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geographic island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Seoul, Keep Your Paddies! Implications for the Conservation of Hylid Species

  • Borzee, Amael;Ahn, Jaeha;Kim, Sanha;Heo, Kyongman;Jang, Yikwe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1권3호
    • /
    • pp.176-181
    • /
    • 2015
  • Biodiversity is plummeting worldwide, and the major causes of such decline include habitat degradation and climate change. While cities do contribute to the negative impact to the environment, they can also serve as strategic centres for conservation programs. Sites qualifying as biogeographic islands within metropolitan Seoul were studied for the occurrence of two hylid species: the endangered Hyla suweonensis and the abundant H. japonica.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neither habitat diversity nor surface area, but solely the occurrence of aggregated rice paddies is a requisite for H. suweonensis, hypothetically due to its strict breeding requirements. On the contrary, H. japonica occurrence was not affected by any of these factors, and all types of habitats studied were adequate for this species. The presence of an endangered species within the boundaries of one of the most populated metropolises suggests a strong natural resilience, which should be enhanced with appropriate actions. We emphasize that the management plans therein can, and should, be used as the first step in the conservation of H. suweonensis in metropolitan Seoul.

Phylogeography of the Lessonia variegata species complex (Phaeophyceae, Laminariales) in New Zealand

  • Zuccarello, Giuseppe C.;Martin, Peter
    • ALGAE
    • /
    • 제31권2호
    • /
    • pp.91-103
    • /
    • 2016
  • A goal of phylogeography is to relate phylogenetic patterns to potential historic and contemporary geographic isolating events. Genetic breaks found in phylogeographic studies may denote boundaries between more generally applicable biogeographic regions.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Lessonia variegata, an important habitat forming alga, found on most rocky shores around New Zealand’s main islands, plus related species from surrounding waters. L. variegata has been shown to consist of four distinct cryptic species. Our aim was to compare the distribution of L. variegata with proposed bioregions; and to develop phylogeographic hypotheses to explain its present day distribution. Both a mitochondrial (atp8-sp) and plastid (RuBisCo spacer) marker, with different mutation rates, were used to gain information of the phylogenetic history of Lessonia. The data revealed high phylogeographic structuring and reciprocal endemism for all L. variegata cryptic species. One species (L. variegata / N) is confined to the northern part of the North Island of New Zealand; L. variegata / W is found at the southeast of the North Island and the northern South Island; L. variegata / K is endemic to the northeast South Island; and L. variegata / S is restricted to the southern part of the South Island. No overlapping areas of L. variegata species distribution were found. The data showed that genetic breaks in Lessonia do mostly correlate to bioregions, and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ape Campbell at the northeast of the South Island and East Cape in the North Island, well known phylogeographic breaks, as a barrier between adjacent species.

우리나라 무인도서의 귀화식물 분포에 대한 섬생물지리적 연구 (Island Biogeographic Study on Distribution Pattern of the Naturalized Plant Species on the Uninhabited Islands in Korea)

  • 정재민;홍경낙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6호
    • /
    • pp.489-494
    • /
    • 2006
  • 우리나라 남 서해안에 분포하는 261개의 무인도서에 대해, 생태계 보전과 귀화식물종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섬생물 지리학적 방법론에 의한 귀화식물종의 분포와 확산 pattern 및 섬의 지리적 환경과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조사된 261개 도서 중 귀화식물 종은 229(87.7%)개 도서에서 총 106종이 관찰되었다. 도서 당 귀화식물 종수는 평균 4.6 $\pm$ 4.07)이었으며, 서해그룹보다 남해그룹에 속한 도서에서 많았다. 귀화식물 종당 관찰된 무인도서 수는 평균 12.9 $\pm$ 25.92)개였고, 100개 이상의 도서에서 관찰된 종은 귀화도(5등급)가 높은 소리쟁이(R. crispus L.; 153개)와 개망초(E. annuus Pers.; 130개), 망초(C. canadensis (L.) Cronquist; 121개)의 3종이었다. 106개 귀화식물 종의 출현 빈도에는 도서 면적과 육지와의 최단거리, 인간간섭 강도 및 위 경도 등이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면적(r=0.182)보다는 최단거리(r=-0.330)와의 상관성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분석 결과 귀화식물 종수는 도서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육지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종수가 증가하였으나, 인간 간섭 효과는 매우 낮았다. 회귀 분석 결과, 106종의 귀화식물 종의 분포는 육지와의 최단거리가 10.9%의 설명력으로 제일 높았으며, 면적을 추가했을 경우에는 회귀 직선으로 귀화종수 변화의 21.8 %까지 설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무인도서에서 귀화식물의 관리와 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라남도 도서지역 귀화식물의 도서생물지리학적 특성 (Island-Bio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 in Jeollanamdo Islands)

