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assy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6초

박테리아(E. Coli)의 AGB (alpha-glucosidase biosynthesis)를 이용한 중금속의 독성시험과 풀빅산에 의한 독성 억제효과 (Verification of AGB (alpha-glucosidase biosynthesis) Bacterial Bioassay of Metal Toxicity and Inhibition Effect of Fulvic Acid (EA))

  • 김재현;김명길;엄애선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9권1호
    • /
    • pp.25-32
    • /
    • 2004
  •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he development of a bioassay which enables the detection of toxic effects of heavy metal ions to a bacterium, Escherichia coli. Inhibition effects of the metals on growth rates of the bacterium were studied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fulvic acid. This method does not clearly differentiate among metals, but does detect overall AGB inhibition rate (toxicity) for 5 different heavy metals. The toxicity of the metals in the absence of fulvic acid in the same testing condition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following order: Hg < Pb, Zn < Cd < Cu, whereas the inhibition rate (toxicity) in the presence of FA was shown to be increased In following order: Cd < Pb, Hg < Cu < Z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this simple and fast biomonitoring assay with direct exposure of E coli. might be a valuable supplement to analytical methods of contaminated media.

형질전환된 꽃양배추에서 Proteinase Inhibitor II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Proteinase Inhibitor II gene in Transgenic Flowering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DC.)

  • 김창길;정재동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5-98
    • /
    • 1998
  • PI-II cDNA가 도입된 식물발현 벡터인 pGA875를 가진 A.tumefaciens LBA4404를 이용하여 꽃양배추의 하배축 조직에 형질전환하여 식물체를 재분화 시켰다. Dot blot 분석으로 PI-II 유전자가 전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 개체를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을 이용하여 생물검정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형질전환체 잎의 섭식정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화후 이들 개체의 종자를 받아 후대검정을 실시하였을 때 27,4%가 kanamycin내성을 가진 꽃양배추로 확인되었다.

  • PDF

Effects of Furanocoumarins from Angelica Dahurica on Aldose Reductase and Galactosemic Cataract Formation in Rats

  • Shin, Kuk-Hyun;Chung, Myung-Sook;Cho, Tae-So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7권5호
    • /
    • pp.331-336
    • /
    • 1994
  • The ether extract from the roots of angelica clahurica was found to inhibit bovine lens aldose reductase (BLAR0 activity in vitro by 100% at 100.mu.g/ml. Systematic fractionation of the ether soluble fraction and subsequent active frctions monitorede by bioassy led to isolation of four furanocoumarins, isoimperatorin (I0, imperatorin (II), ter-O-methyl byakangelicin (III) and byakangelicin (IV), among which compound III and IV were identified as potential AR inhibitors, their $IC_{50}$ values being $2.8{\mu}M{\;}and{\;}6.2{\mu}M$, respectively. Galactosemic cataract formation tors, in rats treated with 40 g/kg/day of galactose was blocked almost completely throughout the exeprimental periods up to 44 days by i.p. administrations of byakangelicin (IV) at 50 mg/kg/day. In coincidence with the inhibitory action on cataract formation, the galactitol accumulation in rats treated with byakangelicin (IV) was found to be markedly prevented by approximately 80.5%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yakangelicin (IV), as a main principle of this plant, possesses high potential for a clinically useful drug of the future which prevents and/or improves sugar cataract as well as diabetic complications.

