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logical stability

검색결과 838건 처리시간 0.026초

고랭지 밭 토양유실 방지를 위한 폴리머 소재(폴리아크릴아마이드 및 바이오폴리머)의 현장적용성 평가: 작물재배실험 (Effects of Polyacrylamide and Biopolymer on Soil Erosion and Crop Productivity in Sloping Uplands: A Field Experiment)

  • 최용범;최봉수;김세원;이상수;옥용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11호
    • /
    • pp.1024-102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경사도 20%의 강원도 경작지 실험포장(가로 3 m${\times}$세로 18 m)을 대상으로 자연강우 조건하에서 폴리머 기반 토양개량제인 polyacrylamide (PAM) 및 바이오폴리머의 처리가 토양유실 및 작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40 kg/ha PAM 및 바이오폴리머 처리시 토양입단 안정도는 대조구에 비해 최대 11% 증가하였다. 생육조사 결과 폴리머 처리에 따라 무(Raphanus sativus)의 엽장은 증가하였으나 수확량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P>0.05). 토양유실의 경우 폴리머 기반 토양개량제 처리시 토양유실량이 최대 41% 감소하였으나 유거수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토양유실량은 강우강도의 증가에 따라 대수관계($R^2=0.85$)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피복이 완전치 못한 경사지 경작지에 대한 폴리머 기반 토양개량제 시용은 토양유실 저감에 효과적이며 작물생육 촉진 및 토양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열적으로 안정한 금나노입자를 이용한 블록공중합체 내에서의 입자위치 조절 (Controlling the Location of Thermally Stable Au Nanoparticles with Tailored Surface Property within Block Copolymer Templates)

  • 김세용;유미상;정세라;백관열;김범준;방준하
    • 폴리머
    • /
    • 제35권3호
    • /
    • pp.238-243
    • /
    • 2011
  • 유기/무기 혼합 물질은 뛰어난 성능으로 인해 지난 수년간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고분자 매트릭스에서의 무기 나노입자의 위치 및 분산을 조절하기 위해 싸이올(-SH) 기능기로 말단이 치환된 고분자 리간드가 나노입자의 표면 성질을 개질하는 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싸이올 기능기와 금속 나노입자간의 특정한 결합은 높은 온도에서는 매우 불안정하다. 본 연구진은 UV 경화가 가능한 azide 그룹을 고분자 리간드에 도입하여 열적으로 매우 안정한 금나노입자를 합성하여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더 나아가 표면 성질이 개질된 열적으로 안정한 금나노입자를 얻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극성인 UV 경화 가능한 azide와 무극성인 스티렌의 공급 몰 비를 각각 다르게 해서 다양한 UV 경화성 고분자 리간드를 합성하였다. 이를 이용해 합성한 금나노입자는 열적으로 매우 안정하였으며 PS-b-PMMA와 같은 블록공중합체 매트릭스 내에서 금나노입자의 위치를 한 도메인에서 계면으로 정교하게 조절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리냉동식품의 가공 및 저장중 품질안정성 : (Ⅳ) 고등어버어거의 동결저장 안정성 (Processing and quality stability of precooked frozen fish foods : (Ⅳ) Quality stability of mackerel based burger during frozen storage)

  • 이응호;김진수;안창범;주동식;이정석;손광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1호
    • /
    • pp.58-63
    • /
    • 1993
  • 고등어버어거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동결저장중 품질안정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조직후 고등어버어거의 수분함량 및 조지방함량은 각각 $60.2{\sim}61.5%,\;14.7{\sim}14.9%$ 범위이었다. 저장중 세 제품 모두 pH는 다소 감소하였고, 휘발성염기질소함량은 약간 증가하였다. 고등어버어거의 제조직후 histamine함량은 $2.60{\sim}2.81\;mg/100g$ 범위이었고, 저장중 약간씩 증가하여 저장 60일에는 $5.24{\sim}9.28\;mg/100g$이었으나 세 제품 모두가 식중독 한계값과는 상당히 차이가 있었다. 동결저장중 고등어버어거의 과산화물값, 카르보닐값, TBA값, 지방산조성 및 색조는 항산화제인 sodium erythorbate를 첨가하여 제조한 제품과 진공포장한 제품이 함기포장한 대조제품보다 변화폭이 적었다. 텍스튜어는 저장중 경도와 질김성은 증가하였고, 탄성과 응집력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관능검사의 결과 저장중 색조, 냄새, 조직감 및 맛은 저하하였고 그 저하폭은 항산화제 첨가제품이 가장 적었고, 다음으로 진공포장한 제품의 순이었으며, 두 제품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함기포장한 대조제품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고등어버어거 제조시 항산화제인 sodium erythorbate를 첨가하여 제조하거나 진공포장함으로써 가공 및 저장중 지질산패 및 산화변색과 같은 저장중 품질변화를 억제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Effects of PEGylated scFv Antibodies against Plasmodium vivax Duffy Binding Protein on the Biological Activity and Stability In Vitro

