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tite V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5초

Biotite V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 능력, 영양소 소화율, 혈청 및 육내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otite V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s Digestibility and Serum and Meat Cholesterol in Broiler Chickens)

  • 진영걸;김진동;민병준;조진호;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3-139
    • /
    • 2006
  • 본 시험은 육계 사료내 Biotite V의 첨가가 육계의 성장 능력, 영양소 소화율, 혈청 및 육내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총 480수의 2 일령된 Arbor Acre Broiler(male) 병아리를 공시하였고 사양시험은 5주간 실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육계 전기 사료로서 1) CON (basal diet), 2) BV200 (basal diet+200 mesh Biotite V 1.5%) 및 3) BV325 (basal diet+325 mesh Biotite V 1.5%) 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처리당 8반복, 반복당 20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개시시부터 1주까지의 증체량에서는 Biotite V를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P<0.05). 전체 시험기간 동안의 증체율, 사료 섭취량과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Biotite V 를 첨가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건물과 질소 소화율에서는 처리구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Biotite V 첨가구에서 복강내 지방 무게, 혈청과 육내 콜레스테롤 함량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적으로, 육계 사료내 Biotite V의 첨가는 성장율, 영양소 소화율, 혈청 및 육내 콜레스테롤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Effects of Dietary Biotite V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s Digestibility and Fecal Noxious Gas Content in Finishing Pigs

  • Chen, Y.J.;Kwon, O.S.;Min, B.J.;Shon, K.S.;Cho, J.H.;Kim, I.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8호
    • /
    • pp.1147-1152
    • /
    • 2005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Biotite V (BV)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s digestibility and fecal noxious gas content in finishing pigs. In Exp. 1, a total of eighty pigs (initial body weight 88.0${\pm}$1.35 kg) were used in a 35-d growth trial. Pigs were blocked by weight and allotted to five dietary treatments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here were four pigs per pen and four pens per treatment. Dietary treatments included: 1) Control (CON; basal diet), 2) 200 mesh BV1.0 (basal diet+200 mesh Biotite V 1.0%), 3) 325 mesh BV1.0 (basal diet+325 mesh Biotite V 1.0%), 4) 200 mesh BV2.0 (basal diet+200 mesh Biotite V 2.0%) and 5) 325 mesh BV2.0 (basal diet+325 mesh Biotite V 2.0%). Through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G, ADFI and gain/feed among the treatments (p>0.05). With the addition of Biotite V in diet, DM and N digestibilitie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p<0.01). Also, Ca and P digestibilities tended to increase in pigs fed Biotite V supplemented diet (p<0.01) compared to pigs fed control diet. Supplementation of Biotite V in diet reduced the fecal $NH_3-N$ and volatile fatty acid (VFA) compared to CON treatment (p<0.01). In Exp. 2, a total of sixty four pigs (initial body weight 84.0${\pm}$1.05 kg) were used in a 35-d growth trial. Pigs were blocked by weight and allotted to four dietary treatments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here were four pigs per pen and four pens per treatment. Dietary treatments included: 1) LP (low protein diet), 2) HP (high protein diet), 3) LP+BV (low protein diet+325 mesh Biotite V 1.0%) and 4) HP+BV (high protein diet+325 mesh Biotite V 1.0%). Through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ADG and gain/feed tended to increase in HP and HP+BV treatment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among the treatments. With the addition of Biotite V in diets, digestibilities of nutrients (DM, N, Ca and P)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p<0.01). The addition of Biotite V in diets reduced the ammonia emissions in feces (p<0.01). Supplementation of Biotite V in diets also reduced the fecal propionic acid, butyric acid and acetic acid (p<0.01) compared to pigs fed diets without Biotite V.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Biotite V can increase nutrients digestibility and reduce fecal $NH_3-N$ and volatile fatty acid (VFA) concentrations in finishing pigs.

팔공산 화강암내 흑운모의 풍화과정에서 생성되는 고령토광물들의 광물학적 특성 및 생성 환경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Environment of Kaolin Minerals in the Weathering of Granitoids: Weathering of Biotite in Palgongsan Granite)

  • 정기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7-105
    • /
    • 1998
  • Weathering of biotite in Palgonsan granite was studied by using X-ray diffraction, optical mic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electron probe micro analysis. Biotite altered to biotite/vermiculite regular mixed layer mineral (B/V) in the early stage of weathering. Although partially replaced by kaolinite with the progress of weathering. B/V is the major weathering product of biotite throughout the profile. During the formation of B/V, Mg, Fe and K are removed from a biotite layer to form a vermiculite layer by about 28%, 44% and 88%, respectively, whereas the Ti content is not changed. Considerable volume increase after the kaolinitization of B/V suggests that Al and Si are largely introduced from the external weathering solution. The silicate lattice templet of a weathering biotite facilitated the nucleation and growth of kaolinite. In the Palgongsan granite weathering profile, plagioclase weathered mostly into halloysite whereas biotite greatly contributes to the kaolinite crystallization though its small content in fresh rock.

