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cking effect

검색결과 904건 처리시간 0.028초

다양한 친수성 코팅소재를 이용한 수처리 분리막의 특성 평가 (Characterization of Water Treatment Membrane Using Various Hydrophilic Coating Materials)

  • 박윤환;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27권1호
    • /
    • pp.60-67
    • /
    • 2017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급속한 도시화, 인구증가 및 기후변화에 따른 물의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인해 물 산업의 경제, 사회, 환경적 중요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물 산업은 크게 해당 분야에 따라 사용되는 분리막의 종류가 상이하다. 주로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고분자 소재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고분자들의 소수성인 성질 때문에 친수성을 부여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화되어 있는 중공사 지지체에 총 4종류의 친수성 고분자들을 도입하여 친수성을 부여하였고,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코팅된 중공사 지지체의 모폴로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각 고분자들로 코팅한 중공사 지지체의 친수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접촉각을 측정하였고, 마지막으로 코팅 시간에 따른 수투과도 변화 그리고 친수성 고분자에 따라 수투과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Pluronic 1 wt%로 코팅하였을 때 친수화 정도가 우수하며 중공사의 기공을 막지 않고 우수한 수투과도 정도를 나타내 수처리 분리막으로 가장 적절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Inhibitory Effects of Olmesartan on Catecholamine Secretion from the Perfused Rat Adrenal Medulla

  • Lim, Hyo-Jeong;Kim, Sang-Yong;Lim, Dong-Yo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4권4호
    • /
    • pp.241-248
    • /
    • 2010
  • The present sut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olmesartan, an angiotensin II (Ang II) type 1 ($AT_1$) receptor blocker, can influence the CA release from the isolated perfused model of the rat adrenal medulla. Olmesartan ($5{\sim}50{\mu}M$) perfused into an adrenal vein for 90 min produced dose- and time-dependent inhibition of the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ACh (5.32 mM), high $K^+$ (56 mM, a direct membrane-depolarizer), DMPP (100 ${\mu}M$) and McN-A-343 (100 ${\mu}M$). Olmesartan did not affect basal CA secretion. Also, in adrenal glands loaded with olmesartan (15 ${\mu}M$), the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Bay-K-8644 (10 ${\mu}M$, an activator of voltage-dependent L-type $Ca^{2+}$ channels), cyclopiazonic acid (10 ${\mu}M$, an inhibitor of cytoplasmic $Ca^{2+}$-ATPase), veratridine (100 ${\mu}M$, an activator of voltage-dependent $Na^+$ channels), and Ang II (100 nM) were markedly inhibited. However, at high concentrations ($150{\sim}300{\mu}M$), olmesartan rather enhanced the ACh-evoked CA secret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how that olmesartan at low concentrations inhibits the CA secretion evoked by cholinergic stimulation (both nicotininc and muscarinic receptors) as well as by direct membrane depolarization from the rat adrenal medulla, but at high concentrations it rather potentiates the ACh-evoked CA secretion. It seems that olmesartan has a dual action, acting as both agonist and antagonist at nicotinic receptors of the isolated perfused rat adrenal medulla, which might be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It is also thought that this inhibitory effect of olmesartan may be mediated by blocking the influx of both $Na^+$ and $Ca^{2+}$ into the rat adrenomedullary chromaffin cells as well as by inhibiting the $Ca^{2+}$ release from the cytoplasmic calcium store, which is thought to be relevant to the $AT_1$ receptor blockade, in addition to its enhancement on the CA secreton.