  • 김현희;김다빈;전철현;김찬수;공우석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4호
    • /
    • pp.272-289
    • /
    • 2017
  • 본 연구는 전라남도 도서지역 귀화식물의 분포 현황을 도서생물지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유인도 47곳, 무인도 194곳의 식물상 자료를 분석한 결과 귀화식물은 30과 134종이 분포한다. 분포역이 가장 넓은 종은 소리쟁이(Rumex crispus)로 모두 141곳의 도서에 분포한다. 도서별 평균 귀화식물 종수는 유인도 20.6종(${\pm}14.22$), 무인도 3.7종(${\pm}3.89$)이다. 도서별로는 여수시 금오도가 59종으로 가장 많다. 자생식물 대비 귀화식물의 비율인 귀화율은 유인도서 7.66%(${\pm}3.96$), 무인도서 4.97%(${\pm}3.70$)이다. 지역별로는 전라남도 서해 도서지역 귀화율이 5.92%(${\pm}4.49$)로 남해 도서지역 4.96%(${\pm}2.15$)보다 높다. 특히 유인도서 내 귀화율은 서해 도서지역 8.39%(${\pm}4.37$), 남해 도서지역 5.80%(${\pm}1.41$)로 그 차이가 더 크다. 도서지역 귀화식물 귀화율은 섬의 크기와 유의한 양의 관계(r=0.412, p<0.01)를 갖지만, 육지로부터의 거리, 해발고도와의 상관성은 유의하지 않다. 법정 생태계 교란종은 8종이 분포하며 종에 따라 분포역에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도서 및 지역 간 차이는 물리적 환경 차이와 함께 육지와의 왕래 정도, 경작에 따른 토지 간섭 등 자연 및 인문 환경요인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도서지역은 서식지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종이나 각종 환경 변화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도서지역 외래종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하다.

울릉도, 독도 초종용에서 형태 변이와 지리적 분포 양상 (Morphological variation and aspects of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 ex Willd. (Orobanchaceae) on Ulleung-do and Dok-do Islands)

  • 이웅;정금선;최경;김진석;조성호;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05-412
    • /
    • 2016
  • 한국내의 초종용은 한반도의 서해, 남해, 동해의 해안가 및 도서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본 연구는 울릉도와 독도를 중심으로 12개 자생지에서 초종용의 종내 형태형질 변이를 관찰하고 지리적 분포 양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외부 형질(줄기, 잎, 포엽, 꽃받침 그리고 화관)에서 털의 유무에 의하여 두 개의 type (G-type, glabrous; P-type, pilose)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두 개의 형태학적 type은 확인된 자생지에서 뚜렷한 지리적 분포 양상을 보여주었다. 한반도와 제주도에는 P-type, 울릉도에는 G-type과 P-type 그리고 독도의 동도에는 G-type만이 관찰되었다. 초종용은 외부 형태 형질에 의하여 서로 다른 두 개의 type이 확인되고 뚜렷한 지리적 분포 양상을 보여주기 때문에, 털이 없어지는 형태적 변이가 단순히 일시적인 우연의 결과물이 아니라 초종용 내에 이주 및 군체 형성의 과정을 동반하는 진화적으로 서로 다른 계통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제한된 지역에서 분포하는 독도의 초종용은 유일하게 G-type 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독도 자생종의 의미와 함께 중요한 식물지리학적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생지 보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