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diversity measures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6초

국가 보호지역 확대를 위한 기타 효과적인 지역 기반 보전 수단(OECMs)의 발굴 (Identifying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 for Expanding National Protected Areas)

  • 홍진표;심윤진;허학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93-105
    • /
    • 2017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integrated system of national protected areas by identifying OECMs which are not officially recognized as protected areas, but effectively and enduringly deliver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 to expand them up to the level recommend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order to identify them, candidates for OECMs were listed and it was developed a three-step systematic screening tool based on preconditions, essential characteristics, and sustainable means for conservation outcome of them. As a result of using the tool that considers domestic conditions, seven areas which included Development Restriction Zones, Urban Natural Park Areas, Fishery Resources Protection Zones, Riparian Zones, Natural Recreation Forest Zones, Water Source Protection Areas, and Buffer Zones for Korea National Arboretum were selected as OECMs. And the system of national protected areas was built by integrating them with national protected areas(NPA). Compared with the NPA, the system has been expanded by them and has reached to 17.88%, exceeding the target of 17% for terrestrial and inland water protections. It was proven that they were very effective in enlarging these protections. However, it failed to contribute to the target for marine protections. The expansion of marine protected areas requires different approaches, such as discovering new types of marine protected areas or linking them to biologically important marine areas all over the world.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의 Bcl-xL 조절에 의한 HL-60 세포의 아폽토시스(Apoptosis) 유도 (Induction of Apoptosis by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in Human Leukemia HL-60 Cells through Bcl-xL Regulation)

  • 김길남;김상범;윤원종;양경식;박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408-1414
    • /
    • 2008
  • 왕지네 에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분획물 중 디클로로메탄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HL-60 세포 성장이 강하게 억제되었다. 또한, 디클로로메탄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처리하였을 때 apoptosis의 특징인 DNA 절편화, 핵의 응축과 apoptotic body가 관찰되었다. 이는 왕지네 분획물의 암세포성장 억제가 apoptosis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디클로로메탄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apoptosis 유도는 anti-apoptosis 단백질인 Bcl-xL의 억제를 통하여 apoptosis 유도가 시작되고 세포사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casapse-3과 PARP의 활성을 일으켜 apoptosis를 유도하였다. 본 연구는 왕지네의 항암효과를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기능성식품이나 항암제로 개발할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향후 왕지네를 이용한 제품의 개발을 위해서는 유효성분의 동정 및 그 성분의 작용 기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Species diversity, relative abundance, and decline of flying insects in a fragmented forest in Futa Akure, Ondo State, Nigeria

  • Temitope A. Olatoye;Ohseok, Kwon;Kayode L. Akinwande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5권1호
    • /
    • pp.10-20
    • /
    • 2024
  • The study investigated species diversity, relative abundance, and decline of flying insects and plants within a fragmented forest in the Federal University of Technology Akure (FUTA), Ondo State, Nigeria. It is known that habitat fragmentation can reduce biodiversity. Thus, it is important to perform comprehensive assessments to understand implications of the habitat fragmentation for flora and fauna.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of flying insects and plants across fragmented forest patches were quantified using field surveys and taxonomic identification. This study revealed shifts in species diversity, with fragmented areas exhibiting reduced biodiversity compared to contiguous forest ecosystems. Flying insects crucial for ecosystem functioning and pollination services demonstrated decreased species richness and relative abundance within fragmented habitats. This decline was attributed to habitat loss, altered microclimates, and limited movement pathways known to hinder insect dispersal. Similarly, plant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showed decline in fragmented forest due to disrupted mutualistic interactions with pollinators, altered nutrient cycling, and increased competition among plant species.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intact forest habitats to sustain healthy ecosystems and preserve biodiversity. Effective conservation strategies should focus on habitat connectivity, reforestation efforts, and protection of essential ecological corridors to mitigate effects of fragmentation. In conclusion, this investigation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effects of habitat fragmentation on flying insects and plants in a forest ecosystem in FUTA Akure, Nigeria. Findings emphasize an urgency of adopting conservation measures to safeguard these invaluable components of biodiversity and ecosystem stability in the face of ongoing habitat loss and fragmentation.

