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nching method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5초

데치는 시간에 따른 시금치나물의 교차 문화적 소비자 기호도 (Cross-cultural Consumer Acceptance of Cooked Spinach ($Sigeumchi-namul$) according to Blanching Time)

  • 양정은;정서진;김행란;김광옥;정라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0-198
    • /
    • 2012
  • This research evaluated and analyzed the level of acceptability of spinach according to blanching time by testing consumer taste of corresponding countries for the purpose of globalizing Korean food. General taste, appearance, flavor, and texture of spinach blanched for 20 seconds were highly evaluated by Koreans and Japanese ($p$<0.05), who are used to the method of slightly blanching, mixing, and eating spinach. On the other hand, general taste, appearance, flavor, and texture of spinach blanched for 5 minutes was highly evaluated by the French ($p$<0.05), who are used to eating boiled spinach. Concerning the result of JAR,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in hardness and boiling level according to country among spinach samples, even though they were blanched for the same time and mixed with the same spices. Koreans and Japanese evaluated that hardness and boiling level of spinach blanched for 20 seconds were proper, whereas the French evaluated that spinach scalded for 20 seconds was too raw and crispy. Under the same context, French consumers evaluated that hardness and boiling level of spinach blanched for 5 minutes was proper, whereas Koreans and Japanese evaluated that spinach blanched for 5 minutes was boiled too much. These results show that familiarity level is an important driver of affecting the preference levels for three kinds of spinach according to country.

데치기(Blanching)로 조리된 22가지 채소류의 베타카로틴 함량의 변화와 영양소 보존율(True Retention) (True Retention and β-Carotene Contents in 22 Blanched Vegetables)

  • 황금희;신정아;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7호
    • /
    • pp.990-995
    • /
    • 2016
  • 본 연구는 채소류 22종을 대상으로 데치기 후의 베타카로틴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조리 중 발생하는 시료의 중량 변화와 베타카로틴 함량 변화를 고려하여 영양소 보존율(true retention, TR)을 나타내었다. 실험대상 채소류 중에서 시금치를 예로 들면, 데친 후 품종이나 재배방식에 따라 베타카로틴 함량이 8.78에서 24.65%까지 증가하였다. 따라서 데친 후 베타카로틴 함량의 증가 때문에 데치기 전보다 높은 인체 이용률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데치기 과정 중 변화된 시금치 중량을 함께 고려하여 영양소 보존율로 나타내었을 때 시설 재배된 일반 품종의 시금치는 100.52%를 나타냈지만 다른 시금치(포항초, 섬초, 노지 재배된 일반 품종)는 80.13~86.69%를 나타내었다. 다른 채소들의 경우 %TR이 100% 이상인 경우는 아욱(109.24%), 고사리(160.59%), 양배추(164.46%), 냉이(153.80%), 미나리(100.02%) 그리고 도라지(123.02%)에서 나타났는데 이는 데치기 후에 베타카로틴 함량이 증가하였거나 중량이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이들 중 고사리와 양배추의 경우 중량의 감소보다는 베타카로틴 함량의 증가가 주된 요인이었고, 냉이의 경우 중량이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하였지만 베타카로틴의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기 때문이었다. 나머지 다른 시료들의 TR은 59.35%(곰취)에서 96.42%(유채 어린 잎)의 범위로 나타났다.

전처리 조건과 당침지액이 건조 단호박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gar Infusions and Pretreatment Condition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Sweet Pumpkin)

