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bean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5초

Preparation of Functional Food in Combination of Tartary Buckwheat and Bean Flour Mixes by Hot Melt Extrusion Process

  • Azad, Obyedul Kalam;Kang, Wie Soo;Park, Cheol Ho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71-71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a new functional food with enriched bioactive compound by the combination of Tartary buckwheat and bean flour mixes. Two types of bean such as: black bean and white bean with the ratio of 5, 10, 15 % were used to develope a food formulation. The solid formulation of functional food was prepared by the hot melt extrusion process (HME) at the temperature of 60, 90, $120^{\circ}C$. Total phenolic content (TPC), total flavonoid (TF) and DPPH were analysed of the prepared food by the use of spectrophotometer. Results demonstrated that TPC (254 mg/g), TF (18.22 mg/g) and DPPH (88%) were significanlty increased in the receipe of 10% black bean and 90% Tartary buckwheat mixes among the formulation at $90^{\circ}C$. As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optimum ratio of bean and Tartary buckwheat flour mixes should be considerd for the preparation of high quality functional food.

  • PDF

검정콩 청국장 조제를 위한 Bacillus megaterium SMY-212의 분리 및 균학적 특성 (Isolation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acillus megaterium SMY-212 for Prepartion of Black Bean Chungkugjang)

  • 손미예;권선화;성찬기;이상원;박석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04-310
    • /
    • 2001
  • In order to produce a high quality and functional black bean Chungkugjang, a bacterium which has potent enzyme activities(protease:124.8 U/$m\ell$, $\alpha$-amylase: 78.2U/$m\ell$, glucoamylase; 13.9U/$m\ell$, ), was isolated by using the halo zone method and identified by morphological, cultur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and then finally confirmed by GP-microplate identification system as Bacillus megatrium SMY-212. The isolated SMY-212 system was also high in the formation of mucoid material and fibrinolytic activity.

  • PDF

시중 유통 자장면의 지방함량과 지방산 조성 조사 (Studies on the Fat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Black-bean-sauce Noodles in the Chinese Restaurants)

  • 김효진;김연;이기택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2호
    • /
    • pp.261-266
    • /
    • 2010
  • In this study, we determined lipid content, total fatty acid composition, trans fatty acid(tFA) content, and acid value of twenty black-bean-sauce noodles collected in Seoul city area. Total lipid contents of twenty samples were determined to be 3.33~9.23% on wet base. Total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from 47.83% to 83.18%(mainly oleic and linoleic acid). Total saturated fatty acids ranged from 16.06% to 51.48%. Besides, tFA contents in total lipid of samples were ranged from 0.38% to 1.39%, equivalent to 20 to 80mg per 100g of black-bean-sauce noodles. Acid values of lipids extracted from samples ranged from 0.56 to 2.88.

Elucidation of Cause of Cotyledon Black-Decay of Soybean Sprout by Bean Bug, Riptortus clavatus

  • Lee, Jung-Han;Han, Ki-Soo;Kim, Dong-Kil;Kang, Jin-Ho;Kim, Hee-Kyu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03-307
    • /
    • 2008
  • Cotyledon Black Decay (CBD) on soybean sprout mimics the black spot due to microbial infection. CBD, not visible or predictable at seedlot state, for some reason, shows up exclusively on cotyledon of soybean sprout during sprouting process. Such an incidence rate fluctuated from 0.8 to 19.5% over three years from 2004. We suspected some pod-infecting anthracnose fungi and/or pod-blight pathogen, or pod-sucking bean bug, one of the major pests of soybean, might have involved, of which we ruled out fungal pathogen because it was preventable through heat treatment, a proven method for seedlot disinfestation. The healthy seeds artificially fed by bean bug for one to seven days were sprouted, and 6 to 41% of the soybean sprout revealed the CBD mimic to those occurred in soybean sprout from previous commercial seedlot screening experiments. This finding is the first report to confirm that bean bug damage to pod at $R_8$ stage is directly responsible for the CBD, which did not concur with any other deleterious effects on sprouting such as reduction in hypocotyls elongation and rooting except unsightly sprout quality. However, earlier feeding either at green pod or greenish yellow pod stage ($R_6$ -early $R_7$ stage) resulted in rather severe damages, which strikingly reduced hypocotyls growth to about one forth to about two third, as well as the reduction in rates of seed germination.

