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availability human health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8초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Oral Controlled Release Delivery System for Melatonin

  • Lee, Beom-Jin;Parrott, Keith A.;Sack, Robert L.;Ayres, James W.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3권3호spc1호
    • /
    • pp.9-18
    • /
    • 1993
  • Sugar spheres loaded with melatonin (MT) were coated with $Aquacoat^{\circledR}$ to control the release rate of MT over 8 hours. A zero-order release pattern over 8 hours was obtained with 20% coating on 8-10 mesh beads in USP basket dissolution studies. MT in 20% coated beads was quite stable at room temperature with less than 5% MT degraded during 6 months' storage. Dissolution profiles were also unchanged after 6 months. An oral preparation containing MT-loaded uncoated beads for immediate release and 20% coated beads with $Aquacoat^{\circledR}$ for controlled release over 8 hours was evaluated in six human subjects. When total 0.5 mg MT as low dose (immediate release portion of MT, 0.1 mg) was administered to four subjects, average peak plasma MT concentration was reached at about 600 pg/ml and maintained at about 10 pg/ml over 8 hours. Plasma MT concentration-time profiles were similar in shape to computer-simulated profiles. However, maximal plasma MT concentrations were three times greater compared to computer simulated curve. These results suggest that MT dose, ratio of immediate and controlled release MT, and pharmacokinetic parameters selected are adjusted to mimic endogenous MT concentration-time curve. In another study, 0.2 mg MT having 10% of immediate release portion and 80% controlled release portion produced plasma MT concentration-time curve which is more similar to endogenous profiles. A low bioavailability (<20%) may result from extensive first pass metabolism and remaining amounts of MT from controlled beads. A good correlation between plasma MT concentration and urinary excretion rate of 6-sulphatoxymelatonin (6-STMT), a major metabolite of MT was observed. As plasma MT concentration increased, urinary excretion rate of 6-STMT increased concomitantly. The linear relation between plasma MT and urinary excretion rate of 6-STM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suggests that urinary 6-STMT may be used as an index of circadian rhythms of MT in humans.

  • PDF

Effects of Phytate and Calcium on the Reabsorption of Endogenous Zinc in Zinc-Depleted Bats

  • Sook, Kwun-In;Oberleas Donald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4호
    • /
    • pp.394-405
    • /
    • 1997
  • Endogenous zinc is important for maintaining zinc homeostasis because the size of endogenous zinc pool is almost 3-4 times bigger than that of dietary zin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hytate effect on the reabsorption of endogenous zinc and the additional Ca effect on the phytate effect. Rats were fed a casein-based diet with added sodium phytate containing either high(1.6%) or low(0.8%) Ca concentrations for 4 weeks to reduce the body zinc pool. After the depletion period, $^{65}$ Zn was given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to label the endogenous zinc pool. Rats were then assigned into phytate or non-phytate group within the same Ca group. feces were collected for 2 weeks of the initial collection period and 1 week after dietary crossover. The ratios of excreted fecal $^{65}$ Zn radioactivity of phytate group non-phytate group were determined as a measure of the phytate effect on the endogenous zinc. Mean fecal $^{65}$ Zn radioactivity was higher in the phytate group than in the non-phytate group during the entire 3 weeks of the collection period in the low Ca group, and during the initial collection period in the high Ca group(p <0.0001). This study showed an adverse phytate effect on endogenous zinc at both high and low dietary Ca levels. Elevated dietary Ca levels showed a synergistic effect on the phytate effect on endogenous zinc(p <0.05). These results imply greater phytate effect on zinc homeostasis rather than on zinc bioavailability through complexing with the endogenous zinc which is larger portion than the dietary zinc on zinc homeostasis.

