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ne exposure

검색결과 382건 처리시간 0.026초

변연골 흡수가 내측연결 임플란트 매식체의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for influence of marginal bone resorption on stress distribution in internal conical joint type implant fixture)

  • 윤미정;윤민철;엄태관;허중보;정창모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99-105
    • /
    • 2012
  • 연구 목적: 지금까지 성공적인 임플란트 치료를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임플란트 주변 골 흡수 현상에 대한 연구는 매우 관심이 높은 분야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삼차원 유한요소응력분석을 이용하여 변연골 흡수가 내측연결 임플란트 매식체의 기계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악골에 식립된 내측연결 형태의 임플란트 매식체에 티타늄 소재의 임플란트 지대주를 지대주 나사로 연결하고 상부에 금합금관을 장착하는 삼차원 유한요소모형을 설계하였다. 0, 1, 2, 3 mm의 변연골 흡수 상태를 적용하고, 교합면 중심에서부터 3 mm 편측에 300 N의 수직 하중을 가하여 임플란트 매식체에 발생하는 최대 주 응력을 계산하였다. 결과: 유한요소분석결과 변연골 흡수에 따른 임플란트 매식체의 최대 주응력 분포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임플란트 매식체 상단에서 가장 높은 응력 집중이 나타났다. 최대 주응력은 처음 1 mm 변연골 흡수를 가정하였을 때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이후 변연골 흡수가 증가할수록 응력은 증가하였지만 응력 증가의 폭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로부터 내측연결 임플란트에서 매식체 두께가 얇은 경부의 노출은 변연골 흡수로 인한 응력 증가에 가장 큰 원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매식체의 변형, 균열 및 파절 등의 기계적 실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외과적, 보철적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orous Resorbable Calcium Carbonate와 Porous Replamireform Hydroxyapatite가 성견치주질환 이환 발치와내 이식된 치근과 발치와 치조골 재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rous Resorbable Calcium Carbonate and Porous Replamineform Hydroxyapatite on the regeneration of the alveolar bone in the Periodontally involved extraction sockets in dogs.)

  • 김종환;최성호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6권2호
    • /
    • pp.334-349
    • /
    • 1996
  • Regeneration of the periodontal tissue destroyed by periodontal disease is one of the final goals of periodontal therapy. In the past few years, periodontists have used various alloplastic grafting materials in an attempt to regenerate bone lost from periodontal disease. These materials have used widely because they have shown to be nontoxic, biologically compatible with surrounding host tissue and chemically similar to b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rous Resorbable Calcium Carbonate and Porous Replamineform Hydroxyapatite on the regeneration of the alveolar bone and the healing of roots transplanted into the periodontally diseased extraction sockets of dogs. The experimental chronic periodontitis was induced by elastic ligatures on the 2nd and 3rd mandibular premolars of 2 adult dogs for 8weeks after surgically creating periodontal defect. The extracted root were split in half along the long-axis, and the extend of plaque exposure was marked on the root surfaces with burs. The roots were inserted in extraction sockets with Porous Resorbable Calcium Carbonate(PRCC) in left side and with Porous Replaminefrom Hydroxyapatite(PRH) in right side. The flaps were sutured to cover the sockets completely.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fter 12 weeks of healing, and the specimens were examined histolog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No inflammatory reactions were observed in either groups. 2. Hoot resorption was observed in both groups while the general outline of the roots were maintained. 3. PRCC was almost completely resorbed and replaced with new bone, while R.H.A. was not resorbed & remained encased in newly-formed C-T and alveolar bone. 4. PRH was encapsulated with alveolar bone which has been deposited from apical & lateral area of the sockets, while the coronal portion of the sockets were filled with C-T. 5. In both groups, the resorbed portions of the roots were replaced with new bo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ither PRCC or PRH may not interfere with bone formation or healing in extraction sockets, and in some degree, retard the root resorption. Because the roots maintained in anatomy, we think that graft materials prevent the root resorption.

