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logical weed control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8초

Leaf Blight Caused byCurvularia intermedia on the Invasive Weed Lactuca serriola in Korea

  • Jin A Lee;Seon Young Lee;Young-Joon Choi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45-249
    • /
    • 2023
  • Prickly lettuce (Lactuca serriola), an invasive annual plant, poses a significant threat to the agricultural systems of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In 2020, leaf blight symptoms were observed in the prickly lettuce populations of various farms across Korea. Detailed morphological and molecular sequence analyses revealed that the disease was caused by the fungus, Curvularia intermedia. A pathogenicity test confirmed that the fungus can cause the same symptoms in healthy prickly lettuce, thereby fulfilling Koch's postulate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C. intermedia causing leaf blight on L. serriola in Korea, suggesting its potential as a biocontrol agent for this weed. However,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cessary to determine its ecological impact to prevent any non-target effects.

유채 잔유물의 녹비 이용에 따른 벼 생육특성 및 잡초발생 억제효과 (Effects of Rape Residue as Green Manure on Rice Growth and Weed Suppression)

  • 최봉수;성좌경;이상수;남재작;홍승길;김록영;양재의;옥용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9-114
    • /
    • 2010
  • 수확기 벼의 간장은 모든 처리구에서 비슷하게 생육하였으나 수장은 녹비환원구의 70% 시비구(17.5 cm)에서 관행재배구(16.4 cm)보다 촉진시켰다. 수확기 벼의 지상부 잎과 줄기의 생체중은 유채 잔유물 녹비환원구의 30% 시비구에서 관행재배구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벼의 건물중에서도 생체중과 비슷하였으며, 녹비환원구의 70% 시비구에서는 이삭중을 19% 증가시켰다. 또한 유채 잔유물의 환원에 따른 벼의 주당수수와 1수영화수는 관행재배구에 비해 녹비환원구의 70% 시비구에서 비슷하거나 오히려 증가하였다. 한편 벼의 등숙율은 관행재배구의 91%와 비교하여 유채 잔유물 환원구에서 낮아지는 것(79-85%)으로 나타났으나, 정조수량은 유채 잔유물 환원구의 70% 시비구에서 496.4 g/pot으로 가장 높았다. 각 처리구별 벼의 수량으로부터 산출한 수량지수는 녹비환원구의 70% 시비구에서 125.4로 관행재배구보다 수량이 증가하였다. 잡초발생량은 관행재배구에서 37본으로 가장 많았으며, 유채 잔유물 환원구에서는 11.7-15.7본으로 관행재배구보다 현저히 감소시켰다. 잡초의 건물중은 관행재배구의 25.1 g/pot에 비해 유채 잔유물 환원구의 시비량이 많은 처리구부터 각각 11.8, 12.2 및 6.0 g/pot으로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친화적(環境親和的) 제초제(除草劑) 및 제형(製型) 개발(開發)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Sound Herbicides and Their Formulations)

  • 오병열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4-111
    • /
    • 1997
  • A relatively wide range of weed technology concerning sound herbicide development, its formulation exploitation, and application techniques was extensively reviewed in accordance with least inputted sustainable agriculture. Herbicide plays an integral part of farmers' cultural practices in Korean agriculture like rest of world over. Weeds are more obstacle to the adaptation of more sustainable agriculture system. Because weeds dictate most of the crop production practices, weed scientists must become the leaders of collaborative integrated approaches to agriculture systems research. Feasible ways to minimize herbicide input involve the positive introduction of low-rate selective chemistries, innovative formulations, biological herbicides and newly developed application technology. Since herbicide will remain to be a core position in weed management for the foreseeable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optimize herbicide application technology and to minimize their impact on the environment. Public concerns and regulatory pressures on agricultural chemicals are likely to strengthen throughout this decade and coming. Researchers, pesticide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regulatory authorities have to work together more closely, leading to understand each other better, as well as the needs of our customers and those of society. To be taken extensively, weed control management practices in the future have to be accepted such a way the respective demands of environment, society and economics are entirely matched.