식초와 김치 유래 젖산균으로 제조한 서리태 발효우유 제조 및 물리화학적 품질 특성 연구 (Produc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lack bean yogurt made with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vinegar and kimchi)

  • 정성엽;강선아;이나라;류명선;오현호;김다솔;박선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76-8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식물성 원료인 콩에 물의 비율을 달리하여 발효우유 베이스(base)를 제조하고, 식물성 젖산균인 김치 젖산균 L. plantarum와 식초 젖산균인 B. acidiproducens를 접종하여 제조한 발효우유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콩과 물의 비율은 1:1인 것이 다른 비율보다 실험결과에서 이상적인 값을 보였다. L. plantarum 발효우유와 B. acidiproducens 발효우유는 pH와 산도, 생균수에서 대조군으로 사용한 YF 발효우유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발효우유 제조 규격에 적합한 수준이었다. L. plantarum 발효우유는 발효완료시점의 생균수에서 B. acidiproducens 발효우유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p<0.05) 완성된 발효우유의 향과 전체적 기호도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는데, 이는 발효우유의 신맛과 향으로 인한 결과로 사료된다. B. acidiproducens VG1 발효우유는 L. plantarum YD09 발효우유와 pH, 산도, 색도, 당도 및 점성에서 유사한 결과 값을 보였고, 생균수에서는 L. plantarum 발효우유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지만, 관능검사에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김치 젖산균인 L. plantarum YD09과 식초에서 분리한 B. acidiproducens VG1은 시판되는 YF 균주보다 발효 초기 pH값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발효가 완료된 시점에서 발효우유로써 규격에 합하는 결과 값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발효우유 제조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며, 콩과 물의 비율을 1:1로 정하여 제조하는 것이 생균수가 높고, 커드 형성이 잘 되는 발효우유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L. plantarum 보다 B. acidiproducens VG1을 사용하여 발효우유를 제조할 경우 신맛이 덜하고 시판되는 ABT-4 (YF)만큼 기호도가 높은 발효우유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두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항변이원성 및 변이원성 검정 (Screening of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timutagenicity and Mutagenicity of the Ethanolic Extracts from Legumes)

  • 장수민;남석현;강미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115-1122
    • /
    • 2002
  • 시판되고 있는 두류 22 종류의 7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의 항산화 활성, 화학적 변이원 mitomycin C에 대한 항변이원성, 세포독성, 변이원성 등을 포함하는 생리활성 효과를 비교 검정하였다. DPPH radical에 대한 전자공여능, hydroxy radical 소거능 및 지질 자동산화 억제효과 등은 모든 두류 품종이 거의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예팔, 완두, 녹두, 백편두 등은 변이원 mitomycin C에 대해 유의할만한 수준의 항변이원성을 보였으며, 녹색나물콩, 녹두, 속피리 등은 지시 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었고, 속청과 청태는 변이원성을 억제하는 특성이 있었다. 백편두는 세포 성장과 돌연변이 유발 모두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추출물 자체가 독성을 가질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이었던 기능성 밥 및 떡 제조를 위한 부재료로서의 두류 이용을 위해서는 예팥, 녹두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고 생각된다.

곡류 및 두류 에탄올 추출물의 in vitro 발암 억제 효과 비교 (Inhibitory Effect of Various Cereal and Bean Extracts on Carcinogenicity in vitro)

  • 최영희;강미영;남석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64-969
    • /
    • 1998
  • 곡류 및 두류에탄올 추출물의 발암억제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10종의 곡류를 선정해서 70% 에탄올 추출물을 얻은 다음 항변이활성, 항산화활성, DNA 손상 억제효과 및 발암 promotion 억제효과를 비교하였다. E. coli PQ 37 균주를 이용한 SOS chromotest에 의해서 항변이활성을 검색한 결과 화곡류에 비해 두류의 활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검정콩과 팥의 항변이활성이 높았다. 변이원 물질로 사용되는 mitomycin C는 DNA의 strand scission 현상을 유발함으로써 DNA의 손상을 초래하게 되므로, 이의 처리를 통하여 쌀겨 및 곡류 추출물이 DNA의 손상을 억제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곡류중 조와 율무의 70% 에탄올 추출물의 DNA 손상억제 효과가 큰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두류중에는 검정콩과 흰콩의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강한 DNA 손상억제효과를 관찰하였다. 곡류 및 두류 에탄올추출물의 DNA 손상억제효과가 확인되었으므로 이들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Linoleic acid model system을 이용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DNA 손상억제효과와 유사하게 두류의 항산화 효과가 컸으며 율무>검정콩>조>흰콩>보리>현미의 순이였다. Epstein-Barr Virus (EBV)활성화 시험법을 적용하여 곡류 및 두류 에탄올추출물의 발암 promotion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수수와 메밀의 발암 promotion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고 두류 중 검정콩과 팥에 있어서 강한 억제효과가 관찰되었다.