  • 신동선;유선미;황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857-863
    • /
    • 2012
  • 단호박의 전처리 조건에 따라 건조 후의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처리 조건으로 블랜칭, 증숙 및 전자레인지의 방법으로 각각 전처리를 달리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시료의 크기는 $2.5{\times}2.5{\times}1$ cm로 하였으며 블랜칭의 처리 온도는 50, 70, 90 및 $100^{\circ}C$으로 하여 각각 2분 동안 처리하였고 증숙 처리시간은 0, 1, 2, 4 및 6분, 전자레인지는 0, 5, 10, 20 및 60초 동안 각각 가열하여 10분 동안 식힌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블랜칭 처리의 경우 수분함량은 대조구가 66.72%이었으나 온도가 높아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100^{\circ}C$에서는 59.06%로 감소하였다. 당도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중량 감소율은 처리온도가 높을수록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의 경우 온도가 높을수록 L값은 낮아지는 반면 a값은 증가하였고 b값은 증감하는 경향을 보였다. 증숙 시간에 따른 품질특성에서 증숙 시간이 길어질수록 수분함량은 감소하였으나 당도는 증가하였다. 중량 감소율은 계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그 변화의 폭은 미미하였다. 색의 변화에서도 증숙 시간이 길어질수록 L값은 낮아졌으며 a값 및 b값은 다소 증가하였다. 전자레인지 처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수분함량은 감소하였고 당도와 중량 감소율은 다소 증가하였으며 색은 블랜칭과 중숙의 경우와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경도의 결과는 블랜칭 처리가 가장 낮았으며 그 다음이 증숙, 전자레인지 순으로 나타났다. 당 침투 시간은 20시간으로 결정되었으며 당 종류별 관능평가에서는 설탕과 설탕:과당(1:1) 조성물이 높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건조 단호박은 전처리로 증숙을 2분 처리하는 것이 좋으며 당침지액은 설탕:과당(1:1)이나 설탕:과당:플락토 올리고당(5:3:2)이 적당할 것으로 보인다.

냉동조건에 따른 연근의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in the lotus root frozen under different conditions)

  • 박승종;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4-50
    • /
    • 2015
  • 본 연구는 냉동연근의 최적 제조 공정을 위하여 수행하였다. 냉동 전처리로 blanching 하고, -20, -70, $-196^{\circ}C$ 각각 다른 냉동온도에서 동결한 냉동연근의 품질을 측정하였다. 최적 blanching 조건은 미생물 수, 물성, 총 페놀 함량, 관능평가 등의 결과를 바탕으로, $100^{\circ}C$에서 5분간 처리로 설정하였다. 여러 냉동조건에서 동결한 연근의 SEM 사진을 비교한 결과, $-20^{\circ}C$에서 동결한 연근의 조직이 가장 많이 파괴되었고 $-70^{\circ}C$에서 동결한 연근의 조직 단면 구조가 대조구와 가장 유사하였다. 항산화능은 동결 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처리구간에 유의적인(p<0.05) 차이는 없었다. 총 페놀 함량은 모든 냉동연근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20^{\circ}C$에서 가장 낮았고, drip loss 또한 $-20^{\circ}C$에서 3.73%로 가장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20^{\circ}C$에서의 일반적인 냉동보다는 gas nitrogen convection chamber에서 의 $-70^{\circ}C$로 동결하는 것이 고품질의 냉동연근을 생산할 수 있는 최적 냉동방법이라고 판단된다.

양배추 가공조건에 따른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 (Impact of Cooking Method on Bioactive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y of Cabbage)

  • 황은선;뉴안 도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84-190
    • /
    • 2015
  • 양배추를 각기 다른 방법(blanching, steaming, microwaving)으로 가열하면서 열처리 시간에 따른 glucosinolates와 SMM의 함량 변화 및 항산화 활성을 양배추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별로 측정하였다. 신선한 양배추 추출물에는 glucoraphanin, sinigrin, 4-methoxyglucobrassicin 및 glucobrassicin의 4종의 glucosinolates를 HPLC 분석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양배추는 SMM 함량이 건조중량 100 g 당 192.85 mg으로 다른 십자화과 채소들에 비해 풍부하였다. 끓는 물에 데치는 조리법에 비해 스팀을 이용하여 찌거나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였을 때 glucosinolates와 SMM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다량의 물을 사용하여 끓이는 경우, 수용성이 강한 이들 물질들이 조리수로 용출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소량의 물을 붓고 찌거나 전자레인지로 가열하는 경우는 glucosinolates 나 SMM이 조리수로 용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활성물질들이 열처리를 하는 동안 양배추 조직으로부터 분리되어 표면으로 노출되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력을 통해 양배추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가열시간이 길어질수록 항산화 성분이 파괴되어 신선한 양배추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양배추를 포함한 십자화과 채소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인 glucosinolates나 SMM의 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가열 방법과 가열시간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가급적이면 장시간 동안 물에 끓이는 방법보다는 스팀을 이용하여 찌거나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가열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단체급식소에서 제공되는 소시지-채소 볶음과 마늘종 볶음의 생산단계 및 보관단계에 따른 리보플라빈 함량 변화(1) (Changes in the Riboflavin Content of Stir-Fried Sausage with Vegetable and Stir-Fried Garlic Young Stem at Various Cooking and Holding Processes in Food Service Establishments( I ))