자연유산의 '기타 효과적인 지역기반 보전수단(OECMs)' 등재기준 적용 연구 - 천연기념물 노거수와 당산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OECMs) for Natural Heritage - Focusing on the Old Big Trees of Natural Monument and Dangsan Ritual -)

  • 전다슬;신현실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9
    • /
    • 2022
  • 본 연구는 문화재청의 국가유산 체계상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천연기념물 식물 노거수를 중심으로 OECMs 관련 지정기준을 적용하여 발굴결정인자를 비교 검토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기관에서 각 보호목적에 따라 지정·관리되는 보호지역들 가운데 이미 육상지역은 포화상태로 2030 생물다양성목표를 이행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보전수단인 OECMs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OECMs은 현재 내 보전의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장기성과를 달성하는 방식으로 통치되고 관리되는 보호지역이 아닌 지리적으로 정의된 지역(CBD, 2018)으로 지정기준의 단어선택이나 적용기준의 범위, 해석의 맥락은 각기 다를 수 밖에 없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각 나라의 상황에 맞는 OECMs의 관련 법령을 따로 제정하고 정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천연기념물 식물의 OECMs 지정기준 검토 결과 최종 58개소가 발굴되었고. OECMs지정 기준 중 중요한 요소는 완충구역은 지정구역과는 어느 정도 이격되어 일정의 면적을 확보하고 있어야 하며 상업생산을 통한 경제활동이 일어나지 않고 생물다양성의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는 것이다. 잠재자원 중 대구 도동 측백나무숲과 같이 지형적으로 격리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지역과 삼척 궁촌리 음나무와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숲과 같은 수림지 유형처럼 완충구역의 생물다양성이 확보될 수 있는 완전성이 보장된 경우로 총 23개소로 분석되었다. 천연기념물 식물의 OECMs 적용기준 검토 결과 생물다양성의 충족가치 중에 전통용도로서의 기능이 특화되어 있었으며 생태계 서비스와 문화·영적인 가치를 한국의 독특한 문화인 노거수와 당산제 문화를 통해 계승하고 있었다. 이는 생물다양성 지정기준 측면에서 새로운 생물종의 발굴없이도 인간과 자연의 생태계 네트워크 연결에 중요한 요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큰비쑥(Artemisia fukudo)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The Cytotoxicity of Artemisia fukudo Extracts Against HL-60 Cells)

  • 김길남;이정아;윤원종;김지영;송관필;박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819-824
    • /
    • 2007
  • 본 연구는 큰비쑥를 80% EtOH로 추출하고 극성에 따른 용매분획을 실시하여 혈핵암 세포주를 대상으로 분획별에 따른 암세포 증식억제(cytotoxicity) 효과와 이러한 혈액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가 세포자연사(apoptosis)에 의해 일어나는 것인지, 몇 가지 apoptosis 유도 실험을 통해 확인해 보았다. HL-60 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는 전반적으로 모든 처리구에서 농도의존적인 세포증식 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헥산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서 가장 강한 세포성장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세포성장 억제효과가 apoptosis 유도에 의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apoptosis 유도에 의한 세포사멸의 특징인 DNA 단편화 현상을 비롯하여 세포형태학적 변화 및 유동세포분석기를 통한 DNA content를 측정한 결과, 큰비쑥 추출물에 의한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는 apoptosis를 유도하여 세포자연사를 통해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목표 성취를 위한 우리나라 OECM의 개별 평가 기준 연구 - 국립가리왕산자연휴양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ite-Level Assessment Criteria of OECM in Korea for Achieving Kunming-Montreal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 Focusing on the National Gariwang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

  • 심윤진;성정원;이경철;권형근;이다현;안종빈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28
    • /
    • 2024
  • In order to achieve the management goals (30by30) mandated by the Kunming-Montreal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this study established the site-level assessment criteria for OECMs, tailored to domestic circumstances using the Delphi analysis. Subsequently, a site-level assessment was conducted on the National Gariwang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itial step involved presenting criteria for the site-level assessment of OECMs, with 'consent for the assessment and recognition of OECM by competent and management authority' proposed as a prerequisite. Subsequently, seven evaluation criteria were established, including 'other than a legally protected area', 'spatially separated area with defined boundaries', 'effective in-situ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sustainable management based on the competent and management authority', 'long-term sustainability of conservation outcomes', and 'provision of ecosystem services'. The results of applying site-level assessment criteria to the National Gariwang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indicate that six criteria were met, while one criterion (sustainable management based on the competent and management authority) requires further improvement. Specifically, the key competent and management authorities for the National Gariwang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are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the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 Management Office, with competent and management organizations established. However, the management focus is primarily on providing forest recreation services centered on users and facilities, making it difficult to confirm the long-term biodiversity conservation plans and implementation by the competent and management authorities.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improve the long-term biodiversity conservation plans and implementation for the recognition of the National Gariwang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as an OECM.

