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pesticides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32초

2019년 유통 임산물 중 산나물류와 약초류, 과실류 13종의 농약 및 중금속 잔류 실태 (Pesticide and Heavy Metal Residue Monitoring in 13 Types of Agroforestry Products in 2019)

  • 김준헌;오지연;신지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1-353
    • /
    • 2020
  • 농약허용물질목록관린제도의 시행에 따라, 농약의 안전사용이 더욱 중시되었다. 산림식용자원(임산물)은 소규모 재배 등의 이유로 등록된 농약의 수가 적어, 등록되지 않은 농약의 사용이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임산물에 대한 농약사용실태를 파악하고자, 산림식용자원 13종에 대한 농약 및 중금속 잔류실태조사를 하였다. 산나물류 조사 시료인 고사리, 참나물, 도라지, 더덕에 대하여 조사 시료의 0%, 40.0%, 20.0, 26.7%에서 농약이 검출되었고, 약초류인 참쑥, 당귀, 마는 13.3%, 56.3%, 0%의 농약 사용이 확인되었다. 과실류 조사 시료인 석류, 복분자딸기, 다래, 머루, 돌배, 결명자에서는 조사 시료의 57.1%, 33.3%, 26.7%, 66.7%, 46.7%, 0%에서 농약이 검출되었다. 중금속(납, 카드뮴)은 도라지와 참쑥에서만 검출되었다. 연구에서 얻은 임산물별 사용농약에 대한 정보는 병해충 방제를 위한 사용현황을 확인하여, 추후 농약등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국내 임산물의 안전성 확인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가치가 있을 것이다.

서울지역 학교급식 식재료의 잔류농약 위해성 평가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in school foodservice products in seoul, Korea)

  • 서영호;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9-74
    • /
    • 2014
  • 학교 급식 식재료로 사용되는 농산물 중 잔류농약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서울시내 초, 중, 고등학교 110곳에서 316건의 시료를 수거하여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185종의 농약에 대해 GC-ECD, GC-NPD, GC-MSD 및 HPLC-UVD를 이용한 다종농약 다성분 분석법으로 잔류농약을 분석하였고, 분석결과 26건의 시료에서 농약이 검출되었고, 취나물과 들깻잎에서 각각 57.1, 55.6%의 높은 검출율을 나타내었다. 농약 성분별 검출빈도는 프로시미돈, 엔도설판, 아족시스트로빈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종 이상의 농약이 동시에 검출된 것은 3건이었다. 그리고 검출된 시료 중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시료는 6건이었으며 시금치, 취나물, 양배추에서 엔도설판, 깻잎에서는 디니코나졸과 카보후란, 고추에서는 에토프로포스가 잔류허용기준치를 초과하여 검출되었다. 위해성 평가결과 들깻잎에서 검출된 카보후란의 hazard index가 3.8%로 가장 높았으며, 다른 농산물들은 모두 2% 미만을 나타내어 위해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서울지역 학교급식 식재료로 사용되는 농산물은 비교적 안전한 수준으로 농약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지속적으로 농약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홍보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배나무 무인 방제기의 개발을 위한 살포 시스템 설계 (System Design for Developing the Remote Controlled Sprayer of Pear Trees)

  • 이봉기;민병로;이민영;화윤일;최동성;홍준택;이대원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03-308
    • /
    • 2013
  • 배나무 방제용 무인살포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생력화를 위한 작업기기를 설계하였다. 또한, 노즐의 분무유형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여 적정 살포를 위한 노즐 각도, 노즐과의 거리, 수평방향 살포시 거리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배의 과수 형태와 재배 환경을 사전 조사하였다. 살포시스템의 살포진행방향에 적합한 분사 노즐각도를 선정하였다. 배나무와 살포시스템 간의 수직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살포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노즐과의 높이에 따른 분포도를 측정하였다. 배나무와 살포 시스템과의 적정 측면 거리를 선정하기 위하여 측면 살포시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분무량을 측정하였다. 무인살포시스템의 약대는 배의 식재 간격에 적합하도록 좌우가 동일한 형태로 2.5m까지 펼쳐지도록 설계 및 제작 하였다. 또한 일정하지 않은 배나무의 높이에 따라 약대의 높이가 1.7m까지 조절되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에 적합한 노즐 각도는 $15^{\circ}$로 나타났다. 배나무와 살포시스템과의 수직거리는 0.7m에서 0.9m의 간격을 유지하여 약제를 살포해야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평방향으로 살포하는 경우 좌우 -0.9m에서 0.9m까지의 분무량이 가장 많았다. 약대와의 거리가 0.9m에서 2.1m일 때 가장 많은 분무량을 나타냈다. 실험을 통하여 배 과수원에서의 무인살포시스템에 맞는 분무 환경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배 과수와의 거리에 따라 적정 거리를 유지하는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효율적인 약액 살포가 가능하게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진행된 실험은 제한된 실내 환경에서 진행된 것이기 때문에 제작된 시스템의 실제 과수원 환경에서의 실험이 필요하다.