  • PDF

The Effects of Dietary Biotite V Supplementation as an Alternative Substance to Antibiotics in Growing Pigs

  • Chen, Y.J.;Kwon, O.S.;Min, B.J.;Son, K.S.;Cho, J.H.;Hong, J.W.;Kim, I.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1호
    • /
    • pp.1642-1645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iotite V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s digestibility and blood constituents and to evaluate whether Biotite V could replace an antibiotics in growing pigs diet. One hundred twenty pigs with initial body weight of 18.35${\pm}$0.15 kg were used in a 28 days growth trial. Pigs were allotted to four treatments by sex and body weight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here were six replicate pens per treatment and five pigs per pen. Four dietary treatments were: 1) NC (basal diet without antibiotics), 2) PC (basal diet+0.1% CTC), 3) NCBV (NC diet+0.5% 200 mesh Biotite V) and 4) PCBV (PC diet+0.5% 200 mesh Biotite V). Through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ADG tented to increase in NCBV and PCBV treatments compared to NC and PC treatments respectivel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p>0.05). ADFI was slightly lower in NCBV and PCBV treatments than that in NC and PC treatments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Gain/feed in PC and PCBV treatments was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NC treatment (p<0.05). N and Ca digestibilities were higher in PCBV treatments than those in PC treatment (p<0.05). DM and P digestibilities were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Biotite V (p>0.05). RBC, HCT, Hb, lymphocyte and monocyte were increased numerically in NCBV and PCBV treatments compared to NC and PC treatments (p>0.05). WBC was lower in treatment groups than that in NC treatment,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p>0.05). In conclusion, dietary supplementation of Biotite V can better the gain/feed and some of the nutrients digestibilities in growing pigs. It has a possibility to replace antibiotics in swine diet.

Performance of Growing-finishing Pigs Fed Diets Containing Graded Levels of Biotite, an Alumninosilicate Clay

  • Thacker, P.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1호
    • /
    • pp.1666-1672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an alumninosilicate clay, marketed under the trade name Biotite V, to improve growing-finishing pig performance and to determine its effects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excretion. Sixty crossbred pigs (22.3${\pm}2.7kg$, Camborough 15 Line female${\times}$Canabred sire) were assigned on the basis of sex, weight and litter to one of four dietary treatments in a $2{\times}4$ (two sexes and four treatments) factorial design experiment. The experimental diets were based on barley and soybean meal and contained 0, 0.25, 0.5 or 0.75% biotite during the growing period (22.3-60.5 kg) and 0, 0.5, 1.0 or 1.5% biotite during the finishing period (60.5-110.3 kg). Each pig was allowed access to its own individual feeder for 30 min twice daily (07:00 and 15:00 h). Individual pig body weight, feed consumption and feed conversion were recorded weekly. The pigs were slaughtered at a commercial abattoir when they reached an average weight of 110.3 kg. Carcass weight was recorded and dressing percentage calculated. Carcass fat and lean measurements were obtained with a Destron PG 100 probe between the 3rd and 4th last ribs, 70 mm of the midline. Total tract digestibility coefficients for dry matter, energy, nitrogen and phosphorus were determined using three males and three females per treatment starting at an average weight of $52.2{\pm}3.8kg$. These pigs were housed under identical conditions as those used in the growing stage and were fed the same diets modified only by the addition of 0.5% chromic oxide as a digestibility marker. Over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22.3-110.3 kg), daily gain was unaffected (p>0.05) by the inclusion of biotite in the diet. There was a cubic response for feed intake (p=0.06) and a quadratic response (p=0.07) for feed conversion due to biotite. Feeding biotite produced no significant (p>0.05) linear or quadratic effects on any of the carcass traits measured. Dry matter digestibility decreased linearly (p=0.02) with increasing levels of biotite in the diet. However, digestibility coefficients for energy, nitrogen and phosphorus were unaffected (p<0.05) by biotite inclusion. Lactobacilli and enterobacteria numbers were unaffected by inclusion of biotite while Salmonella was not detected in any of the fecal samples. The overall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 that biotite inclusion did not reduce fecal excretion of nitrogen or phosphorus and failed to improve nutrient digestibility. Neither growth rate nor carcass quality was improved while a modest improvement in feed conversion was observed at lower levels of i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t would be difficult to justify the routine inclusion of biotite in diets fed to grower-finisher pigs. Whether or not a greater response would have been obtained with pigs of a lower health status is unknown.