  • PDF

환경성 발암물질의 용량-반응모델의 이론적 근거와 응용에 관한 연구 - 음용수 중 chloroform을 중심으로 (Scientific rationale and applicability of dose-response models for environmental carcinogens)

  • 신동천;정용;김종만;이성임;황만식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9권1호
    • /
    • pp.27-41
    • /
    • 1996
  • This study described methods to predict human health risk associated with exposure to environmental carcinogens using animal bioassay data. Also, biological assumption for various dose-response models were reviewed. To illustrate the process of risk estimate using relevant dose-response models such as Log-normal, Mantel-Bryan, Weibull and Multistage model, we used four animal carcinogenesis bioassy data of chloroform and chloroform concentrations of tap water measured in large cities of Korea from 1987 to 1995. As a result, in the case of using average concentration in exposure data and 95% upper boud unit risk of Multistge model, excess cancer risk(RISK I) was about $1.9\times10^{-6}$, in the case of using probability distribution of cumulative exposure data and unit risks, those risks(RISK II) which were simulated by Monte-Carlo analysis were about $2.4\times10^{-6}\;and\;7.9\times10^{-5}$ at 50 and 95 percentile, respectively. Therefore risk estimated by Monte-Carlo analysis using probability distribution of input variables may be more conservative.

  • PDF

새로 분리한 Bacillus thuringiensis NT0423균주의 내독소 단백질에 대한 이중 특이성 (Dual specificity of $\delta$-endotoxins produced by newly isolated Bacillus thuringiensis NT0423)

  • 김호산;박현우;김상현;유용만;서숙재;강석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26-432
    • /
    • 1993
  • 경기도 일원의 양잠 농가의 먼지에서 채취한 45개의 샘플중에서 내독소 단백질 결정체를 생산하는 13개의 Bacillus thuringiensis를 분리하였다. 이 중 2개 균주는 파리목에 독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독성검정에서 NT0423균주의 $LC_{50}$수치는 나비목의 배추좀나방이 최소 1.30$\times$$10^{6}$ CFU/ml이며, 파리목인 빨간 집모기에는 2.88$\times$$10^{5}$ CFU/ml로 나타났다. 새로 분리된 NT0423균주가 생산하는 내독소 단백질 결정체는 주사 전자현미경사진에서 전형적인 이중 피라미드모양을 보였다. 그리고 이 내독소 단백질 결정체의 SDS-PAGE 분석에서는 주요한 130kDa의 polypeptide을 나타내었다. 또한 NT0423균주의 총 플라스미드 DNA분석에서는 9개의 플라스미드를 갖고 있어 기존의 유사한 독성을 나타내는 균주들과 다른 패턴을 보였다.

  • PDF

Lactoferrin의 생리적 기능과 Lactoferricin의 항원결정기 (Biological Functions of Lactoferrin and Antigenic Determinants of Lactoferricin)

  • 남명수;도기경일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2호
    • /
    • pp.229-245
    • /
    • 1996
  • 1. CM-Sephadex C-50-120 column을 사용하여 HLF를 효과적으로 정제하였다. CM-Sepha-dex 50-120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한 결과, HLF는 NaCl 350 mM-500 mM 사이에서 용출되었으며, 용출된 분획을 SDS-PAGE를 수행해서 단일 band를 확인하였다. Anti-HLF antibody를 이용한 Western blotting 결과 nitrocellulose paper 상에 단일 band 가 나타나므로 HLF 가 효과적으로 정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Con A, PWM, PWA LPS 등의 자극원으로 단핵구와 대식세포를 자극한 다음 BLF를처리한 배 양액을 IL-1 bioassy한 결과는 Con A 33%, PMA 33%, PWM 15%, LPS 35% 이고, HLF로 처리하여 IL-1 bioassay를 한 결과는 Con A 15%, PMA 22%, PWM 10%, LPS 5%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3. K-562 세포를 이용한 colony forming assay에서 BLF가 10 g/ml일 때는 30%, 30 g/ml일 때는 35%, HLF는 10 g/ml일 때는 5%,30 g/ml일 때는 30%의 저해를 나타냈다. 4. Lactoferrin의 면역증강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hapten인 VCR-BSA를 투여 한 후, 생성되는 항체생성능력을 ELISA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HLF 및 BLF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adjuvant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이때 macrophage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HLF와 BLF를 투여한 군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LF는 macrophage를 활성화 시켜서 항체 생성 능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Balb/c mouse의 thymus로부터 분리한 CD4- CD8- 세포를 BLF로 처리하여 24 시간 배양한 후 CB4$^-$ CD8$^-$ 세포의 분화를 측정한 결과, CD4$^-$를 CD4$^+$ 로 분화하였다. 그리고 HLF로 처리하여 24 시간 배양 후 CD4$^-$ CD8$^-$ 세포의 분화를 측정한 결과, CD4$^-$ CD8$^-$를 CD4$^+$ CD8$^+$ 로 분화하였다. 6. Lactoferrin이 T cell의 IL-2 production에 미치는 영향은 PMA 처리군, PMA+OKT3처리군, LF 단독 처리군 보다 PMA+OKT3+LF를 처리한 군이 IL-2 생성에 영향을 미쳤다. 7. Lfcin B의 단일크론항체에 의해 인식되어지는 Lfcin B의 항원결정기는 ‘QWR’로 밝혀졌다.