  • Kim, So-Hee;Lee, Yong-Seok;Hwang, Seung-Young;Bae, Gun-Won;Nho, Kwang;Kang, Se-Won;Kwak, Yee-Gyung;Moon, Chi-Sook;Han, Yeon-Soo;Kim, Tae-Yun;Kho, Weon-Gy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0호
    • /
    • pp.1670-1674
    • /
    • 2007
  • Duffy binding protein (DBP) plays a critical role in Plasmodium vivax invasion of human red blood cells. We previously reported a single-chain antibody fragment (scFv) that was specific to P. vivax DBP (PvDBP). However, the stabilization and the half-life of scFvs have not been studied. Her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EGylated scFvs on their biological activity and stability in vitro. SDS-PAGE analysis showed that three clones (SFDBII-12, -58, and -92) were formed as monomers (about 70 kDa) with PEGylation. Clone SFDBII-58 gave the highest yield of PEGylated scFv. Binding analysis using BIAcore between DBP and scFv showed that both SFDBII-12 and -58 were decreased approximately by two folds at the level of binding affinity to DBP after PEGylation. However, the SFDBII-92 clone still showed a relatively high level of binding affinity ($K_D=1.02{\times}10^{-7}\;M$). Binding inhibition assay showed that PEGylated scFv was still able to competitively bind the PvDBP and playa critical role in inhibiting the interactions between PvDBP protein expressed on the surface of Cos-7 cells and Duffy receptor on the surface of erythrocytes. When both scFvs and their PEGylated counterparts were exposed to trypsin, scFv was completely degraded only after 24 h, whereas 35% of PEGylated scFvs remained intact, maintaining their stability against the proteolytic attack of trypsin until 72 h.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Gylated scFvs retain their stability against proteolytic enzymes in vivo, with no significant loss in their binding affinity to target antigen, DBP.

종합비타민 액제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Stability of Multivitamin Solutions)

  • 박홍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1호
    • /
    • pp.39-45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종합비타민 액제중의 비타민 A, $B_1,\;B_2,\;B_6$, C의 안정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경시함량 변화 및 분해속도를 동력학적으로 검토하였다 종합 비타민 액제의 제조에 있어서 지용성 비타민의 가용화를 위하여 계면활성제인 polysorbate 80과 용해보조제인 프로필렌글리콜을 병용하므로써 첨가제의 양을 최소화시킬 수 있었다. 종합 비타민 액제의 안정성 평가를 위한 가속시험에서 heterogenous solution system에서의 반응 기작이 그대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겠지만 비타민 A는 zero-order, 비타민 $B_1$과 C는 first-order kinetics에 따르는 분해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Arrhenius식을 이용하여 구한 비타민 A, $B_1$, 및 C의 활성화 에너지는 각각 26.27, 21.67 및 23.50 kcal/mol이고 상온$(25^{\circ}C)$에서의 유효기간은 각각 1493, 449 및 639일 이었다. 그리고 비타민 $B_2$ 광퇴색 속도식은 first-order kinetics의 분해양상을 나타내었으나 광희색 반응에 미치는 비타민 $B_2$ 초기농도$(C_0)$ $0.544{\times}10^2{\sim}1.632{\times}10^{-2}M$의 영향을 고려하여 비타민 $B_2$의 광퇴색 반응은 다음과 같은 속도식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frac {dc}{dt}}=K_{c}\;{\frac C{C_0}}$ $K_c\;:\;C_0$에 따르는 상수 비타민 $B_6$의 안정성은 인공광원보다 태양광선에 의한 비타민 $B_6$의 광분해가 촉진되었고 그리고 태양광선에 의한 계절에 따른 분해는 모두 비슷하였다. 한편 용기에 의한 비타민 $B_6$의 광분해는 폴리에틸렌용기>갈색유리병>투명유리병 순으로 안정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종합비타민 액제 설계의 안정성의 기초적 실험에 기여되리라고 사료된다.