N-Linked Glycosylation 저해에 의한 닭의장풀 추출물의 미백효능 (Whitening Effect of Dayflower (Commelina communis L.) Extract by Inhibition of N-Linked Glycosylation Process and Melanogenesis)

  • 박선희;이방용;이승현;한창성;김진국;김경태;김기호;김영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3-78
    • /
    • 2009
  • 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L. Dayflower) 추출물의 미백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B16 melanoma 세포를 이용하여 melanin 생성에 관련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닭의장풀 추출물은 버섯 tyrosinase 활성 실험에서 저해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melanin 생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활성시험 결과에서, 닭의장풀 추출물은 1,000 ${\mu}g/mL$의 농도에서 약 32%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세포내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능도 우수하여 닭의장풀 추출물 250 ${\mu}/mL$ 이상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저해 효과를 보였다. 추출물의 생성 기작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melanin 합성의 key protein 인 tyrosinase 발현의 우수한 저해 능력을 보였고,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의 발현 억제와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의 N-glycosylatin 억제를 통해 melanin 합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닭의장풀 추출물은 melanin 합성에 필수적인 효소(tyrosinase, TRP-1)의 발현 저해 및 TRP-2의 N-glycosylation 억제를 통해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본 추출물은 melanin 합성의 효소 경로를 저해하는 미백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공기베어링의 노즐 형상 변화에 따른 출구면 근방의 유동구조에 대한 수치해석 (Numerical Investigation of Flow Structures near Various Nozzle Exit Geometries of the Air Bearing)

  • 박병호;한용운;박상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8권3호
    • /
    • pp.235-242
    • /
    • 2014
  • 공기 베어링의 성능개선을 위하여, 일반적인 급기공 형상(drill shape), 곡면 급기공 형상(matched cube shape) 및 $45^{\circ}C$ 모따기 노즐 출구부(trimmed shape)를 가지는 3가지 형태의 노즐형상에서 급기압을 변화 시켰을 때, 샤프트면 출구압력 특성을 전산유체역학 상용코드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샤프트면 에서 압력 분포는 노즐 중심부에서 정체점 유동의 영향으로 최대압이 발생하며, 노즐 출구부와 샤프트면 사이의 압력분포는 미세 간극의 영향으로 와류가 형성되어 반경방향으로 국부적인 압력상승 현상이 발생한 후 음압영역이 발생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일반적인 형태의 노즐에서 급기압력비 6.92이상인 경우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급기공 노즐 형상을 matched cubic 곡면으로 변화시켜 샤프트면에서 얻어진 압력 분포는 기존의 노즐과 비교한 결과 순간적인 상승압 구간이 모든 경우에 대하여 존재하였으며 급기압력비 10근처까지 음압구간이 나타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노즐 출구부를 모따기로 변형시켰을 때, 샤프트면에서 최대압력의 영향권이 반경방향으로 확대되었고 음압영역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결과적으로, 급기공 내부의 형상변화보다는 노즐 출구면 외부의 변형이 성능개선에 유리한 것으로 관찰된다.

인체각질형성세포에서 Fructose 1,6-diphosphate의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Cyclooxygenase-2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발현억제기전 (Fructose 1.6-diphosphate Prevents Cyclooxygenase-2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 Expression by Inhibition of UVB-induced Signaling Cascades in HaCaT Keratinocytes)

  • Soo Mi, Ahn;Ji Hyun, Kim;Byeong Gon, Lee;Soo Hwan, Lee;Ih Seoup, Chang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47-251
    • /
    • 2004
  • 자외선은 피부에 염증반응이나 광노화와 같은 다양한 반응을 야기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자외선에 의해 손상을 받은 피부는 콜라겐의 양이 감소되어 있는데, 이는 자외선에 의해 피부 내에서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MMP,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왔다. 또한 자외선에 의해 피부에서 염증반응이 유발되는데, 이러한 반응은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물질에 의해 매개되며, 이 프로스타글란딘에 의해서도 MMP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6개월의 임상실험을 통해 광노화된 피부에서 주름형성억제효능이 뛰어난 FDP(fructose 1.6-diphosphate)의 작용기전을 인체각질형성 세포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인체각질형성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할 경우 프로스타글란딘, COX-2(cyclooxygenase-2), MMPs의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며, 이는 FDP의 처리에 의해 감소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자외선에 의해 인체각질형성세포에서 발생하는 신호전달과정을 억제함으로써 일어나는 효과임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FDP는 자외선에 의해 일어나는 세포 내 신호전달과정을 억제하며, 이로 인해 야기되는 프로스타글란딘, COX-2, MMPs의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광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원료로 여겨진다.

