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le duct hyperplasia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초

담관비대를 동반한 간섬유화에 이환된 어린 아마존 앵무새(orange winged Amazon parrot, Amazona amazonica) (Hepatic Fibrosis and Bile Duct Hyperplasia in a Young Orange Winged Amazon Parrot (Amazona amazonica))

  • 이소영;김대영;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17-620
    • /
    • 2011
  • 6개월령 아마존 앵무새(orange winged Amazon parrot, Amazona amazonica)가 2달 간 지속된 체중저하, 식욕감퇴, 복부팽만을 검사 받기 위하여 내원하였다. 신체 검사와 실험실 검사에서 유출성 복수, 아스파라진산 아미노전이효소와 담즙산의 증가 및 알부민-글로불린 비율의 감소와 같은 간부전이 의심되는 소견을 보여주었다. 간 생검을 통하여 담관 비대를 동반한 간섬유화가 진단되었다. 이 증상의 원인은 확실하지 않지만, 간독소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광주지역에서 발생한 토끼 Eimeria stiedae 감염증 (Outbreak of Eimeria stiedae infection in a rabbit farm in Kwangju)

  • 배성열;김철희;고바라다;박성도;나호명;김용환;오대영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85-390
    • /
    • 1998
  • A rabbit farm reared about 500 New Zealand White in Kwangju city was occurred Eimeria stiedae infection. Morbidity and cumulative mortality were more than 39% and 14%, respectively, from May, 1997 to March, 1998. Most of cases with severe diarrhea were belong to younger than 2-month old. In necrospy, there were multifocally white nodules with about 1-5mm in diameter on the liver surface and dark greenish mucous exudate in intestinal lumen. Main microscopic lesions included marked hyperplasia of the bile duct epitheilia containing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of Eimeria stiedae an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and the degeneration of small intestinal epithelia. Many oocysts of Eimeria stiedae were detected in the intestinal contents and epithelia, the feces, the bile juice, the bile duct and the liver.

  • PDF

Comparison of Histopathological Changes on the Three Drugs of Carbon Tetrachloride, Dimethylnitrosamine, Thioacetamide, and Bile Duct Ligation used for Induction of Liver Fibrosis in Rat

  • Kim, Jung-Hun;Park, Mi-Jung;Kim, Yo-El;Kim, Jin-Yeong;Sin, Jin-Hee;Park, Su-Young;Jekal, Seung-Joo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94-204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histopathological differences of liver lesions in carbon tetrachloride ($CCI_4$), dimethylnitrosamine (DMN), thioacetamide (TAA) and bile duct ligation (BDL)-induced rats. $CCl_4$, DMN and TAA were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and conducted bile duct ligation for 4 weeks to induce hepatic fibrosis. Indices of liver cell injury (steatosis, hydropic degeneration, bile duct hyperplasia, hemorrhage & hemosiderin deposition), the extent of liver fibrosis (fibrotic area) and the rate of regeneration (number of PCNA-positive cells) were investigated in each group. Liver tissue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eosin (HE), sirius red, prussian blue and immunostained with ${\alpha}$-smooth muscle actin (${\alpha}$-SMA),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 proliferative cell nuclear antigen (PCNA), and quantified using a computerized image analysis system. Liver cell steatosi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Cl_4$ and TAA groups, and hydropic degeneration and bile duct hyperplasi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AA and BDL groups when compared with that in normal control, respectively. Fibrosis are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four groups, especially in $CCl_4$ group. Correlation between ${\alpha}$-SMA and TGF-${\beta}1$ expressions in four groups was good. Hemorrhage area in liver parenchym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DMN group only when compared with that in normal control, while hemosiderin deposition are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AA and BDL groups as well as DMN group. The Number of PCNA-positive 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four groups, especially in TAA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uration and methods of hepatotoxic drug treatment are very important factors to make plans for animal experimentation on the induction of hepatic fibrogenesis in rats.