예천전단대 북동부 명호지역 엽리상 화강암류와 압쇄 편마암류에 대한 지구화학 및 Nd-Sr 동위원소 연구 (Geochemical and Nd-Sr Isotope Studies for Foliated Granitoids and Mylonitized Gneisses from the Myeongho Area in Northeast Yecheon Shear Zone)

  • 김성원;이창윤;유인창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3호
    • /
    • pp.299-314
    • /
    • 2008
  • 북동 방향의 호남전단대는 한국의 옥천대 남쪽 경계와 선캠브리아기 영남육괴 사이를 지나는 광역적인 우수향 주향 이동 단층대로 동아시아의 두드러진 지나 변형의 방향과 평행하다. 이 논문에서는 호남전단대의 한 지류인 예천전단대 명호지역의 선캠브리아기 압쇄 석영-백운모 편마암과 엽리상 각섬석-흑운모 화강암의 지화학 및 Nd-Sr 동위원소자료를 보고하고자 한다. 엽리상 각섬석-흑운모 화강암류를 $SiO_2$$Na_2O+K_2O$의 분별도에 도시하면 $SiO_2$의 함량은 61.9-67.lwt% 그리고 $Na_2O+K_2O$의 함량은 5.21-6.99wt%로 화강섬록암 영역에 대부분이 점시된다. 선캠브리아기 압쇄 석영-백운모 편마암은 화강암의 영역에 점시된다. $SiO_2$에 대한 수정된 알칼리-라임 지수 및 Fe#($FeO_{total}/(FeO_{total}+MgO)$)에 의한 관계도에서 엽리상 각섬석-흑운모 화강암류는 캘크-알카리 계열의 마크네슘 성분이 우세한 코딜러리안(Cordilleran)형 중생대 화강암류의 지화학 특징과 잘 부합된다. 또한 이들 암석들은 $Al_2O_3/(CaO+Na_2O+K_2O)$$0.89{\sim}1.10$로 중알루미나에서 약한 고알루미나질의 I형에 해당한다 하지만, 원남층의 압쇄 편마암은 $1.11{\sim}1.22$의 과알루미나질을 보여준다. 연구지역 엽리상 각섬석-흑운모 화강암류 및 압쇄 편마암류의 미량원소 성분을 초생맨틀(Primitive mantle) 값으로 규격화한 거미 성분도상에서는 저장력 원소(large ion lithophile element)이며 불호정성 원소인 Rb, Ba, Th 및 U이 부화되어 있고 Ta, Nb, P, Ti 가 상대적으로 다른 원소보다 결핍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화학적 특징은 호상형(Arc-type) 화강암류와 전형적인 활동성 대륙연변부의 지각물질로부터 유래한 화강암류와 유사하다. ${\varepsilon}_{Nd}(T)$와 Sr 초생값은 엽리상 각섬석-흑운모 화강암류가 상부지각의 기원물질로부터 형성된 마그마로부터 생성되었음을 지시해 주고 있다. 연구지역을 포함한 영주저반의 엽리상 각섬석-흑운모 화강암류는 전단대에서 멀어지면서 변형에 의한 특정 원소들(Ti, P, Zr, V 및 Y)의 변화경향이 관찰되지 않는다. 이러한 원인으로, 많은 유체를 가지고 있는 엽리상 각섬석-흑운모 화강암류에서는 전단운동 변형동안 전단대 내와 외부의 유체의 흐름에 의한 질량 전달이 동일하게 일어나 암석 내의 부피변화 및 지화학 변질들을 야기 시키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유구지역 화강암질 편마암의 풍화작용에 의한 광물 조성의 변화 (Mineralogical Changes in the Weathering Profiles of Carnin Gneiss in the Yoogoo Area, Korea)