Uniconazole과 Silver Thiosulfate 처리(處理)가 강남콩의 오존피해(被害) 경감(輕減)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 of Uniconazole and Silver Thiosulfate Treatment on Reduction of Ozone Injury in Snap Bean Plants)

  • 구자형;원동찬;조정희;신대식
    • 농업과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161-169
    • /
    • 1992
  • 오존에 대(對)한 강낭콩 (Phaseolus vulgaris L. 'Strike')의 내성(耐性)을 증대(增大)시키고자 생장(生長) 왜화제(矮化劑)인 uniconazole과 antiethylene제(劑)인 STS를 강남콩에 단독(單獨) 또는 복합처리(複合處理)하고 오존을 처리(處理)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Uniconazole은 0.005 mg/pot에서 부터 유의성(有意性) 있게 식물체(植物體)를 왜화(矮化)시켰으며, 엽록소(葉綠素)의 함량(含量)을 높혔고, 0.025 mg/pot에서는 기공저항성(氣孔低抗性)을 높혔다. 식물체(植物體)의 왜화정도(矮化程度)가 클수록 오존에 의한 피해경감(被害輕減) 효과(效果)가 큰것으로 나타났다. 2) STS는 식물체(植物體)에 ethylene 발생(發生)을 조장(助長)하였으나 uniconazole과 같은 생리적(生理的) 변화(變化)를 초래(招徠)하지 않고 0.6 mM의 살포(撒布)에서 오존의 피해(被害)를 현저(顯著)히 경감(輕減)시켰다. 3) Uniconazole과 STS를 복합처리(複合處理)함으로써 단독처리(單獨處理)에 비(比)하여 식물체(植物體)의 왜화(矮化)를 최소화(最小化)시키고 오존에 대(對)한 내성(耐性)을 더 증대(增大)시킬 수 있었다. 4) Uniconazole의 오존 내성(耐性) 증대효과(增大效果)는 생장왜화(生長矮化)와 함께 free radical scavenger인 SOD와 POD의 활성(活性)을 높혀준데 기인(起因)하였다. 5) STS 역시 antiethylene 역할(役割) 이외에 SOD와 POD의 활성(活性)을 다소 높혀줌으로써 오존에 대한 내성(耐性)을 증대(增大)시켜준 것으로 인정(認定)된다.

  • PDF

천연물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제의 자외선차단지수(SPF) 평가 (Sun Protection Factor (SPF) Assessment of the Sunscreen Composed of Natural Substances)

  • 오인영;김소영;석장미;정상욱;박진오;유광호;이갑석;김범준;김명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1-148
    • /
    • 2013
  • 자외선 노출 증가로 인한 자외선의 유해성을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차단제의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맞게 화장품 업계에서는 서로 다른 성분을 혼합하거나 천연물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황금에서 추출한 천연성분인 황금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품의 자외선 차단효과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총 10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각 제품의 최소홍반량을 측정하였고 자외선차단지수를 구하였다. 그 결과 황금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품과 함유하지 않는 자외선차단제품의 자외선차단지수는 각각 $34.52{\pm}2.13$, $32.67{\pm}1.44$였다. 두 제품 간의 자외선차단지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인체를 대상으로 천연물 자외선차단제의 임상적 효과를 평가하였고 제품도포로 인한 이상반응이 없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도였다고 생각된다.

Plasminogen kringle 5 재조합 단백질에 의한 ERK1/2 활성화 및 세포골격 재배열 억제 (Inhibition of ERK1/2 Activation and Cytoskeleton Rearrangement by the Recombinant Protein of Plasminogen Kringle 5)

