도 고요히 격리될 수 있는 곳, 다시 말해 심리적인 재생이 일어나는 장소이다. 초분을 두는 기간, 일차장의 기간을 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점은 뼈만 남길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기간이 얼마나 되는지, 그리하여 초분을 해체하였을 때 완전한 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지와 관련된 것이다. 여기서 초분이 부패와 뼈로의 환원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패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은 연금술 문헌에서 보듯 동시에 일어난다. 부패의 최종 목적은 육신을 영적 상태로 만들고, 그리하여 죽은 자를 다른 삶으로 들어갈 수 있게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아주 불안정한 상태에서, 부패를 견뎌내고, 썩는 냄새가 모두 사라지는 것을 기다려야 한다. 썩히는 것은 그리하여 육화된 세계, 몸을 용해시켜 없애고, 그 핵심, 열매만을 남기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부패의 과정은 자기 스스로의 오염되고 끔찍한 측면을 받아들이는 태도이며, 무력하고 수동적인 자세를 취함으로써, 새로운 생명이 오게하는 것이다. 원형적인 세계, 무의식은 우리가 접근하려 할 때, 종종 위협적이고 공격적인, 더러운 무엇으로 경험된다. 개성화 과정에서, 우리가 우리 정신의 이 끔찍하고 오염된 부분들을 볼 수 있는 용기를 낼 때만이, 무의식은 우리에게 새로운 영적 각성과 새로운 삶의 감각이라는 축복을 주는데, 이것이 부패가 의미하는 것이다. 뼈와 골격은 생명의 부술 수 없는, 소멸되지 않는 본질적인 요소를 상징한다. 뼈는 재생을 위한 최소 단위이자, 재생의 바탕이 되며, 여기서 새로운 생명이 자라나게 된다. 뼈의 상태로 환원은 생명의 바로 그 원천으로 돌아감을, 자궁으로 다시 들어가 심리적으로 자신의 자아중심성을 버리고, 자기가 개성화의 전 과정을 이끌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앞으로의 발달을 위해, 골격 상태로의 환원의 어려운 과정을 겪는 것은, 자아의 죽음의 선언이며, 그 목적은 자신을 썩기 쉽고 덧없는 살과 피, 육신에서 해방시키고, 전체로서의 영적인 갱신, 생명의 불멸의 요소를 얻기 위함이다. 초분은 또한 식물의 순환에서 해마다 보이는 부패와 생명의 부활을 보여준다. 초분에서는 이러한 식물의 순환의 상징이 다른 일반적인 한국 전통 상장례에서보다 명확하고 강하게 드러나는데, 죽음에도 살아남는 생명의 부분을 식물의 상징을 통해 경험하게 한다. 초분과 관련된 식물은 죽음 후의 생명의 지속성, 심리적으로 말해, 자기의 존재를 말한다. 초분에서 드러나는 풍부한 식물의 이미지들은, 모든 것이 사라진 죽음의 상태 너머에 존재하는 생명의 존재와 관련되어 있으며, 심리학적으로 우리의 삶에 정신에 끝없는 에너지를 공급하는 영원히 존재하며 의식을 다시 태어나게 하고 새롭게 하는 자기의 존재를 이야기한다.

고려시대 목심칠기 木芯漆器의 제작기법 연구 (Production Techniques for Goryeo Wooden Lacquerware)

  • 이용희;박수진;윤은영;정혜진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5권
    • /
    • pp.78-95
    • /
    • 2014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려시대 칠기 6점을 대상으로 엑스선 X-ray 촬영과 현미경 조사, SEM-EDS 분석 등 과학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고려시대 칠기의 재질 및 제작기법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조사 결과 칠제합 덕수 4123을 제외한 나머지 고려시대의 칠기 유물은 목심 木心 표면에 직물 織物을 입혀 옻칠을 한 목심저피칠기 木芯紵皮漆器 양식으로 만들어졌음이 밝혀졌다. 화형합과 송엽형합의 목심은 뚜껑의 천판 天板 이나 몸체 바닥판의 외각에 두께가 얇은 띠 모양의 목재를 돌려 감아 기벽을 만들었다. 또한 꽃모양 칠제배 덕수 4124는 권태 捲胎 양식 樣式과 유사하게 띠 모양의 목재를 나선형으로 감아올려 기벽을 형성한 후 바닥을 판재로 막고 굽을 달아 칠기 잔의 형태를 만든 것으로 나타났다. 현미경을 이용한 광학적 조사에서는 목재나 직물심 위에 골분 骨粉을 혼합한 골회 骨灰 옻칠을 먼저 하고, 그 위에 다시 옻칠을 중첩하여 바르는 칠기법이 공통적으로 확인되었다. SEM-EDS 및 μ-XRF 미소부 형광X-ray 분석 결과 꽃모양 칠제배 덕수 4124 표면에는 진사 辰砂: HgS를 섞은 주칠 朱漆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뚜껑에 반점 무늬가 있는 송엽형 칠제합 덕수 4190은 석황 石黃: As2S3을 섞은 황색 칠을 도장하고 그 위에 연매 煙煤를 혼합한 흑색칠로 불규칙한 반점을 찍어 독특한 무늬를 표현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 칠제합의 측면에 발라진 주칠에는 진사와 연단 鉛丹: Pb3O4을 혼합한 옻칠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