  • PDF

해양세균 Pseudoa/teromonas psicida TA20의 색소 추출물의 물리화학적 안정성과 생리활성 (The Physicochemical Stabili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Pigment Extract from Marine Bacterium Pseudoalteromonas psicida TA20)

  • 박진숙;정동우;강명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132-1138
    • /
    • 2009
  • 해양세균 Pseudoalteromonas psicida TA20의 ethanol 색소 추출물에 대한 안정성과 기능성을 검토한 결과, 본 해양세균 색소는 pH 4.0에서 pH 8.0의 조건과 $40^{\circ}C$ 이하에서 매우 안정하였으며, $25^{\circ}C$ 14일간 90% 이상의 잔존율을 나타내어 빛에 대한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속이온의 경우 $Al^{3+}$$Cu^{2+}$를 제외한 실험된 모든 금속이온에 대하여 매우 안정하였으며 특히, 다른 색소추출물들에 비해 $Fe^{2+}$에 대한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세균 색소추출물에 대한 생리활성 실험 결과, free radical 소거 활성 (3495 ${\mu}g/ml$)이 나타났으며, 색소농도 10 ${\mu}g/ml$일 때 44%의 인체세포 DNA 손상 회복능이 있음을 보여 항산화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요 식품유해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해양세균 색소는 항산화능과 항균활성을 갖는 식품 색소로의 적용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볶은 대두로부터 착유한 대두유의 산화 안정성 및 향기 기호도 (The Oxidation Stability and Flavor Acceptability of Oil from Roasted Soybean)

  • 임무혁;최종동;최광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5호
    • /
    • pp.425-430
    • /
    • 1995
  • 대두의 볶음 처리와 정제 처리가 대두유의 산화 안정성과 향기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45^{\circ}C$, 형광하에서 저장하면서 측정한 과산화물가는 볶은 대두에서 착유한 원유(原油)(crude oil from roasted soybean, CORS)보다 볶지 않은 대두에서 착유한 원유(原油)(crude oil from unroasted soybean, COUS)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Rancimat법에 의한 유도 시간은 COUS가 44.9시간, CORS는 88.7시간 이상으로 나타났다. 정제 단계별 시료들의 과산화물가 변화에 의한 산화 안정성은 원유(原油)>탈검유>탈산유>탈취유>탈색유의 순서인 반면, Rancimat법에 의한 유도 시간을 지표로 하였을 때는 원유(原油)>탈검유>탈취유>탈산유>탈색유의 순으로 나타났다. 정제 과정별 시료들의 유도 시간-갈변도와 유도시간-phosphorous의 함량간에는 고도의 유의 상관을 보였으나, 유도 시간-tocopherols 함량간에는 유의 상관이 없었다. 볶은 후 착유한 원유(原油), 참기름과 시판 대두유의 향기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참기름이 9.269로 나타났고, CORS는 8.269였지만 이 두 시료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 PDF

깍뚜기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순간 열처리 및 혼합염 첨가의 병용효과 (Combined effects of salts mixture addition and microwave heating on storage stability of Kakdugi)