  • PDF

Bacillus subtilis에 의해 발효된 다양한 콩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rious Bean Varieties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 김기혁;이규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41-548
    • /
    • 2016
  • Purpose: For dissecting the possible benefits and usages of Cheonggukjang, five different beans, soybean, black soybean, red bean, chickpea, and lentil bean, underwent the fermentation process along with Bacillus subtilis. Methods: Resultant Cheonggukjang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such as pH, amino type nitrogen, slime contents, rheological properties, and sensory strength and consumer acceptance were analyzed. Results: Values of pH were found to be highest in Cheonggukjang made with soybean (SC), followed by Cheonggukjang made with black bean (BSC) and Cheonggukjang made with red bean and soybean mixture (RBSC), and lastly Cheonggukjang made with chickpea (CBC) and lentil bean (LBC). Amino type nitrogen values were shown to be highest in SC with a value of $394.74{\pm}28.80mg%$, subsequently were values taken from RBSC, followed by BSC, CBC, and lastly LBC. Slime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SC with a value of $3.44{\pm}0.36%$, with RBSC, BSC, CBC, and LBC without statistical difference. Total colony count was found to show higher value in BSC, SC, and RBSC, in contrast to the lower values found in CBC and LBC. Color was shown to be lightest in CBC and with darker shades shown that of SC, LBC, RBSC, and BSC in descending order. In rheological properties, hardness, adhesiveness, and viscosity were found to be highest in SC. Sensory strength analysis and sticky appearance were highest in SC, with fermented odor being lowest in CBC and BSC. The strength of sweetness, sourness, and umami taste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 however, bitterness was shown to be highest in LBC and lowest in CBC, SC, and BSC. In the consumer acceptance test, overall acceptance was highest in SC and CBC. Conclusion: In conclusion, SC was found to be the best bean variety for making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however, CBC may act as an alternative for manufacture of Cheonggukjang resulting in sound consumer acceptance.

한국산 검정콩 ${\alpha}-Amylase$ 저해물질의 분리 및 정제 (Purification of ${\alpha}-Amylase$ Inhibitor from Black Bean in Korea)

  • 문주석;배영일;심기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62-767
    • /
    • 1995
  • 한국산 두류 중의 ${\alpha}-Amylase$ 저해물질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검정콩으로부터 ${\alpha}-Amylase$ 저해물질을 분리, 정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검정콩 ${\alpha}-Amylase$ 저해물질도 SDS-PAGE상에서 단일밴드를 확인하였고, capillary electrophoresis에서 순도를 확인하였으며, 정제된 저해물질의 비활성도는 544.0 units/mg, 정제도는 약 18배였으며, SDS-PAGE 상에서 분자량은 25 KD이였다. 검정콩 ${\alpha}-Amylase$ 저해물질의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및 lysine 순이었다. 정색반응 결과 검정콩 ${\alpha}-Amylase$ 저해물질은 당단백질로 추정되었으며, 탄수화물 함량은 3.2%로 나타났다.

  • PDF

키위와 무를 첨가한 검정콩청국장의 발효중 화학성분의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Black Bean Chungkugjang Added wish Kiwi and Radish during Fermentation)

  • 손미예;권선화;박석규;박정로;최진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49-455
    • /
    • 2001
  • 키위와 무를 첨가하여 42$^{\circ}C$에서 72시간동안 발효시킨 검정콩 청국장의 pH, 총산, 환원당, 질소화합물 및 무기질 함량을 조사하였다. 검정콩 청국장의 발효중 pH는 증가하였고, 총산은 감소하였으며, 키위를 첨가한 검정콩 청국장을 제외한 시료구 모두 24시간 이후로 급격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환원당은 24시간을 전후하여 증가하다가 감소하였고, 검정콩 청국장은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나머지 청국장은 비슷하였다. 아미노태 질소는 발효 24시간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키위와 무를 첨가하므로 검정콩 단백질의 분해율을 증진시켜 대두 청국장과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암모니아태 질소는 72시간 이상 발효할 때에는 검정콩 청국장이 대두 청국장에 비하여 적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무기질은 K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P > Mg > Ca순으로 많았으며, 대체로 검정콩 청국장류가 대두 청국장보다 비슷하거나 약간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