  • PDF

성견 수평골 소실시 치조골 재생에 영향을 주는 인자;I : 냉동 탈회 건조골 동종이식의 효과 (FACTORS INFLUENCING TO REGENERATION OF THE ALVEOLAR BONE IN THE SUPRAALVEOLAR DEFECTS IN DOGS;I : EFFECT OF THE DECALCIFIED FREEZE-DRIED BONE ALLOGRAFT)

  • 김종관;채중규;조규성;최성호;정현철;문익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3권3호
    • /
    • pp.374-390
    • /
    • 1993
  • Regeneration of periodontal tissue after a loss of attachment due to disease or trauma repesents an important issue in dentistry, and various bone graft materials have been used to regenerated lost periodontal tissue and restore proper fuctions. Among those, allografts have been extensively researched and widely used clinically, since they are known to possess an excellent osteoinduction capability and result in proper topography of alveolar bone. Regeneration of periodontal tissue in supraalveolar defects may be technically difficult. However, a large amount of regeneration has been observed by complete tissue coverage of involved teeth. In this study, supraalveolar defects in adult dogs were treated with periodontal surgery, decalcified freez-dried bone allograft, complete tissue coverage was attained, and effects on repair and regeneration of alveolar bone, cementum and periodontal ligament were studied. Exposure of premolar furcation of adult dogs was attained by removing marginal alveolar bone down to 5mm from CEJ, and root surfaces were planed with curettes. On the left side, defects were treated without any allograft(Control Group). On the right side, a DFDB was used(Experimental Group). In all groups, flaps were coronally positioned and sutured, completely submerging the treated defects. At two weeks, the crown were exposed 2-3mm. Healing progresses were histologically observed after eight week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Distance from CEJ to AJE was : $2.82{\pm}0.66mm$ in the control group, $1.71{\pm}0.51mm$ in experimental group,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P<0.01) 2. Periodontal repair was : $2.18{\pm}0.66mm$ in the control group, $3.29{\pm}0.51mm$ in experimental group,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P<0.01) 3. Connective tissue repair was : $1.43{\pm}0.52mm$ in the control group, $0.76{\pm}0.47mm$ in experimental group,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P<0.01) Orientation of connective tissue fibers in relation to root surfaces was : mostly parallel in the control group, vertical or parallel or irregular in experimental group. 4. The amount of cementum formation was : $1.66{\pm}0.58mm$ in the control group, $2.86{\pm}0.66mm$ in experimental group,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5. The amount of alveolar bone formation was : $0.76{\pm}0.72mm$ in the control group, $2.53{\pm}0.56mm$ in experimental group,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P<0.01)

  • PDF

핵의학 검사 시행하는 환자에 의한 병원 종사자 피폭선량 평가 (Evaluation of Radiation Exposure to Medical Staff except Nuclear Medicine Department)