Application of Modern Farming Technology to the Organic Agricultural System

  • Chung, Moo-nam
    • 한국유기농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기농업학회 2001년도 심포지엄
    • /
    • pp.248-265
    • /
    • 2001
  • Recently, agriculture in Korea is seriously depressed by economic globalization and trade liberalization because of low competitive power. Organic farming, which is favorable for small scale agriculture, is expected to be one of alternatives to boost agricultural activities in Korea. Organic agriculture requires systemic developments of new technologies considering the complex biological interaction within the system in connection with high quality and safety standard.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NIAST) has been worked on the series of organic farming technologies, including bio-pesticides, pheromone, natural enemies as well as the testings of materials used in organic farming. NIAST will concentrate on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for compromising to the conflict between commodity-oriented and ecological harmony. Research on systemic land and water use, management of plant nutrition, pest and disease control, post-harvest would also be important targets. Integrated efforts among researchers, professors, administrators, farmers, private sectors, and extension workers are substantial for fast technology development and its dissemination. Development and use of these technologies will homely enlighten the Korean organic farming although it may require quite a time and endeavor.

  • PDF

Modelling the capture of spray droplets by barley

  • Cox, S.J.;Salt, D.W.;Lee, B.E.;Ford, M.G.
    • Wind and Structures
    • /
    • 제5권2_3_4호
    • /
    • pp.127-140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some of the results of a project whose aim has been to produce a full simulation model which would determine the efficacy of pesticides for use by both farmers and the bio-chemical industry. The work presented here describes how crop architecture can be mathematically modelled and how the mechanics of pesticide droplet capture can be simulated so that if a wind assisted droplet-trajectory model is assumed then droplet deposition patterns on crop surfaces can be predicted. This achievement, when combined with biological response models, will then enable the efficacy of pesticide use to be predicted.

Residue analysis of spinetoram and spinosad on paprika leaf using the modified QuEChERS pre-treatment methods

  • Kim, Young-Shin;Yang, Jun-Young;Jin, Na-Young;Yu, Yong-Man;Youn, Young-Nam;Lim, Chi-Hwan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4호
    • /
    • pp.487-494
    • /
    • 2017
  • Spinosad and spinetoram are widely used insecticides for the control of lepidopteran larvae, leaf miners, and thrips; however, they might also have low toxicity toward beneficial insects like bees. Because these pesticides are easily photolyzed by ultraviolet radiation, the QuEChERS method, with its simple pretreatment procedure, is often used for analyzing residues of spinosad and spinetoram. The present study performed a residue analysis using a modified QuEChERS method by pretreating with ammonium salt. The limit of detection (LOD) of the modified method was 0.05 mg/kg and the limit of quantification (LOQ) was 0.25 mg/kg.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for the calibration curve was 0.999. Also, we examined any change in the adhesion of spinosad and spinetoram on the plants depending on a spray volume. The adhesion was approximately 70% when the spray volume was increased from 60 L to 120 L per 10 a whereas the adhesion was approximately 37% when the spray volume was increased from 125 L to 250 L. This showed that the amount of adhesion decreased with the higher spray volume. The efficacy result of spinetoram was that over 90%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was controlled with the application volume of 125 L per 10 a.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control of insects is effective and sufficient with a spray volume of 125 L per 10 a in paprika cultivation facilities.

