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lingualism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18초

중국 출신 고학력 결혼이주여성들의 자녀 초등학교 선택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Choosing Elementary Schools for the Children of Highly Educated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China)

  • 정친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2권1호
    • /
    • pp.137-149
    • /
    • 2024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highly educated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China, who hold a master's degree or higher, when selecting an elementary school for their children and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hat experience. This study included eight participants, all of whom were married immigrant women who had resided in Korea for a minimum of five years.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hich were conducted over approximately one year, from June 2022 to August 2023. The study was approached as a case stud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cases were "choices based on charactercentered education and cultural convergence", "choices for the child's future and career", and "choices influenced by the primary caregiver's use of bilingualism". The differences observed in the cases appeared in "choices based on the balance between global education ideals and economic realities", "choices based on specialized curriculum content", and "choices based on connections to higher-level schools". This study is important, as it underscores the need to conduct various research initiatives on multinational im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policies that are grounded in the actual experiences and critical awareness of married Chinese immigrant women, who constitute a substantial part of Korean society.

후기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자의 의미체계 (The Semantic System in Late Korean-English Bilinguals)

  • 정우림;김민정;이승복
    • 인지과학
    • /
    • 제19권2호
    • /
    • pp.177-203
    • /
    • 2008
  • 본 연구는 후기 한국어(L1)-영어(L2) 이중언어자들에게서 두 언어에 따른 의미체계의 구조를 비교해 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단어의 의미표상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지식의 구조가 이중언어자의 두 언어에서 어떠한 양태로 나타날 것인지를 비교해 보고자, 자연범주 또는 인공범주에 속하는 기본수준의 단어를 보고 난 뒤 제시되는 그림을 보고 그 단어로 표상되는 의미인지를 판단하는 단어-그림 일치여부 판단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 1과 실험 2에서 단어-그림의 제시간격(SOA)을 각각 650ms, 250ms 로 하여, 과제를 수행할 때 번역전략의 사용여부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번역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두 실험 모두에서 한국어로 단어가 제시되었을 때가 영어로 제시되었을 때보다 판단시간이 빨랐으며, 한국어에서는 자연범주를 판단하는 것이 인공범주를 판단하는 것보다 오래 걸렸지만, 영어에서는 범주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는 후기 이중언어자에게서 한국어(L1)의 의미구조는 체계적으로 구조화되어 있는 반면, 영어(L2)의 의미구조는 아직 충분히 발달하지 못한 미분화된 체계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Korean speech sound development in children from bilingual Japanese-Korean environments

  • Kim, Jeoung-Suk;Lee, Jun-Ho;Choi, Yoon-Mi;Kim, Hyun-Gi;Kim, Sung-Hwan;Lee, Min-Kyung;Kim, Sun-J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9호
    • /
    • pp.834-839
    • /
    • 2010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Korean speech sound development, including articulatory error patterns, among the Japanese-Korean children whose mothers are Japanese immigrants to Korea. Methods: The subjects were 28 Japanese-Korean children with normal development born to Japanese women immigrants who lived in Jeonbuk province, Korea. They were assessed through Computerized Speech Lab 4500.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5 Korean children who lived in the same area. Results: The values of the voice onset time of consonants /$p^h$/, /t/, /$t^h$/, and/$k^*$/ among the children were prolonged. The children replaced the lenis sounds with aspirated or fortis sounds rather than replacing the fortis sounds with lenis or aspirated sounds, which are typical among Japanese immigrants. The children showed numerous articulatory errors for /c/ and /I/ sounds (similar to Koreans) rather than errors on /p/ sounds, which are more frequent among Japanese immigrants. The vowel formants of the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ly prolonged vowel /o/ as compared to that of Korean children ($P$<0.05). The Japanes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showed a similar substitution /n/ for /ɧ/ [Japanese immigrants (62.5%) vs Japanese-Korean children (14.3%)], which is rarely seen among Korean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Korean speech sound development among Japanese-Korean children is influenced not only by the Korean language environment but also by their maternal language. Therefore, appropriate language education programs may be warranted not only or immigrant women but also for their children.