  • 임정진;김하균;김종필;조성욱;김진의
    • 핵의학기술
    • /
    • 제20권2호
    • /
    • pp.32-35
    • /
    • 2016
  • 최근 핵의학 영상검사의 증가로 인하여 핵의학 검사를 시행하는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피폭도 증가하게 되었다. 더불어 핵의학 영상검사와 같은 날에 여러 가지 검사를 시행하는 환자도 증가하여 병원 종사자도 불가항력적인 방사선 피폭에 노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핵의학 검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검사를 받는 환자 또는 검사를 시행하는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피폭에 대한 연구와 논문은 많이 발표되고 있으나 핵의학 검사를 시행하는 환자로 인하여 핵의학 검사에 관여하지 않는 병원 종사자가 받는 방사선 피폭에 대한 논문과 연구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핵의학 검사로 인한 핵의학과 이외의 병원 작업 종사자가 받게 될 피폭선량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2015년 7월부터 10월까지 서울대병원 핵의학과에 방사성의약품을 투여한 환자 250명(Bone scan 100명, Myocardial SPECT 100명, PET/CT 50명)을 대상으로 방사성의약품을 투여 직후와 핵의학 검사가 완전히 종료된 후의 방사선량률을 50cm 거리에서 측정하였다. 측정장비는 검교정이 완료된 Victoreen (FLUKE Inc., USA)과 Inspector(S.E. International, USA)를 사용하였다. 핵의학과 검사를 시행하는 환자로부터 발생하는 방사선량률을 측정한 결과, Bone scan은 방사성의약품 투여 직후에 $0.0278{\pm}0.0036mSv/h$, 검사 종료 후(투여 후 평균 3시간 52분 경과)에 $0.0060{\pm}0.0023mSv/h$, Myocardial SPECT는 투여 직후에 $0.0245{\pm}0.0027mSv/h$, 검사 종료 후(투여 후 평균 2시간 09분 경과)에 $0.0123{\pm}0.0041mSv/h$, PET/CT는 투여 직후는 이동이 없기 때문에 측정하지 않았고 검사 종료 후(투여 후 평균 68분 경과)에 $0.0439{\pm}0.0087mSv/h$로 측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병원종사자가 핵의학 검사를 시행하는 환자와의 체류 시간이 5분간일 때 투여된 방사성의약품으로 인해 받는 방사선 피폭량은 Bone scan은 방사성의약품 투여 직후가 0.0023 mSv이고 검사가 종료된 후는 0.00049 mSv, Myocardial SPECT는 투여 직후가 0.002 mSv이고 검사가 종료된 후는 0.001 mSv, PET/CT는 검사가 종료된 후에 0.001 mSv정도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 핵의학검사를 시행하는 환자에 의한 병원 종사자의 방사선피폭은 원자력법에서 정한 선량한도와 비교하여 아주 미미하다고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방사선방호의 대원칙인 ALALA (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에 의거하여 불필요한 방사성피폭은 가능한 줄이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병원의 의료정보시스템을 개선하여 핵의학 검사 시행 여부 및 검사 진행사항을 확인 할 수 있게 하여 병원 종사사가 그 사실을 사전에 인지 가능하게 된다면 방사선 보호 장구를 착용하여 불필요한 방사선 피폭의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두부 CT 검사에서 선량감소를 위한 알고리즘 변환방법의 유용성 평가 (Usefulness Evaluation of Algorithm Conversion Method for Dose Reduction in Brain CT Examination)

  • 김현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81-487
    • /
    • 2019
  • 두부 CT 검사 시 일반적으로 검사 시 적용하는 스캔조건 및 알고리즘을 기준으로 선정 후 알고리즘 변경 적용을 통한 선량감소효과를 실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선량감소효과는 관전압 보다 관전류 변화 시 의미가 있었으며, 인체 팬텀을 이용한 화질 평가는 Smooth 알고리즘적용 후 선량을 감소 시 Bone 알고리즘적용 후 선량을 감소 시 보다 상대적으로 화질 감소가 적었으며, 특히 Bone 알고리즘적용 시에는 평균 CT Number 또는 Pixel value의 편차가 상대적으로 크게 측정되었다. 즉 선량은 감소되고 화질은 유지하여 환자의 피폭 선량을 감소시키고 동일한 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조건은 Smooth 알고리즘 적용과 120 kVp, 160 mA라는 결과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이 때 선량은 약 28% 감소되며 평균 CT Number 또는 Pixel value도 오차가 상대적으로 적게 측정 되었다. 향 후 스캔조건 및 다양한 알고리즘 적용 후 그 결과를 검진 또는 추적검사 등으로 내원한 환자에게 적용하여 검사 한다면 환자 피폭선량 감소에 있어 매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상악동저 거상술 후 Osstem Implant (US II / SS II)의 다기관 후향적 임상연구 (A RETROSPECTIVE MULTICENTER CLINICAL STUDY OF INSTALLED US II / SS II IMPLANTS AFTER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 국민석;박홍주;김수관;김영균;조용석;최갑림;오영학;오희균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4권3호
    • /
    • pp.341-349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sstem^{(R)}$ implants (US II/SS II implants) through the retrospective study for the clinical success rate during the installation of the $Osstem^{(R)}$ implants (US II/SS II implants) by using of the procedures of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current study was researched in the 6 medical institution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sun University, Pusan DaeDong Hospital, Bundan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p-Seon Clinic, and All Clinic.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116 patients whose treatment was the installation of the US II/SS II implants with the procedures of the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they were conferred on the dental records of the patients under the joint consultation of the 6 medical institutions. On the dental recording charts, there were included in as the following; the name of the institutions, gender, age, with or without smoking or drinking, with or without the generalized diseases, the height of the alveolar bone on the operational sites, elapsed edentulous state period, the state of the opposed or adjacent teeth, the methods of the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secondary time period for surgery, the lengths, types, and diameters of implants, with or without bone transplantation or the types of bone, postoperative current bone height, current adjacent soft tissue state of the implants, with or without the success of the installations of the implants. We have done our survey with the clinical and radiolographical examinations and dental questionaries. The success and survival rate of the implants was evaluated. Results 1. Total number of the patients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US II implants were 62. The 252 numbers of US II implants were installed on the 89 maxillary sinuses. The patient's mean age was 54.1 years old and there were 36 men and 27 women. 2. Total number of patients with the installation of SS II implant were 57. The 165 numbers of SS II implants were planted on the 80 maxillary sinuses. Their mean age was 48.7 years old and there were 37 men and 20 women. 3. The follow-up period was 30.7 months(21-49 mon) on average. The vertical bone loss of installed implants after the procedures of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was 1.1 mm on average in SS II and 1.3 mm on average in US II. There exist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n each group. The mean enlarged bone height after the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was 8.2 mm. 4. For the procedures of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the Lateral approach technique occupied 87.1%, which was the most used one. In addition, the most frequently used transplanted bone was autogenous bone only which was 72.7% during the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5. The complication of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were perforation of sinus membrane, disesthesia on doner site, exposure of cover screw and exposure of maxillar bone. 6. The survival rate of US II and SS II after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was 99.2% and 95.8%, respectively. And the success rate of US II and SS II after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was 97.6% and 89.7%, respectively. Conclusion : On the evaluation of the analysis of our study, both US II and SS II implants showed the excellent clinical results by use of the procedures of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CT 검사에서 Lateral Sliding Table의 유용성 평가 (Usability Evaluation of Lateral Sliding Table in CT Examination)