  • PDF

유용 Pseudomonas 종의 근면점유와 무우 Fusarium시들음병의 억제에 관한 생물학적 정량 (Root Colonization by Beneficial Pseudomonas spp. and Bioassay of Suppression of Fusarium Wilt of Radish)

  • 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1호통권80호
    • /
    • pp.10-19
    • /
    • 1997
  • 무우품종(Raphanus sativus L.) Saxa Nova에 시들음병을 일으키는 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 (FOR)에 대해 저항성을 증가시켜 방제효과를 얻기 위하여 식물성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Pseudomonas florescens WCS374 (WCS 374), P. putida RE10 (RE10) 및 Pseudomonas sp. EN41S (EN415)을 병원균처리 토양에 단독 또는 혼합처리하여 4주간 폿트배양한 후 무우에 나타나는 외부 및 내부병징을 조사하여 처리세균에 의한 병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내부 및 외부병징으로 대조구는 각각 46.5% 및 21.1%를 나타내었고, RE10처리는 내외병징이 각각 12.2%와 7.8%로 발병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발병억제력이 높다고 알려진 WCS374는 내외 병징이 각각 45.6%와 27.8%로 나타났다. 한편 RE10균주를 WCS374 또는 EN415 균주와 혼합하여 처리할 경우 내외 병징이 10.0-22.1% 정도이었고 EN415와 혼합처리하면 7.8-20.2%의 병징을 나타낸다. FOR의 뿌리점유율은 뿌리에서 $2.4-5.1{\times}10^3/g$였고 토양내 분포수는 $0.7-1.3{\times}10^3/g$이었다. 대조구는 뿌리에서 $3.8{\times}10^3/g$였으며 RE10의 처리는 $2.9{\times}10^3/g$로 분포수가 적었고, 3종 세균의 혼합처리는 $5.1{\times}10^3/g$으로 많이 관찰되었으나, 처리간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토양에서 관찰된 FOR은 부리부분 보다 그 분포 수가 적었다. 처리된 3가지 세균은 뿌리에서 $2.3-4.0{\times}10^7/g$ 범위이고, 토양에서는 $0.9-1.8{\times}10^7/g$으로 뿌리에서 관찰된 수 보다 적게 분포하였다. 뿌리부분에서 대조구나 RE10의 처리토양은 형광성 Pseudomonas spp.의 분포수가 적고 처리간에는 통계적 차이를 나타냈으나, 토양조사에서 이세균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뿌리에 처리된 세균과 FOR의 분포수는 토양에 처리된 것과 대조하였을 때 많았으며, 이 실험 에 사용된 RE10과 EN415은 Fusarium시들음병에 대한 기주의 저항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잡초(雜草) 종자(種子)의 휴면타파(休眠打破)에 대한 화학물질(化學物質)과 토양(土壤) 내(內) 종자매몰(種子埋沒)의 효과(效果) (Effects of Several Chemicals and Burial of Seeds into the Soil on Dormancy-breaking of Weed Species)