  • PDF

Characteristics of cultural practice and weed community in adzuki bean fields in the south-west districts of Korea

  • Hwang, Jae-Bok;Park, Tae-Seon;Park, Hong-Kyu;Kim, Hak-Sin;Choi, In-Bae;Koo, Bon-Il;Bae, Hee-Soo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1호
    • /
    • pp.40-49
    • /
    • 2017
  • Cultural practices for adzuki bean and the distribution of weed species in the south-west regions of Korea were surveyed to provide information on effective weed management. Approximately 27.5% of the farm households were growing adzuki bean in an area larger than 1 ha while the rest grew the crop in an area smaller than 1 ha. Of all adzuki bean growers, 17.1% seeded in early June, 8.6% in mid June, 34.3% in late June, 17.1% in early July, 20.0% in mid July, and 2.9% in late July. The average planting distance was $71.0{\times}29.5cm$. From the 40 surveys in adzuki bean fields, 35 weed species in 17 familie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occurrence frequency, the dominant weed species were Digitaria sanguinalis, Acalypha australis, Cyperus amuricus, Echinochloa crus-galli, and Amaranthus nangostanus in decreasing order of dominance. However, based on dry weight, Chenopodium album (34.4%) was the most dominant followed by Acalypha australis (21.9%), Amaranthus nangostanus (19.1%), Digitaria sanguinalis (7.5%), and Portulaca oleracea (6.1%). The exotic weeds found in the field of adzuki were Ipomoea hederacea, Abutilon avicennae, and Celosia argentea. The plant heights of I. hederacea, A. avicennae, and C. argentea were 259 cm, 98 cm, and 76 cm, respectively, while the fresh weights were 850 g, 66 g, and 101 g, respectively. Integrated weed management systems utilizing mechanical, chemical, and biological control techniques need to be developed for effective weed management in adzuki bean production.

Weeding Efficacy of Sulfonylurea Resistance Weed, Monochoria (Monochoria vaginalis) with Brown Leaf Blight Caused by BWC01-54

  • Hong, Yeon-Kyu;Lee, Bong-Choon;Song, Seok-Bo;Hwang, Jae-Bok;Park, Sung-Ta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77-82
    • /
    • 2005
  • A summer annual weed of monochoria (Monochoria vaginalis) grows in the edges of rice paddies, ditches, and moist upland throughout Korea. It is very difficult to control with herbicide because of its sulfonylurea resistance. It is very competitive with fast growing pattern, that can cause reducing yields of rice. Brown leaf blight of monochoria (Monochoria vaginalis) occurred naturally in rice paddy, is first reported in Korea. The fungal isolate BWC01-54 was successfully isolated from the diseased leaves of monochoria. The fungus BWC 01-54 was grown well at $25-28^{\circ}C$, conidia of the greysh black brown mycelia were abundant produced on PDA at 15 days. The fungus was grown well in potato dextrose broth at $28^{\circ}C$ and fully grown within 10 days in 250 ml of flask. In host and pathogenicity test, conidia suspension of BWC01-54 was the most effective to control of monochoria compare to others isolates. Typical symptoms having pin point brown lesions were formed on stem and leaf and which severely affected the whole plants ware blighted within two weeks, respectively. Under paddies field condition, conidial suspension of the fungus BWC01-54 gave around 90% control.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fungus may have a potential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against sulfonylurea resistance weed in rice paddy.

논 제초제 브로모뷰타이드·이마조설퓨론·메페나셋 입제의 생물특성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romobutide+Imazosulfuron+Mefenacet GR Using Paddy Field)

  • 이인용;김창석;이정란;문병철;정용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01-404
    • /
    • 2011
  • Bromobutide는 일년생잡초 뿐만 아니라 다년생잡초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논 제초제이다. 이 약제는 특히 물달개비 등 광엽잡초와 올챙이고랭이 등 사초과잡초에 대해 우수한 제초제효과가 있으며, 다른 약제와 혼합으로 잡초 스펙트럼 및 처리적기를 넓힐 수 있다. Bromobutide는 포장조건, 기상조건 등의 영향을 받지 않아 안정한 효력을 발휘하며, 약해가 거의 없이 안전하다.