  • 이석훈;김수진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21-137
    • /
    • 2000
  • 공주군 유구 일대의 화강암질편마암은 온대습윤기후의 지형적 영향에 기인한 산성환경 및 양호한 배수조건에서의 풍화작용으로 두께가 8m인 깊은 saprolite층과 50cm 이상의 두꺼운 토양층을 형성하였다. 풍화단면에서는 흑운모/질석혼합층 광물, 삼팔면체, 할로이사이트, 캐올리나이트, 일라이트, 이팔면체질식, 스백타이트, 깁사이트, 침철석 등의 풍화광물이 확인되었다. 흑운모의 변질은 질석화작용이 미약한 반면에 풍화단면 전반에서 고령토화작용이 매우 현저한 풍화양상을 보여주며, 흑운모-흑운모/질석 혼합층 광물-질석, 흑운모-할로이사이트, 캐올리나이트, 깁사이트 및 흑운모-일 라이트의 풍화과정을 나타낸다. 흑운모의 풍화작용으로 생성된 고령토광물은 주로 할로이사이트이며, 고령토화작용으로 방출된 Fe는 변질된 흑운모 주변에서 침철석을 형성한다 사장석은 용해-침전작용으로 관상의 할로이사이트를 형성한다. 할로이사이트의 산출양상은 사장석의 용해유형에 따라 방향성이 강한 할로이사이트 집합체와 매우 구불구불한 할로이사이트 집합체로 나타난다. 모암에서 철을 함유하고 있던 광물은 용해되어 모암광물의 가상을 유지한 채 또는 그 주변에서 침철석을 형성한다. 연구지역 화강암질편마암의 단면은 풍화도가 증가할수록 모암 구성광물이 감소하는 반면에 점토광물의 양이 증가하는 전형적인 풍화 양상을 보여주며, 광물의 풍화작용은 산성환경과 양호한 배수환경과 같은 지역적인 조건에 영향을 받아 복잡하고 다양한 풍화광물을 형성하였다.

  • PDF

북부 옥천변성대에서 산출되는 반점상 근청석의 미시적 공생관계 및 결정구조 해석 (Fine-scale Mineral Association and Crystal Structure Refinement of Spotted Cordierite from Northern Ogcheon Metamorphic Belt)

  • 노진환;최진범;김건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55-65
    • /
    • 1999
  • Spotted cordierite occurs as the result of intrusion of Wolaksan Granite of Cretaceous age in the northern part of the Ogcheon Metamorphic Belt, forming a contact metamorphic zoning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from the granite body: a cordierite-muscovite-biotite-quartz assemblage and the higher-temperature cordierite-biotite-quartz-(cummingtonite). These quartz-ubiquitous mineral assemblages identified in the cordierite spot seem to reflect Al-deficient condition of the protolith. TEM observations of textural relations between the cordierite and mica within the cordierite spot clearly reflect that cordierite was formed at the expense of micaceous matrix. A structure refinement of the poikiloblastic cordierite was performed by the Rietveld refinement method. Unit cell of the cordierite was determined to be as follows : lower-temperature type: a=17.1480(9)${\AA}$, b=9.7743(6)${\AA}$, c=9.3184(5)${\AA}$, V=1561.9(4)${\AA}$3, higher-temperature type: a=17.136(2)${\AA}$, b=9.751(1)${\AA}$, c=9.322(1)${\AA}$, V=1557.7(4)${\AA}$3. They show a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unit cell dimension. The refinement results indicate that structural sites of lower-temperature cordierite are wholly occupied by appropriating ions. Compared to this, tetrahedral sites of the higher-temperature type exhibit an order/disorder ranging about 5-8% as the result of substitution between Si4+ and Al3+, except for T26 site occupied wholly by Al3+. These structural differences seem to be related to the formation temperatures of both cordierite types.

  • PDF

안동심성암체의 역누대 초성변화와 그 성인 (Reversely Zoned Compositional Variations and their Origins of the Andong Pluton, Andong Batholith, Korea)