  • 김혜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61-469
    • /
    • 2002
  • In order to develop a better food preparation method in terms of vitamin retention in food service establishments, the retention rate of riboflavin in two kinds of Korean dish (stir-fried sausage with vegetables, stir-fried garlic young stems) were examined during various cooking stages, holding temperature and duration time. Riboflavin content of the sample was analyzed using by using a HPLC with a fluorescent detector at various holding durations and temperatures. Also the changes in the pH and water contents of the samples were measured during holding at various temperatures to find any relation among the pH, water contents and riboflavin content. In th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iboflavin contents at various cooking processes such as washing, slicing, blanching, soaking, etc. Also, the retention rates of riboflavin at various holding methods and temperatu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ne another. Especially 50% reduction of riboflavin content occurred during blanching of young garlic stem and only 38% of riboflavin was left after slicing carrots for stir-frying of sausage.

건어물을 이용한 조리음식의 미생물학적 위해 감소를 위한 조리 전처리 적용 효과 (Effect of Applying Pretreatment Methods before cooking for decreasing the Microbiological Hazard of Cooked Dried fish in Foodservice establishments)

  • 배현주;이재학;오세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55-56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icrobiological hazards of dried fish (Jwieochae, Ojingeochae and Bugeochae), and to apply pretreatment methods to increase the safety of cooked dried fish within foodservice establishments. Microbiological inspections were conducted on Total Plate Count, Coliforms, E. coli, E.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p. and Listeria monocytogene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Hazard analysis, there are many problems showing high numbers in terms of Total Plate Count and Coliforms, which were both well over acceptable standard levels. E.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detected at certain foodservice establishments, while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and Listeria monocytogenes were not detected at all. By applying various pretreatment methods, such as washing, blanching, pan frying and microwave heating, the levels of microbiological hazards were able to be controlled and lowered. Blanching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llowed by panfrying, microwave heating and washing. The Total Plate Counts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number of times washed and seconds panfried.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o guarantee food safety, cooked dried fish raw materials should be kept hygienically and appropriate pretreatment methods applied before cooking.

열처리방법에 따른 한지형 및 난지형 마늘의 영양성분 변화 (Changes in Nutritional Components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Types Garlic by Different Heat Treatments)

  • 이주혜;이지윤;황진봉;남진식;이준수;김소민;한혜경;최용민;김세나;김행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5-252
    • /
    • 2016
  • Purpose: To provide the public with nutritional information on consumption types of garlic, we evaluated the influence of heat treatment method on the nutritional contents of different species of garlic. Methods: We determined the content of general components, minerals, vitamins, and fatty acids in each species of garlic produced in Seosan and Goheung by heating with blanching or microwave roasting. Results: The results of the two-way analysis of variance test indicated that the species in particular, as well as method of heat treatment and interaction, had an influence on nutritional content. The moisture and crude fat content was higher in Southern type garlic than in Northern type garlic, while crude proteins, crude ash, and dietary fibers were more abundant in Northern type garlic than in Southern type garlic. With regard to the total mineral content, K, P, Mg, and Ca were the main components in Northern type garlic and Southern type garlic. Moreover, unsaturated fatty acids showed high levels in both Northern type garlic and Southern type garlic, with more abundant linoleic acid. Overall, Northern type garlic showed a higher content of minerals and fatty acids, while more vitamin B was present in Southern type garlic.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tent of general components (dietary fiber excluded) was increased in both Northern type garlic and Southern type garlic upon heat treatment. Blanching resulted in increased mineral and fatty acid content in Southern type garlic and decreased content in Northern type garlic, indicative of species differences; conversely, microwave roasting contributed to an increase in the content in both Northern type garlic and Southern type garlic. Conclusion: The nutritional content of garlic is more dependent on species than the cooking method, and grilling is associated with less nutrient loss than blanching.