Post-2020 국가 보호지역 목표 설정을 위한 국제동향 고찰 - 생물다양성협약 결정문 및 글로벌 목표 성취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 (A Review on the International Trends for Establishing Post-2020 National Targets Relevant to Protected Areas - Focused on the CBD Decisions and Aichi target-11 Achievement Status -)

  • 허학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01-609
    • /
    • 2020
  • 본 연구는 생물다양성협약(CBD)의 보호지역 관련 주요 논의 동향을 분석하고 2020 생물다양성목표(Aichi target-11)의 성취 정도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의 보호지역 관련 Post-2020 국가 정책방향 및 목표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생물다양성협약의 보호지역 관련 결정문으로는 1995년 채택된 2개의 결정문(Decision II/7, II/8)을 시작으로, 제7차 당사국총회(2004)에서 보호지역 관련 이상적인 청사진을 제시한 보호지역실행프로그램(PoWPA)을 채택(Decision VII/28)하였다. 2010년에 보호지역 관련 핵심 이슈 10가지를 제시한 Decision X/31과 함께 "생물다양성 전략계획 2011-2020" 중 하나로 보호지역 관련 목표인 Aichi Target-11이 설정되었다. Aichi Target-11 성취 현황을 살펴보면 글로벌 차원에서 육상은 지구 토지면적의 15%, 해양의 7.4%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우리나라는 육상 16.63%, 해양 2.12%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효과적이고 공정한 관리,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서비스에 중요한 지역 보호, '기타 효과적인 지역기반 보전수단(OECMs)'을 밝혀내고 보호지역과 연계하는 것 등은 글로벌 목표 성취에 많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프레임워크(Post-2020 GBF)의 초안을 살펴보면 1차 초안('20.1월)에서는 다단계의 목표를 제시하고 있는데, 2030년 까지 생물다양성에 있어 특별히 중요한 지역의 최소 60% 보호, 전체 육지 및 해양 지역의 최소 30% 보호, 이 중 최소 10%는 엄격한 보호(strict protection)를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개정된 초안('20.8월)에서는 이를 간결하게 2030년 까지 전 지구의 최소 30%라는 하나의 양적 목표를 제시하고, 이들 지역이 "생물다양성 보전에 중요한 지역을 중심으로 효과적이며 잘 연결된 보호지역과 OECMs 시스템"을 통해 보호 및 보전되어야 한다는 질적 목표를 가미하였다. Post-2020 GBF의 보호지역 관련 목표와 우리나라의 현황 및 기 수립된 국가계획 내용 반영을 통한 국가 목표를 제안해 보면, 육상의 경우 국토면적의 30%, 해양의 경우 관할해역의 10% 정도로 설정하고 질적인 부분의 성취를 위한 세부 목표(sub-targets) 설정을 통해 성취 수단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논문 - 지속가능한 농어촌 지역개발을 위한 정책 방향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Directions to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 임상봉;정해창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01-110
    • /
    • 2011
  • There are found rare specific alternatives for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although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come popular common concept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arena. Korea is trying to reform rural development by introducing a block grants system since 2009 expecting for the efficiency of development investment. However, it seems that such new rural development system is far from realiz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to identify the roles and issue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policy and to suggest a policy model for realizing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Based on the policy model hypothetically established, some policy alternatives were suggested: (i) the establishment of land use system considering sustainability perspectives; (ii) the preparation of environment management measures considering topographical traits; (iii) the improvement of landscape support scheme toward increasing biodiversity; (iv) the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agriculture-environment measures; (v) the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projects linking production to housing; (vi) the inclusion of sustainability indicators in rural development evaluation system.

  • PDF

Potential impact of climate change on plant invasion in the Republic of Korea

  • Adhikari, Pradeep;Jeon, Ja-Young;Kim, Hyun Woo;Shin, Man-Seok;Adhikari, Prabhat;Seo, Changw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4호
    • /
    • pp.352-363
    • /
    • 2019
  • Background: Invasive plant species are considered a major threat to biodiversity, ecosystem functioning, and human wellbeing worldwide. Climatically suitable ranges for invasive plant species are expected to expand due to future climate change. The identification of current invasions and potential range expansion of invasive plant species is required to plan for the management of these species. Here, we predicted climatically suitable habitats for 11 invasive plant species and calculated the potential species richness and their range expansions in different provinces of the Republic of Korea (ROK) under current and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RCP 4.5 and RCP 8.5) using the maximum entropy (MaxEnt) modeling approach. Results: Based on the model predictions, areas of climatically suitable habitats for 90.9% of the invasive plant species are expected to retain current ecological niches and expand to include additional climatically suitable areas under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Species richness is predicted to be relatively high in the provinces of the western and southern regions (e.g., Jeollanam, Jeollabuk, and Chungcheongnam) under current climatic conditions. However, under future climates, richness in the provinces of the northern, eastern, and southeastern regions (e.g., Seoul, Incheon, Gyeonggi, Gyeongsangnam, Degue, Busan, and Ulsan) is estimated to increase up to 292%, 390.75%, and 468.06% by 2030, 2050, and 2080,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urrent richness. Conclusions: Our study revealed that the rates of introduction and dispersion of invasive plant species from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are relatively high and are expanding across the ROK through different modes of dispersion. The negative impacts on biodiversity, ecosystem dynamics, and economy caused by invasive plant species will be high if preventive and eradication measures are not employed immediately. Thus,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policymakers for the management of invasive plant species and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생물다양성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과 그 대책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biodiversity and measures for them)