인삼 지상부를 첨가한 사료 급여가 닭에서 나타내는 효과 (Efficacy of orally administered ginseng stem and leaf in chickens)

  • 박소연;이광열;조영재;박보경;김기주;이나래;김동건;김영희;한태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7
    • /
    • 2015
  • Ginseng has been widely used in Korea as a natural medicine due to its saponin contents. Although the total amount of ginseng stem and leaf saponins (GSLS) is 4~5 times higher than that of saponin in the root, the root is mainly used. This is due to two reasons: nervous system-stimulant activity of GSLS and pesticide residues in GSLS. In this study, residual agricultural pesticides were removed from GSLS using two types of bacterial treatments. Two GSLS treatment groups of chickens (GSLS-1 and GSLS-2) were established. The chickens were fed 0.4% GSLS-1 or GSLS-2 mixed with crop. We then evaluated the effects of GSLS on bodyweight and several immune parameter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s, chickens fed GSLS-1 and red ginseng saponin had significantly higher growth rates (16.6% and 8.0%,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vaccine control group treated with Noblis Salenvac-T. The group fed GSLS-1 also had the highest IgG titer tha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end of experiments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These findings imply that GSLS-1 is a good candidate feed additive for the chicken industry.

제형과 가연성 담체에 따른 농약 훈연제의 연소 특성 (Burning Characteristics of Smoke Generator of Pesticides Depending on Combustible Carrier and Formulation Type)

  • 임희경;김용환;조광연;유주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3호
    • /
    • pp.325-331
    • /
    • 2004
  • 왕겨 분말을 가연성 담체로 첨가하여 분상, 과립상 및 봉상의 fenarimol 훈연제를 제제하고 제형이 훈연제의 연소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연성 담체로 목분을 사용한 목분 훈연제의 연소성을 조사하고 왕겨 훈연제와 비교하였다. 왕겨 분말을 가연성 담체로 한 fenarimol 훈연제(3%)는 분말, 과립 및 막대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었으며, 염소산나트륨 첨가비가 11% 이상일 때 모두 연속적으로 연소하였다. 형상과 무관하게 모두 염소산나트륨 첨가비가 13%인 훈연제의 훈연율이 가장 높았으며, 분상 훈연제(64.5%) < 과립훈연제(78.4%) < 봉상 훈연제(90.9%) 순으로 훈연율이 증가하였다. 봉상 훈연제는 과립훈연제보다 점화가 특히 용이하고 강도와 훈연율이 우수하였다. 목분을 가연성 담체로 사용한 훈연제는 방염 성분을 함유하여 연소 시간이 매우 길어지는 특성이 있어서 훈연제보다 서서히 연소하는 훈증제용 담체로 더 적합하였다.

Ecological and human health risk from polychlorinated biphenyl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bivalves of Cheonsu Bay, Korea

  • Choi, Jin Young;Yang, Dong Beom;Hong, Gi Hoon;Kim, Kyoungrean;Shin, Kyung-Hoo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1권4호
    • /
    • pp.373-383
    • /
    • 2016
  • Cheonsu Bay, one of the most important in Korea as a coastal fishery is a semi-enclosed bay that is surrounded by large farmlands and industrial areas. This coastal environment has been affected by anthropogenic pollutants, such as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OCP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PCBs and OCPs in sediment, Manila clams, and mussels from Cheonsu Bay; the accumulation pattern of these chemicals in these bivalves in relation to seasonal changes; and the ecological risk from sediments and the risk to the Korean population from the consumption of these bivalves. The levels of ${\Sigma}PCBs$, ${\Sigma}DDT$, and ${\Sigma}HCHs$ were 69.3-109, 40.3-49.3 and 6.25-17.8 ng/g lipid in Manila clams, and 70.6-159, 38.6-102 and 9.00-13.5 ng/g lipid in Mussels.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s in PCBs and OCPs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the two bivalves, suggesting that the accumulation of PCBs and OCPs in these species is related to their spawning times. The dietary intake of these two bivalves and the resulting lifetime cancer risk (LCR) and non-cancer risk were calculated for the human population. The consumption of these bivalves seemed to be safe in relation to human health with negligible LCR and non-cancer ri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