  • PDF

간흡충(Clonorchis sinensis)감염에 의한 흰쥐 담관 섬유모세포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효소의 감소 (Reduction of Mitochondrial Electron Transferase in Rat Bile duct Fibroblast by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 민병훈;홍순학;이행숙;김수진;주경환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2호
    • /
    • pp.89-99
    • /
    • 2010
  • 섬유모세포 (fibroblast)는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의 한 종류로서, 결합조직 전체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섬유모세포는 주위환경에 따라 형태가 쉽게 변하며, 대부분 결합조직내에 고정되어 분포하고 있지만 염증이 일어났을 때나 조직배양중에는 세포들이 이동하기도 한다. 또한 조직이 손상되었을 때 상처부위로 이동하여 대량의 콜라겐 층을 형성함으로써 손상된 조직을 복구시키기도 한다. 미토콘드리아는 전자전달계(electron transport system)를 통해 세포대사에 필요한 ATP를 생산하는 것을 주 기능으로 한다. 미토콘드리아의 형태적 변이와 산화적 스트레스 그리고 전자전달효소 결핍으로 인한 세포내 활성산소의 증가 등의 기능이상으로 세포의 노화가 이루어지기도 하며, apoptosis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지금까지 간흡충 (Clonorchis sinensis)에 감염된 담관 조직으로부터 분리하여 배양된 섬유모세포에서 나타나는 세포질돌기의 증가와 같은 형태적인 변화양상과 배양중의 섬유모세포에 간흡충 분비배설물질을 첨가할 경우 섬유모세포의 형태와 세포분열양상의 변화가 이루어진다는 보고가 있었다. 하지만 간흡충의 감염이 미토콘드리아 효소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간흡충 피낭유충을 실험쥐에 감염시킨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담관의 형태변화를 관찰하고,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과 담관으로부터 분리하여 배양한 섬유모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효소 분포를 확인하여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에 존재하는 섬유모세포가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 이상으로 인한 변이와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에 분포하는 섬유모세포에서는 주변 섬유성조직에 의한 물리적 손상으로 세포질이 파괴되고, 소포체의 확장 및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손상이 관찰되었다.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 효소는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 조직과 담관 섬유모세포를 분리하여 배양하였을 경우에 정상대조군에 비해 ATPase, COXII, porin의 분포가 감소하였다.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은 충체의 자극으로 인해 결합조직의 섬유화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담관에 존재하는 섬유모세포는 섬유조직에 의한 물리적 상해로 세포가 파괴되었다. 감염된 담관으로 부터 분리된 섬유모세포는 간흡충 감염에 의한 화학적 손상으로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효소가 감소되었다. 그 결과, 섬유모세포는 미토콘드리아의 전자전달계 기능이상으로 인한 세포사멸이 유도될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간흡충의 감염은 물리적 자극에 의한 담관의 섬유화, 화학적 자극에 의한 섬유모세포 대사과정의 변이를 유발하며, 미토콘드리아의 경우 ATP 생성을 위한 섬유모세포의 전자전달효소의 분포를 감소시켜 정상 조직에 존재하는 섬유모세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담관의 섬유화가 유지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토끼 간콕시듐(Eimeria stiedae) 감염 증례 (Hepatic coccidiosis(Eimria stiedae) in rabbits)

  • 한재철;한규삼;이성희;마쓰다기꾸;임병무;임채웅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5-19
    • /
    • 2001
  • Hepatic coccidiosis was occurred in a rabbit farm in Chonbuk province. Clinically, rabbits showed anorexia, diarrhea, dehydration, and depression, subsequently died 3 - 5 days after onset of clinical signs. Grossly, multifocal white spots or lines on the liver suface were observed. Histopathologic lesions included hyperplasia of bile duct epithelium with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such as plasma cells and granulocytes, which represents chronic pericholangitis.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of Eimeria stiedae were observed inside the epithelium of biliary system. This is the case of hepatic coccidiosis in rabbits.