  • 최정훈;공창기;송종남;한재복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677-684
    • /
    • 2020
  • CT 검사 시 좌,우 X축 방향의 Miscentering은 선량과 화질에 영향을 준다. CT Gantry Isocenter와 검사 목적부위의 Center가 일치되도록 Lateral Sliding Table을 이용하여 일치시켰을 때 화질은 더욱 좋아지고 피폭선량은 줄어든다. 중심 이탈에 따른 선량 비교 CTDI (mGy) 측정을 위하여 CTDI Head Phantom (Kimda, Korea)과 선량측정계(Ray Safe, Sweden)를 사용하였고, 중심 이탈에 따른 균일도의 차이를 보기 위한 노이즈의 측정은 Water Phantom (HITACHI, Japan) 을 사용하였다. 중심 이탈에 따른 선량 비교 CTDI(mGy)를 위해 선량을 측정한 결과 Isocenter 에서 X 축으로 20 mm 씩 이동하여 80 mm로 이동될때까지 지속적으로 선량이 적어졌고 정확한 선량이 입사되지 않았다. 중심 이탈에 따른 균일도의 차이를 보기 위해 SD값을 측정하였고 20 mm 씩 이동하여 80 mm로 이동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노이즈가 커졌다. 콜리메이션의 범위는 중심이 탈된 범위만큼 콜리메이션 범위가 늘어났고 피폭의 범위가 커졌다. Lateral Sliding Table을 이용하면 Isocenter를 쉽게 맞출 수 있고, Isocenter에서 벗어난 위치의 심장검사, Extremity bone과 Shoulder같은 부위에서 Isocenter를 맞춰 영상의 화질을 높일 수 있고, Isocenter를 맞춰 콜리메이션을 대폭 축소하여 검사할 수 있으니 불필요한 피폭선량 감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방사성의약품 투여 시 피폭선량 저감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Radiation Reducing Method during Injection Radiopharmaceuticals)