  • 황상구;이보현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1호
    • /
    • pp.75-95
    • /
    • 2002
  • 안동심성암체는 3개 암상으로 구분되는 동원성 마그마로부터 유래되었다. 이 암체는 전체적으로 중앙부에 각섬석 흑운모 토날라이트가 노출되고 이의 연변부에 흑운모 화강섬록암이 놓이며, 상단부(복동부)에 반상 흑운모 화강암이 놓인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토날라이트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상 분포를 하며, 중앙부에 고온 광물군의 고철질 암석이 우세하고 연변부와 상단부로 갓수록 보다 저온 광물군의 규장질 암석이 우세한 역누대를 나타낸다. 이 암체의 모드 및 화학 자료는 중앙부에서 연변부, 상단부 순으로 역누대 조성변화를 보여준다. 이 조성변화는 인접하는 암상간에서 매우 점이적으로 변화한다. 각섬석과 흑운모 등의 고철질 광물은 중앙부의 토날라이트에서 가장 풍부하고 연변부로 갈면서 감소하고 상단부로 갈수록 더욱 감소한다. 석영과 K-장석 등의 규장질 광물은 이와 반대로 변화한다. 화학적으로도 고철질 광물을 지배하는 원소들은 중앙부에서 최고치이고 이로부터 연변부와 상단부로 갈수록 점차 감소되는 양상을 보이며, 반면에 규장질 광물을 주로 지배하는 원소들은 이와 반대 양상을 나타낸다. 이 역누대 심성암체는 열중력확산작용과 분별결정작용에 의해 수정된 마그마챔버의 상부 규장질 부분 속으로 하부의 더 고철질 부분이 재이동(소생)된 결과이다. 진화의 초기 단계에 , 이 마그마챔비는 하부에 토날라이트질, 중부에 화강섬록암질, 상부에 화강암질 마그마를 갖는 화학적 조성누대를 이룬 암석화학계이었다. 후기 단계에 챔버 기저에서 더 고철질 마그마의 유입에 의해 하부의 토날라이트질 조성대가 상부의 규장질 조성대 속으로 재이동을 야기시켰다.

강화군 석모도 일대의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 및 중생대 화강암류에서 발달하는 단열계의 분포특성 (Characteristics of Fracture System in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and Mesozoic Granites from Seokmo-do, Ganghwa-gun)

  • 박덕원;이창범
    • 암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3-139
    • /
    • 2010
  • 강화군 석모도 일대의 선캠브리아기 및 중생대 화강암류에서 발달하는 단열계의 특성이 조사 분석되었다. 노두에서 측정한 대부분의 단열은 경사가 거의 수직이거나 급하다. 빈도등급에 의한 단열 조의 방향성은 다음과 같다: Set $1:N2^{\circ}E/77^{\circ}SE$, Set $2:N17^{\circ}E/84^{\circ}NW$, Set $3:N26^{\circ}E/64^{\circ}SE$, Set $4:N86^{\circ}W/82^{\circ}SW$, Set $5:N80^{\circ}W/77^{\circ}NE$, Set $6:N60^{\circ}W/85^{\circ}SW$, Set $7:N73^{\circ}E/87^{\circ}NW$, Set $8:N82^{\circ}W/53^{\circ}NE$, Set $9:N23^{\circ}W/86^{\circ}SW$, Set 10: $N39^{\circ}W/61^{\circ}NE$ 단열군으로 나타났다. 특히, 단열의 주향(N:240)을 표시한 장미도에서는 남-북~북북동 및 서북서의 대표적인 2 방향을 지시한다. 석모도에서 발달하는 단열의 이러한 분포형태는 기존의 연구에서 시사한 국내의 주요 선구조선의 분포형태와 부합한다. 한편, 단열 모집단의 길이분포에 대한 스케일링 성질을 조사하였다. 먼저 선캠브리아기 장봉편암 및 중생대 화강암류(북부 및 남부암체)에서 측정한 단열 조는 주향 과 빈도수에 의하여 5개 그룹(그룹 I~V)으로 분류하였다. 그 다음, 상기한 5개 그룹에 대한 개개 길이-누적빈도 도표를 종합한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관계도에서 거의 멱법칙의 길이 분포를 따르는 상기한 5개 부집단(그룹 I~V)은 지수(-0.79~-1.53)의 넓은 범위를 보여준다. 이러한 5개 그룹 사이의 지수의 상대적인 차이는 방향성 효과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관계도에서 5개 그룹 중 그룹 Ⅲ의 도표가 보다 상위영역을 차지한다. 마지막으로, 각 암체에 대한 길이 빈도 분포의 특성을 보여주는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관계도에서 각 암체의 도표는 반상흑운모화강암 < 각섬석화강섬록암 < 중립질흑운모화강암(남부암체) < 중립질흑운모화강암(북부암체) < 장봉편암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관계도에서 생성시기가 보다 고기인 암체의 도표가 보다 상위영역을 차지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선캠브리아기 장봉편암의 도표는 중생대 화강암류의 도표에 비하여 보다 상위영역을 차지한다. 이와 같은 분포특성은 암체의 생성 이후에 작용한 응력장과 부합하는 신규 단열의 발생과 더불어 기존 단열의 성장작용의 공존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