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security grading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가축 전염병 관리를 위한 농장 질병관리등급제 개선 방안 (Improving the disease control ratings to manage livestock contagious animal disease in farms)

  • 조호성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67-271
    • /
    • 2020
  • The emergence of highly contagious viral diseases of livestock and poultry such as foot-and-mouth disease (FMD), African swine fever (ASF) and highly pathogenic influenza (HPAI) have necessitated the formulation of policies and regulatory frameworks for preventing ingress of exotic diseases and controlling dissemination of endemic diseases within the country. The disease control ratings to manage contagious livestock disease in farms have not being widely used because the evaluation parameters were not being considered inappropri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inforce the validity of the parameters for evaluation factors and the objectivity of the scoring criteria in the application of the current disease management rating system. The diseases subject to intensive management were improved by reflecting farm situation. For the evaluation based on the disease grading system of farms, the diseases subject to intensive management were realized, the list of diseases for evaluating the vaccination rate was revised, and the quarantine and sanitation management standards were revised. The effectiveness of the improved livestock disease management system was confirm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actual pig farms. Therefore, this system will be used as a means to evaluation the biosecurity at the farm units. Through this, it will contribute to establish effective biosecurity measures for each farm by improving and supplementing the present disease grading system.

국내 가금농장의 차단방역수준비교에 따른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위험도 평가 (Risk Assessment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by Comparison of Biosecurity Level in Domestic Poultry Farms)

  • 소현희;배연지;모인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13-325
    • /
    • 2019
  • 일반적으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가 발생을 하면 일정한 방역지역을 선정하여 그 범위 내의 농장에 대해서는 일괄적 살처분을 진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살처분은 산업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줄 수 있지만, 방역 범위를 줄이게 되면 수평전파의 위험성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가금농장의 차단 방역 수준과 HPAI 발생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고, HPAI가 발생 시 방역지역에 포함된 농장들을 선별적으로 살처분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국내 가금농장의 계종, 규모, 지역에 따라 전국적으로 8개의 농장을 선정하였으며, 일반관리 51항목, 방역관리 106항목, 위생관리 26항목으로 총 183 항목으로 나누어 차단 방역 수준을 평가하였다. 전반적으로 산란계 농장인 5개 농장(JS, GE, CS, HS, OE)이 복지농장 (CH), 육계농장(JG, LB)보다 종합적으로 높은 수준의 점수를 획득하였다. 산란계 농장은 대부분 130점에서 157점 사이에 있는 반면, 육계농장은 45점과 75점이었으며, 복지농장은 70점 수준으로 농장간 차단 방역 수준 편차가 심하였다. 평상시 가금농장의 HPAI 발생의 위험도도 일반관리, 방역 관리, 위생관리로 나누어 평가한 후 기존의 각 농장별 현재의 차단 방역수준과 서로 비교하였다. 현재의 차단 방역 수준이 HPAI 발생 위험도보다 높은 수준의 농장의 경우 대부분이 3개 관리 분야 중 방역 관리가 뛰어나다는 공통점이 있었으며, HPAI 발생 위험도가 현재의 차단 방역 수준을 능가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3개 분야의 관리가 전반적으로 취약하였지만, 특히 방역 관리수준이 매우 낮은 점수를 취득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금농장의 차단 방역 수준 평가를 위한 항목들을 활용을 하면 현재 가금농장의 차단 방역 수준을 평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HPAI 발생에 대한 위험도를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도 평가를 HPAI 발생시 방역 지역 내 농장에 다른 요소들과 함께 적용을 한다면 선택적 살처분의 가능성도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