  • 심상인;이상각;강병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95-303
    • /
    • 1998
  • 잡초(雜草)의 휴면(休眠)은 불량(不良)한 외부조건(外部條件)에 적응하기 위한 기작으로서 잡초방제(雜草防除)에 있어서 많은 난점을 발생시킨다, 잡초종(雜草種)들의 발아(發芽)와 휴면(休眠) 현상을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 우점(優占)는 잡초(雜草)50여종의 잡초(雜草)에 대하여 화학물질(化學物質)처리와 종자매몰(種子埋沒)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KNO_3$, thiourea, KOH, $H_2O_2$ 등의 화학물질(化學物質)처리는 휴면타파(休眠打破)보다는 비휴면(非休眠) 종자(種子)의 발아촉진(發芽促進)에 효과가 있었다. 2. Pectinase는 강아지풀, 금강아지풀, 방동사니 대가리, 개구리자리 등의 휴면타파(休眠打破)에 효과가 있었다. 3. $GA_3$는 효과는 크지 않았으나 왕바랭이와 개여뀌, 개구리자리의 휴면타파(休眠打破)에 효과가 있었다. 4. 7주(週)이상 토양(土壤)에 매몰(埋沒)되었던 잡초종자(雜草種子)의 발아율(發芽率)은 크게 증가하였으며 변온(變溫)은 발아율(發芽率)에 상승작용(相乘作用)을 일으켰다. 그러나 매몰(埋沒)기간이 지속되면 발아율(發芽率)이 낮아져 이차휴면(二次休眠)에 들어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마디풀과의 Persicaria속(屬)과 명아주과의 Chenopodium속의 식물은 토양(土壤) 매몰(埋沒)에 의한 휴면(休眠) 타파(打破)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 PDF

지하집모기 (Culex pipiens molestus)의 방제를 위한 환경친화적 살충제의 생물검정 (Bioassay of Environment-friendly Insecticides for Management of Mosquito, Culex pipieos molestus)

  • 최수연;오세찬;조민수;백승경;김진수;김다아;길미라;윤영남;유용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61-267
    • /
    • 2007
  • 몇 가지 환경 친화적 살충제를 사용하여 지하집모기 유충에 대한 생물활성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약제로는 키틴합성저해제인 Novaluron, 탈피촉진제인 Methoxyfenozide, 탈피억제제인 Pyriproxyfen 그리고 지질생합성저해제인 Spiromesifen을 사용하였다. 지하집모기의 유충에 대한 약제별 반수치사농도는 각각 0.00039, 0.07193, 0.65006 그리고 0.04839 ppm으로 키틴합성저해제인 Novaluron 가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다. 모기 유충방제에 필요한 효과적인 약제 처리시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모기 유충의 령기에 따른 약제 감수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Novaluron 은 부화 후 2 일차, 4 일차, 7 일차 및 10 일차에서 각각 100%, 84.5%, 71% 그리고 48.5% 의 방제가로 IGR 약제의 특정이 나타났다. 또한, Methoxyfenozide, Pyriproxyfen 그리고 Spiromesifen은 부화 후 2 일차에서 80% 이하의 살충효과로 Novaluron 과 비교하여 낮은 방제가를 나타냈었다. 한편 모기유충에 대한 효과적인 약제 노출시간을 알아본 결과 Novaluron은 100% 살충효과를 나타내는데 3시간이 필요하였고, 나머지 약제들은 12 시간 이상의 노출시간에서도 100% 방제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내독소혈증 유발 급성폐손상에서 폐장내 Proinflammatory Cytokines 발현에 관한 고찰 (The Lung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alpha$ and Interleukin 6, in Early Periods of Endotoxemia)