  • 안지홍;임치홍;정성희;김아름;이창석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74-48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지구적 차원에서 생물다양성의 성립 배경과 그동안 일어난 변화 그리고 기후변화가 생물다양성 및 인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그 영향을 줄이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생물다양성은 생명체의 풍부한 정도이며, 생물을 구분하는 모든 수준에서의 다양성을 종합적으로 의미한다. 즉, 생물다양성은 유전자, 종 그리고 생태계 전반과 그들의 상호작용을 아우른다. 이는 생태계의 기반을 구성하며, 모든 사람들이 필수적으로 의존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생물다양성은 주로 인간 활동에 의해 점점 더 위협받고 있다. 지구상의 생물은 생명이 탄생한 이래 약 40억년의 역사를 통해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고 진화한 결과, 약 1000만 내지 3000만종으로 추정되는 다양한 생물이 존재하게 되었다. 생물다양성을 구성하는 무수한 생명들은 각각의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관계 속에 얽혀 있다. 우리들이 현재 생활하고 있는 지구의 환경도 이러한 생물체의 방대한 연관성과 상호작용에 의해 긴 세월 동안 만들어져 왔으며, 인류도 하나의 생물로서 다른 생물들과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주위의 생물들이 없다면 사람도 살아갈 수 없다. 그러나 인류는 최근 수 백 년 간 과거의 평균 멸종속도를 1000배 가량이나 가속시켜 왔다. 우리는 미래 세대의 풍요로운 삶을 위해서라도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는 한편, 지속가능하게 이용할 책임이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어느 국가보다도 빠른 경제 성장을 이루어왔으나, 동시에 이는 남북으로 길게 뻗은 반도 국가라는 지리적 특성에 의해 본래 풍부했던 생물다양성을 빠르게 소실시키는 결과를 야기하였다. 한국인은 오랫동안 농업, 임업 그리고 어업을 해오는 과정에서 자연과의 공존을 통해 독특한 고유의 문화를 창조하였다. 그러나 근래 서구문명의 유입과 과학 기술의 발전 과정에서 이러한 자연과의 관계는 멀어지게 되었으며, 자연과 문화 사이의 조화로운 조합에 의해 창출된 고유한 풍토는 점점 더 사라지고 있다. 한국의 인구는 세계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과는 반대로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인구 감소에 의한 자연의 회복에 발맞추어 급속한 인구 증가 및 경제 성장으로 인해 훼손된 생물다양성을 복원할 필요가 있다. 지구상에 생명이 탄생한 이래 다섯차례의 대멸종이 있었다. 현대의 대멸종은 매우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며, 인간 활동에 의한 영향이 주요 원인인 점에서 이전의 것과 구분된다. 기후변화는 실제로 일어나고 있으며, 생물다양성은 이러한 변화에 매우 취약하다. 만약 생명체가 변화하는 환경에서 '진화를 통한 적응', '생존가능한 다른 지역으로의 이주' 등과 같은 생존 방법을 찾아내지 못한다면 이들은 절멸할 것이므로, 기후변화가 지속된다면 생물다양성은 극도로 훼손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훼손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후변화가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적극적이고 심도있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생물계절의 변화, 식생 이동을 비롯한 분포 범위의 변화, 생물 간 상호작용의 부조화, 먹이 사슬 이상에 기인한 번식 및 생장률 감소, 산호초 백화현상 등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으로 등장하고 있다. 질병의 확산, 식량 생산 감소, 작물 경작지 범위 변화, 어장 및 어업시기의 변화 등은 인간에 대한 영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우리는 온실 가스 배출량을 감소시켜 기후변화 완화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가 온실가스 배출을 당장 멈추더라도, 기후변화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이런 점에서, 기후변화 적응 전략을 준비하는 것이 더 현실적이 될 수 있다. 생물다양성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의 지속적 모니터링 및 보다 적합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이 선행과제가 될 수 있다. 생물다양성이 성립할 수 있는 생태적 공간의 확보, 이동 보조 및 남북을 이어주는 수평 및 저지대와 고지대를 이어주는 수직적 생태네트웍이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다양성의 적응을 돕는 대안으로 추천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