아시아계와 남미계 미국인 이민자 엄마의 언어 사용과 학령 전 아동의 학교준비도 사이의 관계 (The Associations between Early Maternal Language Use and School Readiness among Young Children of Asian and Hispanic Immigrant Mothers in the United States)

  • 이래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88-204
    • /
    • 2018
  • 본 연구는 아시아계와 남미계 미국인 이민자 엄마의 언어 사용과 학령 전 아동의 학교준비도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미국 교육부에서 구축한 전국적 대표성을 지니는 출생 코호트 자료에서 이민자 엄마의 자녀 약 1,500명을 대상으로 중다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시아계와 남미계 집단 모두에게서 이민자 엄마가 모국어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영어만 사용하거나 영어와 모국어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 자녀의 표현적 언어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시아계 이민자 엄마가 모국어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영어만 사용하거나 영어와 모국어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영어와 모국어를 함께 사용하는 이민자 엄마의 미국 내 거주기간이 길수록 자녀의 학습 접근과 행동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이민자 가정의 학령 전 아동의 발달을 도울 수 있는 개입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다언어주의와 언어교육정책 (Mutilingualism and Language Education Policy)

  • 김양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321-326
    • /
    • 2020
  • 우리는 이 연구에서 다언어주의 맥락에서의 지속가능한 언어교육정책을 고찰하고자 한다. 인구의 다수가 다언어적이므로 다언어구사자들이 기준이 되는 다언어정책이 교육에서 우리가 채택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다. 전통적으로 다언어사회였던 미국의 언어교육정책을 분석하여 한국사회의 언어교육정책에 관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다언어교육정책의 채택 동기와 정당성을 지속가능성, 정체성, 공정성, 세계영어, 기계번역, 그리고 보편문법이라는 6 가지 다른 관점에서 분석한다. 언어정책의 모델로 미국에서는 영어플러스(영어+n) 정책을 제안하며, 유사하게 한국에서는 한국어플러스(한국어+n) 정책을 언어교육현장에서의 최선의 언어정책모델로 제안한다. 이러한 플러스(+n)정책은 모국어와 해당국가의 다언어주의를 형성하는 다른 외래어 둘 다의 유창성을 목표로 하며 이때 다언어정책은 이중언어정책도 포함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시대의 맥락인 다양성과 융합의 시대에 언어다양성과 다언어정책은 해결해야할 문제가 아니라 보호되고 유지되어야할 권리이며 자산으로 간주되어야하고 언어교육정책 또한 다언어주의의 관점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도널드 트럼프와 글로리아 안살두아의 '언어' 게임 (Language Games between Donald Trump and Gloria Anzaldúa)

  • 박정원
    • 비교문화연구
    • /
    • 제46권
    • /
    • pp.85-112
    • /
    • 2017
  • 미국의 제45대 대통령으로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는 선거캠페인이 시작된 이래로 '영어유일주의'를 천명해 왔다. 이 단일언어 정책은 세계화가 본격화된 1990년대 이후 미국의 인구학적, 문화적 변화에 직면하여 이민자와 다문화주의를 거부하고 토착주의를 강조하는 흐름의 연장선상에 놓여있다. 특히, 미국의 히스패닉화와 스페인어의 성장에 대한 반작용으로 백인중심의 문화와 가치를 고수하려는 시도와 연결되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트럼프의 단일언어주의를 대표적인 라티나 작가인 글로리아 안살두아가 제안하는 '경계의 언어'와 대비시키면서 코드스위칭의 효과와 이중언어 공동체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경계지대/국경"(1987)에서 안살두아는 하위언어인 스페인어를 텍스트에 포함시키며 자신의 언어적 현실을 드러냄과 동시에, 영어와 스페인어의 교차사용을 통한 번역작업을 시도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번역의 불가능성을 드러내면서 이중언어 사용의 불가피함을 암시하는 한편, 단일언어 독자들에게 타자의 언어와 문화를 이해하고 소통해야할 필요성에 대해 역설한다. 안살두아가 구현하는 '경계의 언어'는 이질적인 민족, 계급, 세대의 언어가 충돌하고 교섭하는 게임의 과정을 통해 생성된다. 고정되기보다는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언어적 형태를 통해 안살두아는 단일 언어주의를 넘어서는 새로운 시각과 더불어 다양한 언어들 사이에서 대안적 소통방식의 필요성을 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