  • 문승혁;김용훈;박춘식;이신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3호
    • /
    • pp.553-564
    • /
    • 1998
  • 연구배경: LPS에 대한 숙주의 초기반응은 proin-flammatory cytokines의 분비이다. 이러한 "초기 반응" cytokines는 인지세포에서 표적세포 등에 신호를 전달하여 다른 대식세포를 포함한 면역세포, 폐장내 간엽성 세포들을 자극하여 화학주성인자, 성장인자, 유착분자 등의 발현을 증폭시키게 되면서 전염증단계가 정열하게된다. 내독소유발 급성폐손상에서 폐장내 proinflammatory cytokine 기원 세포들은 활성화된 대식세포/단핵구 외에 폐조직으로 유입된 동원 호중구의 역할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간엽성 세포들에서도 발현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저자들은 실험 백서에서 내독소를 정백내 주입하여 유발시킨 급성폐손상에서 proinflammatory cytokines인 TNF-$\alpha$ 및 IL 6 기원의 주된 세포(들)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체중 $250{\pm}50g$의 건강체인 웅성 Sparague-Dawley를 정상 대조군(Normal Control Saline Group)과 내독소유발 급성폐손상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급성폐손상군은 백혈구결핍 내독소군(CPA-ETX Group)과 대조-내독소군(ETX Group)으로 하였다. 실험백서를 phenthotal sodium으로 마취한 후 생리식염수 0.4ml(control) 혹은 동량의 생리식염수에 용해시킨 LPS (055 : B5 E. coli,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5mg/kg를 백서 미부정맥으로 주사한 후 각각 0 및 3, 6 시간에 회생시켰다. 백혈구결핍 내독소군은 cyclophophamide, 7mg/kg를 복강내 주입하여 5 일째에 LPS를 같은 방법으로 주입하여 3, 6시간에 각각 희생시켰다. 각군에서 기관지폐포세척술을 전술한 바와 같이 시행하여 총백혈구수, 분획세포수 및 총단백량을 산출하였고 기관지폐포세척 TNF-$\alpha$ 및 IL 6를 생물학적 방법으로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동시에 기관지폐포세척술을 하지 않은 정상대조군 및 대조-내독소군에서 TNF-$\alpha$ 및 IL 6 단백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결 과: 기관지폐포세척 세포 및 단백량 측정 결과 정상대조군에 비해 대조-내독소군에서 기관지폐포세척 총백혈구수는 3, 6 시간째에 각각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 (p<0.01), 백혈구결핍 내독소군과는 차이가 없었다. 대조-내독소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기관지폐포세척단핵구 및 호중구수가 3, 6 시간째에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p<0.05) 특히 호중구 분획율의 유의한 증가를 동반하였다(p<0.05). 백혈구결핍 내독소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3, 6시간째에 각각 기관지폐포세척 호중구수 및 호중구분획율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p<0.05) 기관지폐포세척 단핵구수 및 단핵구 분획율에서는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기관지폐포세척 총단백량은 내독소군에서 3, 6시간째에 각각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p<0.05) 내독소군간에는 6시간째에 대조-내독소군에서 백혈구결핍 내독소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기관지폐포세척 TNF-$\alpha$ 및 IL-6의 농도는 정상대조군에서 각각 $0.06{\pm}0.06$ U/ml(n=5) 및 $0.45{\pm}0.23$ U/ml(n=5)이었다. 내독소군에서 TNF-$\alpha$와 IL-6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상승되었으며 (p<0.05), 백혈구결핍 내독소군과 대조-내독소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면역조직화학염색결과 내독소 정맥 주입 3시간 및 6시간후의 폐조직에서 TNF-$\alpha$ 및 IL-6 단백이 폐포대식세포와 간질대식세포들에서 강하게 염색되는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 론: 내독소혈증 유발 급성 폐손상의 초기 손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proinflammatory cytokine의 주된 기원세포는 활성화된 폐포대식세포/단핵구세포들일 것으로 사료되며 이들 세포가 내독소혈증 유발 급성폐손상 발생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