  • 하정민;김현경;김명래;조영애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199-1206
    • /
    • 2006
  • Plasminogen kringle 5는 plasminogen kringles 1-4로 구성된 내생의 혈관 신생 억제제인 angiostatin과 같이 내피세포의 분열을 강력하게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plasminogen kringle 5의 재조합 단백질을 효모 발현 체계에서 생산하여 내피세포의 이동에 대한 저해 효과와 이에 대한 작용기전을 조사하였다 재조합 단백질 PK5는 plasminogen의 Thr456에서 Phe546까지 이르는 cDNA 부분을 ${\alpha}-factor$ prepro-peptide의 분비 신호 서열 뒤에 도입하여 Pichia pastoris GS115에서 발현시켰다. 메탄올 유도 후 얻은 배양액을 S-spin column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단백질을 SDS-PACE하였을 때 약 10kDa의 단일 밴드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제된 PK5는 bFGF나 VEGF에 의해 유도된 인간의 제대 유래 내피 세포의 이동을 약 500nM의 $IC_{50}$ 값으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내피 세포에 PK5 500M을 처리한 결과 bFGF에 의해 유도된 ERK1/2의 인산화를 감소시켰다 또한, PK5는 bFGF에 의해 유도된 내피세포의 골격 재형성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효모 생산 PK5가 내피세포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이는 ERK1/2의 활성과 세포골격의 재배열을 억제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부분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Helixor A는 시험관 내에서 thrombospondin-1의 상승조절을 통해 신혈관생성을 억제한다. (Helixor A Inhibits Angiogenesis in vitro Via Upregutation of Thrombospondin-1)

  • 염동훈;홍경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95-903
    • /
    • 2005
  • Thrombospondin-1은 암성장과 신혈관생성 억제조절인자로 병리학적 조건과 세포외에서의 자극에 의해 세포 특이적으로 조절되어지고 이 TSP-1 유전자 발현조절은 암치료제 개발을 위한 새로운 접근으로 중요하다. Mistletoe는 기생식물로 면역조절과 항암제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Helixor A는 mistletoe 추출물의 수용액부분이다. 여기서 우리는 Helixor A를 투여하면 간암세포주 (Hep3B)와 혈관내피세포주 (BAE)에서 TSP-1의 mRWA와 단백질 발현이 유도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TSP-1 promoter 활성분석으로 TSP-1유전자의 발현이 Helixor A에 의해 전사단계에서 조절되어 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포 침윤 분석에서 Helixor A를 처리한 배지를 두 세포주에 처리함으로 침윤된 세포의 수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관찰하였고, Matrigel에서 혈관 내피 세포 (BAE)의 모세관 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세포 침윤과 모세관 형성에서 Helixor A를 처리했던 배지의 억제 효과가 TSP-1 중화 항체에 의해 그 효과가 상실되었다. 그러므로, 이 결과는 TSP-1이 Helixor A에 의해 유도되어진 혈관신생 억제 효과에 연관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 하였을 때 Helixor A가 TSP-1의 상승조절을 통해 혈관신생 억제 효과를 가질 것이라고 생각된다.

쌀겨오일의 안티폴루션 화장품 소재로써의 응용 (Application of Oryza sativa (Rice) Bran Oil as an Anti-pollution Cosmetic Material)

  • 강해란;정소영;허효진;차병선;;이소민;여혜림;유경완;곽준수;곽병문;이미기;빈범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37-245
    • /
    • 2021
  •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는 일반적으로 사람 머리카락의 두께에 비하여 각각 1/6 ~ 1/7, 1/20 ~ 1/30 정도로 매우 작은 부유성 먼지를 뜻하며, 다양한 종류의 중금속 이온이 내포되어 있다. 호흡뿐 아니라 피부의 모공 틈새를 통해서 유입된 미세먼지는 체내 조직과 피부 건강에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입을 막거나 깨끗이 씻어내어 제거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Oryza sativa (Rice) bran oil (OSBO, 쌀겨오일)을 이용하면 중금속 이온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독성 실험을 통해 세포 생존율이 곡물 유래 성분과 비교했을 때에도 월등히 높아 외부 자극원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OL1A1 mRNA의 발현량이 높아짐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미세먼지 속 중금속 이온에 의해 손실된 수분으로 유발될 수 있는 주름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중금속 제거를 위한 워시-오프 제형의 OSBO 함유 화장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