제형의 차이가 제초제 Cyhalofop-butyl의 생물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Formulations on the Biological Activity of Herbicide Cyhalofop-Butyl)

  • 한강완;조재영;노안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5호
    • /
    • pp.440-446
    • /
    • 1995
  • 제초제 Cyhalofop-butyl을 유효성분으로한 유제, microemulsion, 수화제 및 입제를 제조하여 수도에 대한 약해, 피에 대한 제초효과, 피의 경엽에 대한 부착량 및 흡수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수화제에서는 원제를 액상화할 수 있는 보조제가 첨가되었을때 피에 대한 살초효과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경엽에의 흡수량 증가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수화제 살포 수용액의 피에 대한 부착력과 흡수량은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았다. 유제는 수화제 보다 높은 살초 효과와 엽면 흡수량을 보였다. Microemulsion에서는 높은 부착력과 함께 엽면에 대한 흡수량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본 원제에 대해서 입제의 적용성을 검정한 결과 유효성분 부상성 입제의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피에 대한 살초 효과도 높게 나타났다.

  • PDF

강원도 고냉지 씨감자 경작자들의 잡초방제 및 제초제 사용 실태 (Weed control and herbicide usage by seed potato growers in Kangwon alpine area)

  • 김성문;황기환;박홍열;조준모;박수진;신현포;허장현;한대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2-107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고냉지 씨감자 경작자들의 잡초방제 및 제초제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있다. 강원도 평창군, 횡성군, 강릉시에 거주하는 씨감자 경작자 1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결과를 통계 분석하였다. 씨감자 경작자들은 경작지에 문제가 되는 주요 잡초로 여뀌, 명아주, 쑥, 닭의장풀, 바랭이, 봄여뀌, 별꽃, 쇠뜨기, 쇠비름을 들었다. 전체 응답자의 58%는 paraquat, pendimethalin, metribuzin 등 많은 제초제들을 단독 혹은 혼합하여 기준약량보다 2배처리하여도 여뀌, 쇠뜨기, 쑥, 둑새풀, 닭의장풀, 피는 방제가 힘들다고 답하였으며, 또 응답자의 34%는 현재 사용중인 제초제들을 $3{\sim}5$년 정도 연용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조사대상자들은 paraquat, fluazifop-butyl 등 감자경작용으로 등록되지 않는 제초제들도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제초제는 경작자 본인의 경험에 의한 선택(51%)과 농약상의 추천(34%)에 의하여 주로 선정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체 응답자의 67%는 제초제의 남,오용으로 인하여 작물피해를 입은 경험이 있고, 75%는 제초제 처리시 혹은 후 제초제에 중독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강원도 고냉지 씨감자 경작자들은 제초제의 남,오용으로 경제적 피해는 물론 중독증상까지 경험하고 있으므로, 이 지역 경작자를 대상으로 한 올바른 제초제의 선정 및 사용법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어야할 것이다.

  • PDF

스트렙토마이세스를 이용한 잔디 갈색퍼짐병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Large Patch Disease by Streptomyces spp. in Turfgrass)

  • 전창욱;이정한;민규영;곽연식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1호
    • /
    • pp.29-34
    • /
    • 2016
  • 갈색퍼짐병은 한국잔디(Korean lawngrass)에 발병하는 병으로 골프장이나 재배지에서 심각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갈색퍼짐병 방제를 위하여 주로 화학적 방제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는 토양, 수질, 생물다양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갈색퍼짐병 방제를 위하여 선발된 균주를 이용하여 균주의 근권정착 능력, 갈색퍼짐병 병원균 억제효과와 실제 골프장에 적용하여 병원균 밀도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실 내부에서 근권 정착력 평가를 통하여 선발된 S2, 5, 8과 12 균주의 근권정착 능력을 조사한 결과 4주차까지 $6log\;cfu\;g^{-1}$ 이상으로 생물적 방제 인자의 필수조건이라 할 수 있는 근권정착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S2, 5, 8과 12 균주를 처리하여 병원균 밀도를 조사한 결과 S8 균주의 경우 1주차에 평균 0.7에서 4주차에는 1.2로 병원균 밀도 억제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갈색퍼짐병 방제효과 또한 S8 균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갈색퍼짐병 방제효과가 가장 뛰어난 S8 균주를 이용하여 실제 골프장에서 갈색퍼짐병 병원균의 밀도 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S8 균주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병원균의 밀도가 이쑤시개당 1.6 이상 낮게 검출되었으며 S8 균주 처리에 의하여 병원균 밀도 감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