  • 김종군;윤정원;이정근;김우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3호
    • /
    • pp.225-230
    • /
    • 1991
  • 깍뚜기 제조시 절임액에의 KCI 첨가, microwave 열처리 및 인산염, nitrate, 구연산염 등 혼합염의 첨가가 저장성 향상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밝히고져 이들 첨가나 처리를 단독 또는 병행하여 깍두기 발효중 pH, 총산도, 환원당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절임시 KCI의 첨가와 발효중 염혼합물의 첨가는 $25^{\circ}C$에서 발효와 저장을 하였을 때 신맛이 지나치게 나타나는 pH4.0에 도달하는 시간이 대조구에 비하여 약 6.4배의 연장점이 밝혀졌으며, $25^{\circ}C$에서 발효시킨 뒤(약 pH4.4) 염혼합물을 넣고 $4^{\circ}C$에서 저장하였을 경우 같은 방법으로 처리한 뒤 $25^{\circ}C$에서 저장한 경우보다 약 8배 이상의 저장기간이 향상됨이 밝혀졌다. 한편 총산도의 변화는 염혼합물의 첨가나 열처리가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절임시 KCI 첨가와 microwave 열처리만의 병용은 pH 변화 억제에 뚜렷한 영향이 없었다. 발효중 환원당 함량의 변화는 $4^{\circ}C$$25^{\circ}C$ 저장의 경우 절임시 KCI 첨가나 절임 깍뚜기 무우의 microwave 열처리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혼합염을 첨가하여 저장하였을 때는 대조구에 비하여 완만한 감소현상이 뚜렷하였다.

  • PDF

대두(大豆) 및 대두가공품(大豆加工品) 첨가(添加)에 따른 유지안정성(油脂安定性) (Stability of Lipids by Adding Soybean and Soybean Products)

  • 임춘선;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4호
    • /
    • pp.328-334
    • /
    • 1987
  • 대두(大豆) 및 대두가공품첨가(大豆加工品添加)에 따른 유지안정성(安定性)을 검토하기 위하여 대두유(大豆油)에 대두(大豆) 및 대두가공품(大豆加工品)의 용매추출물(抽出物)을 첨가하고 또한 Ramyon을 제조할 때 대두(大豆) 및 대두가공품(大豆加工品)을 첨가하여 그 유지(油脂)의 산가(酸價),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 TBA가(價)를 측정(測定)하였다. 1. 대두유(大豆油)에 대한 항산화효과(抗酸化?果)는 분리대두단백추출물(分離大豆蛋白抽出物)이 가장 크고 탈지대두추출물(脫脂大豆抽出物), 대두열수추출물(大豆熱水抽出物)이 그 다음가고 탈지대두(脫脂大豆) Ethanol추출물(抽出物)도 유효(有效)하였으나 대두냉수추출물(大豆冷水抽出物)은 효과(?果)가 거의 없었다. 2. Ramyon지질(脂質)에 대하여 저장기간마다 산가(酸價),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 및 TBA가(價)의 변화는 분리대두단백가수분해물(分離大豆蛋白加水分解物)이 가장 변화(變化)가 적었고 탈지대두가수분해물(脫脂大豆加水分解物), Tempeh, Tempeh추출물(抽出物), 탈지대두분말(脫脂大豆粉末)첨가 순으로 큰 변화(變化)를 보여 대체적으로,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첨가는 매우 효과적인 산화방지작용(酸化防止作用)을 나타냈다.

  • PDF

Bacillus sp. CW-1121이 생성하는 효소를 처리한 참깨박 단백질의 기능성 (Functional properties of protein from defatted sesame meal using the enzyme from Bacillus sp. CW-1121)

  • 최청;천성숙;조영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3호
    • /
    • pp.172-177
    • /
    • 1993
  • 참깨박에 함유되어 있는 불용성 형태의 단백질을 Bacillus sp. CW-1121이 생성하는 효소를 이용하여 가용성 형태의 단백질로 용출시키기 위하여 효소를 작용시켰다. 효소 처리 참깨박 단백질의 기포 형성력은 염용성 단백질이 수용성 단백질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기포 안정성은 염용성 단백질이 10분 이내 크게 감소된 반면 수용성 단백질의 기포 안정성은 30분 까지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유화력은 각 단백질의 등전점 부근에서 가장 낮았으며, 염용성 단백질이 수용성 단백질에 비해 낮았다 유화 안정성은 유화력과 비슷한 크기로 나타나 $80^{\circ}C$에서의 30분 가열에서도 이들 단백질이 열에 안정함을 보였다. 유지 및 수분 흡착력은 염용성 단백질이 수용성 단백질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