  • 조석원;정석;박준영;오신현;남궁혁;오기백;김재삼;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6권1호
    • /
    • pp.80-85
    • /
    • 2012
  • 전신 골 스캔은 골친화성 방사성의약품으로 뼈의 생리적 변화를 영상화하는 검사방법으로, 140 keV의 감마선을 방출하는 방사성핵종이 표지된 방사성의약품을 주사 후 촬영하는 영상기법이다. 외부피폭으로부터 방사선방호의 3원칙은 시간, 거리, 차폐이다. 방사성의약품은 투여 시 개봉선원이 되기 때문에 방사선방호 원칙에 따라 피폭을 줄이기 위하여 빠른 시간 내에 주사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방사성의약품은 환자에게 직접 투여하기 때문에 선원으로부터 거리를 멀리할 수 없는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는 방사성의약품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피폭선량 변화를 확인하고, 차폐체를 사용 후 피폭량의 변화를 관찰하여 방사선 종사자의 피폭 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사성의약품 투여 시 소요되는 주사시간의 평균을 구하기 위하여 훈련된 주사 담당자가 환자에게 주사하는 시간을 총 50회 측정하였고, 그 평균값(약 2분)을 구하였다. 1 mL주사기에 옥시드로산테크네슘 925 MBq를 0.2 mL 로 맞춘 다음 50 cm, 100 cm, 150 cm, 200 cm에서 방사선 측정기(FH-40, Thermo Scientific, USA)로 선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방사선차폐체(납 6 mm)를 선원으로부터 25 cm에 설치 한 후 50 cm 거리에서 선량을 측정하였다. 모든 선량측정은 각각 20회에 걸쳐 재현성을 검증하였다. 차폐 전과 차폐 후의 선량의 상관관계는 SPSS (ver. 18)을 사용하여 paired t-test로 검증하였다. 차폐체를 설치하지 않은 선원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2분간 받는 피폭량은 50 cm에서 $1.986{\pm}0.052{\mu}Sv$, 100 cm에서 $0.515{\pm}0.022{\mu}Sv$, 150 cm에서 $0.251{\pm}0.012{\mu}Sv$, 200 cm에서 $0.148{\pm}0.006{\mu}Sv$로 나타났다. 차폐를 설치 후 측정 시 피폭량은 $0.035{\pm}0.003{\mu}Sv$로 차폐체 사용 전과 후의 피폭선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전신 골스캔은 핵의학 검사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방사성의약품 투여 시 피폭을 줄이기 위해서 외부피폭의 방어원칙을 적절히 병행하여 피폭 저감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방사성의약품은 환자에게 직접 투여하기 때문에 선원으로부터 거리를 멀리할 수 없고, 환자의 혈관 확보가 어려운 경우 주사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피폭선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선원으로부터25 cm 거리에 차폐체 설치 시 피폭선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방사성의약품 투여 시 차폐체를 사용함으로써 방사선 피폭 저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C3T3-E1 조골세포주의 osteonectin과 bone sialoprotein mRNA (Effects of irradiation on the mRNA expression of osteonectin and bone sialoprotein in MC3T3-E1 osteoblastic cell line)

  • 하쌍용;강기현;이상래;권기정;고광준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4권2호
    • /
    • pp.99-106
    • /
    • 2004
  •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rradiation on the phenotypic expression of the MC3T3-El osteoblastic cell line, especially on the osteonectin and bone sialoprotein. Materials and Methods: Cells were irradiated with a single dose of 0.5, 1, 4 and 8 Gy at a dose rate of 5.38 Gy/min using Cs-I37 irradiator. After specimens were harvested, total RNA was extracted on the 3rd, 7th, 14th, 21st day after irradiation. The total RNA was reverse-transcribed and the resulting cDNAs were subjected to amplification by PCR with a pair of primers. Results: The irradiated cells showed a dose-dependent increase in osteonectin mRNA expression when compared with the unirradiated control group. The irradiated cells showed no difference in bone sialoprotein mRNA expression when compared with the unirradiated control group. In accordance with the duration of culture period after irradiation, the level of osteonectin mRNA expression showed no difference, but it increased a little at the 21st day in the 4 and 8 Gy exposure groups. In the case of bone sialoprotein, however, the level of mRNA expression increased significantly at the 3rd and 7th day after irradiation, but it showed no difference at the 14th and 21st day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each single dose of 0.5, 1, 4 and 8 Gy influenced the mRNA expression of osteonectin and bone sialoprotein at the calcification stage of osteoblastic cells, suggesting that single dose of irradiation affected the osteoblastic bone formation at the cell lev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