  • PDF

Comparative antiplatelet and antithrombotic effects of red ginseng and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s

  • Irfan, Muhammad;Lee, Yuan Yee;Lee, Ki-Ja;Kim, Sung Dae;Rhee, Man He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6권3호
    • /
    • pp.387-395
    • /
    • 2022
  • Background: Fermentation may alter the bioavailability of certain compounds, which may affect their efficacy and pharmacological respons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platelet effects of red ginseng extract (RGE) and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 (FRG). Methods: A rodent model was used to evaluate the antiplatelet and antithrombotic effects of the extracts. Rats were orally fed with human equivalent doses of the extracts for 1 week and examined for various signaling pathways using standard in vivo and ex vivo techniques. Light transmission aggregometry was performed, and calcium mobilization, dense granule secretion, integrin αIIbβ3-mediated signaling molecules, cyclic nucleotide signaling events, and various protein molecules were evaluated ex vivo in collagen-stimulated washed platelets. Furthermore, antithrombotic properties were evaluated using a standard acute pulmonary thromboembolism model, and the effects on hemostasis were investigated using rat and mice models. Results: Both RGE and FRG significantly inhibited platelet aggregation, calcium mobilization, and dense granule secretion along with integrin-mediated fibrinogen binding and fibrinogen adhesion. cAMP levels were found to be elevated in RGE-treated rat platelets. Ginseng extracts did not exert any effect on prothrombin time and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RGE-treated mice showed significantly better survival under thrombosis than FRG-treated mice, with no effects on hemostasis, whereas FRG-treated mice exhibited a slight increment in bleeding time. Conclusion: Both extracts, especially RGE, are remarkable supplements to maintain cardiovascular health and are potential candidate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platelet-related cardiovascular disorders.

옥수수겨가 티아민, 나이아신, 판토텐산의 생체이용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rn Bran as a Fiber Source on the Utilization of Thiamin Niacin and Pantothenic Acid in Humans)

  • Yu, Bog-Hieu;Kies, Constance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6호
    • /
    • pp.450-460
    • /
    • 1992
  • 본연구는 사람을 대상으로하여 8주간 종류가 서로 다른 옥수수겨를 식이섬유질의 급원으로 기본식이에 첨가하여 먹였을 때 티아민, 나이아신 및 판로텐산의 체네 이용율을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실험식이의 종류의 옥수수겨를 첨가하지 않은 기본식이(Basal diet : B)와 이에 wet-milled fine(WF)/coarse(WC) corn bran이나 dry-milled fine(DF)/coarse(DC) corn bran을 첨가한 식이들로서 무작위법에 의하여 첫 4주간동안 일부의 피실험자는 B, WF, WC 식이를 급여 받았으며, 나머지 피실험자는 B, DF, DC를 급여받았다. 따라서, 각각의 피실험자들은 8주간의 실험기간동안 모든 실험식이를 섭취하였다. 비타민의 이용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24시간 뇨를 채집하였으며 이들을 주별로 나누어 이들 비타민의 뇨중함량을 측정하였고 변을 채집, 건조하여 neutral detergent fiber(NDF)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매일 뇨증의 creatinine치를 측정하여 뇨의 완전한 채집을 도모하였으며 불완전한 채집으로 인한 실험오차를 줄여주기 위하여 비타민의 이용을 계산시 각 주별의 평균 creatinine치에 대하여 비타민 이용율을 보정하여 주었다. 실험분석 결과에 따르면 옥수수겨를 첨가한 식이를 먹는 경우 티아민, 나이아신 및 판토텐산의 생체 이용율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옥수수겨를 wet-milling 방법으로 처리한 식이의 경우 저하의 효과가 더운 현저한 것으로 보여졌다. 또한 옥수수겨의 처리방법을 막론하고 옥수수겨의 입자가 거친것이 비타민 이용율의 저하효과가 더욱 큰것으로 나타났다. 변건량과 변량에 있어서도 이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고 특히 fecal trasit time이 wet-milled corn bran 식이군과 입자가 거친 옥수수군에서 빨랐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옥수수겨가 이들 세가지 B 비타민의 이용율을 저하시키는 것이 식이 섬유질의 종류에 따라서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열처리가 Lysine 손상에 의한 단백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t Treatment on Protein Quality as Lysine Damage)