Cyanidin-3-glucoside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오디즙 가공방법 (Processing method of mulberry fruit juice improved C3G stability)

  • 김현복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59-163
    • /
    • 2013
  • 오디의 기능성이 언론에 홍보됨에 따라 오디 소비 촉진 및 가공제품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오디즙 가공시 기능성 물질인 C3G 색소의 안정성에 관한 기초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오디의 이용확대를 위해 항산화색소 C3G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오디즙 가공방법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오디와 서당의 비율을 1 : 1로 하여 용기에 담고 식품첨가제인 구연산을 0.3% 첨가하는 것이 C3G 함량과 항산화능을 향상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올리고당의 경우 구연산을 첨가하는 것이 오히려 항산화능을 떨어뜨리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자일리톨의 경우 가공방법 중 가장 낮은 C3G 함량을 나타냈으나 구연산을 첨가하면 색소함량과 항산화능을 향상시키므로 반드시 구연산을 첨가한다. 2. 보관용기(투명유리병, 갈색유리병, 알루미늄 호일, 녹색유리병, 반투명유리병)보다 구연산의 첨가가 항산화색소 C3G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3. 오디즙 가공시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3분간 blanching 하여 색소의 안정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불활성화 시키는 방법은 항산화색소 C3G 함량을 다소 떨어뜨리므로 냉동오디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항산화능에 있어서는 보존기간동안 타 처리구에 비해 안정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곰취차로부터 라디칼 소거능을 갖는 Caffeoylquinic Acid류 화합물의 추출조건 (Extraction Conditions of Radical Scavenging Caffeoylquinic Acids from Gomchui (Ligularia fischeri) Tea)

  • 김상민;강석우;엄병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99-40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기능이 잘 알려진 곰취로부터 곰취의 소비 및 활용도 향상을 위하여 곰취차를 제조한 후 주요 항산화물질을 탐색하고, 이들 성분의 추출율 변화를 분석하였다. 우선 온라인 항산화 장치를 통하여 곰취 추출물의 주요 항산화 성분이 5-CQA, 3,4-DCQA, 3,5-DCQA 및 4,5-DCQA로 구성된 caffeoylquinic acid류의 화합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곰취차에서 이들 성분의 추출율 변화를 추출 온도, 시간, 용매 및 추출 방법 등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는데, 물에서의 추출율은 어느 온도에서든지 10분의 분석시간 동안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8^{\circ}C$에서의 추출율도 매우 우수하였는데, $80^{\circ}C$ 추출율의 약 60%의 유효성분이 10분 동안 추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에탄올 함량에 따른 곰취차의 추출율에서도 추출시간에 따라 추출율이 증가하였지만, 에탄올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추출율은 감소하였는데, 특히 100% 에탄올 조건에서는 추출율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곰취차의 제조 과정 중 블렌칭 단계에서는 곰취분말로부터 약 60% 이상의 항산화성분이 물로 유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3,5-DCQA의 경우에는 90% 이상의 손실을 나타내어, 곰취분말에서는 3,5-DCQA가 가장 많이 추출되는 반면 곰취차에서는 3,4-DCQA가 가장 추출율이 높은 항산화성분이었다. 한편 초음파 추출법은 일반 추출법에 비해 항산화 성분의 추출율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곰취가 차로 만들어졌을 경우에 항산화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찬물에서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건강기능차로서 그 효용성과 편리성이 매우 좋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