  • 이경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816-828
    • /
    • 1995
  • 식품의 가공처리나 저장 중에 단백질에 결합된 아미노산의 side chain이 상호간 또는 식품내 다른 분자들과 화학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이 반응으로 아미노산의 구조적 파괴, recemization, 단백질의 상호작용들, 또한 환원성 당과, 산화제 및 polyphenol류와의 결합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Maillard 반응 (예 ; fructoselysinel과 아미노산 간의 cross-linking(예 ; lysinoalanine)에 의한 반응이 주를 이룬다. 이때 가장 영향을 받는 아미노산이 lysine으로, 이는 lysine이 기능성 유리 ${\varepsilon}-amino$ group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아미노산의 derivatives나 polypeptides내 cross-links는 단백질의 체내 이용율과 소화율을 감소시켜 단백질 식품의 품질을 떨어뜨린다. 본 논문에서는 식품낸의 lysinoalanine과 fructoselysine의 형성과 관련된 기술적, 분석적, 영양적 그리고 생리적인 문제들에 관하여 문헌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식품내 이들의 존재가 여러가지 영향을 체내에서 미칠 수 있으나 정상 성인에게는 전혀 위험한 물질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제한된 formular foods를 주로 먹는 유아에게는 성장에 lysine이 필수적이므로 lysine 손상을 통한 단백질의 질 저하는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유아식의 가공처리와 저장에 주의를 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PDF

농작물 재배지 토양 내 비소, 납 및 카드뮴의 농산물로의 전이계수 산출 (Transfer Factor of Heavy Metals from Agricultural Soil to Agricultural Products)

  • 김지영;이지호;;강대원;김민지;류지혁;김두호;이영자;김원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00-30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농산물 중 중금속 함량과 토양 중 중금속 함량을 확인하여 이들의 상관성 및 전이계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농산물로는 곡류(쌀, 보리, 옥수수), 과채류(콩류, 상추류, 호박류, 사과류, 배류, 감귤류) 9종에 대한 주산단지를 중심으로 비소, 카드뮴 및 납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농산물 및 토양 중 중금속 함량을 조사한 결과 비소, 카드뮴, 납의 농산물로의 전이는 토양 내 이들의 침출성 함량이 주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비소의 전이계수는 평균 0.006~0.309, 카드뮴의 전이계수는 평균 0.002~6.185, 납은 평균 0.003~0.602로 카드뮴의 침출성 함량이 다른 금속에 비하여 전이계수가 높게 산정되었다. 토양 내 중금속 침출성 함량에 대한 농산물의 전이능 순서는 비소는 쌀(0.309), 카드뮴은 상추(6.185), 배(0.717), 납은 상추(0.602), 호박(0.536)순으로 비소의 경우 쌀에서, 카드뮴 및 납의 경우, 과채류에서 높게 나타났다. 쌀의 비소 함량은 토양 내 비소 전 함량과 높은 상관성(r=0.41, p < 0.05)을, 콩류 내 카드뮴 함량은 토양 내 카드뮴 전 함량과 높은 상관성(r=0.44, p < 0.05)을, 호박의 카드뮴 함량은 토양 내 카드뮴 전 함량과 높은 상관성(r=0.38, p < 0.05)을 나타내었으며, 영향을 미치는 주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농산물 군에 따라 전이율이 다르나 본 연구 대상 농산물 중 비소의 경우 과채류에 비하여 곡류 중 쌀의 전이율이 높았으며, 이에 대한 기준 설정 및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카드뮴 및 납은 토양과 근접한 상추 등과 같은 작물에서 높은 전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토양 중 중금속 함량이 증가함으로써 작물 내 중금속 함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추후 농산물에 대한 전이계수를 산출하면 토양에 따른 농산물의 흡수이행 함량을 예측할 수 있으며, 토양과 농산물간 위해성 평가 및 흡수이행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