  • PDF

배양된 흰쥐 담관 섬유모세포에 대한 간흡충 분비배설 물질의 영향 (Effect of Clonorchis sinensis Excretory-secretory Product on the Cultured SD Rat Bile Duct Fibroblast)

  • 권정남;민병훈;이행숙;김수진;주경환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2호
    • /
    • pp.117-124
    • /
    • 2009
  • 간흡충(Clonorchis sinensis)은 우리나라에서 높은 감염률(2.9%)을 나타내는 기생충으로(KAHP, 2004),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은 간흡충의 흡반에 의한 물리적 자극과 대사산물 및 분비물 등의 화학적 자극에 의해 담관염이 일어나고, 간흡충이 성장할 때 충체 주위의 담관 상피세포의 증식, 탈락, 담관 주위의 염증 및 섬유화가 일어난다. 담관 점막에 분포하는 섬유모세포는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의 한 종류로서 세포질돌기들이 잘 발달된 형태적 특징이 있으며, 세포질 내에 세포의 형태 유지, 신호전달, 인접세포와의 연접 등에 관여한다. 또한 조직을 발달시키고, 조직이 손상된 부위에서 콜라겐 층을 형성하여 손상된 조직이 복구되도록 하기도 한다. 상처의 반흔(scar) 형성과 지방축적, 염증(inflammation) 발생 과정에서 섬유모세포의 작용이 제대로 조절되지 못하면 섬유증(fibrosis)이 발달하게 된다는 연구 보고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흰쥐에서 분리된 담관 섬유모세포와 간흡충 감염 흰쥐에서 분리된 담관 섬유모세포를 배양하고, 각각의 실험군에 간흡충 분비배설 물질(Cs excretory-secretory product, ESP)을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배양된 섬유모세포의 미세구조 변화와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sialic acid 및 actin의 분포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간흡충 감염에 따른 섬유모세포의 변화 및 간흡충 분비배설 물질의 자극에 따른 섬유모세포의 변화를 관찰하여 흰쥐의 담관 섬유모세포와 간흡충 감염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상 흰쥐 담관에서 분리한 섬유모세포(G1)에 비하여 간흡충에 감염된 흰쥐 담관에서 분리한 섬유모세포(G2)와 간흡충 분비배설 물질을 첨가하여 배양한 섬유모세포(G1-1, G2-1)의 증식속도가 느린 것이 확인되었다. 세포질돌기의 수는 간흡충에 감염된 흰쥐의 담관으로부터 분리된 섬유모세포(G2)에서 가장 많은 수가 관찰되었고, 배양배지에 분비배설 물질을 첨가하면 정상 담관의 섬유모세포에서도 세포질돌기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간흡충 대사물질은 섬유모세포의 세포질돌기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간흡충에 감염된 흰쥐 담관에서 분리한 섬유모세포(G2)의 소포체는 정상 담관에서 분리된 섬유모세포(G1)의 것에 비하여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여기에 분비배설 물질을 첨가하면 섬유모세포의 소포체가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세포표면에 분비되는 sialic acid는 주로 세포질의 소포낭 주변에서 관찰되었으며, 정상 섬유모세포(G1, G1-1)보다 감염된 섬유모세포(G2, G2-1)에서 증가하였다. Actin은 세포표면과 세포질돌기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며, 정상 섬유모세포(G1, G1-1)보다 감염된 섬유모세포(G2, G2-1)에서 반응이 증가하였고, 간흡충 분비배설 물질을 첨가하면 G1-1은 반응이 증가하고, G2-1은 반응이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간흡충에 감염된 흰쥐 담관의 섬유모세포는 세포질돌기들이 매우 발달하며, actin단백과 sialic acid가 증가하여 세포변형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간흡충 감염으로 손상된 담관의 섬유모세포로 구성된 결합조직은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으며, 세포질 부피 및 세포질돌기의 증가는 이루어지지만 간흡충 대사물질의 영향으로 섬유모세포의 분열 및 성장 속도가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 간흡충 감염으로 손상된 숙주의 담관 결합조직과 섬유모세포들은 간흡충 대사물질에 의하여 변형을 일으키고, 세포 활성 및 증식이 저하되므로 팽대된 담관은 간흡충이 사멸된다 하더라도 원상회복이 불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염화탄소의 장기(長期) 투여(投與)로 유발된 백서(白鼠) 간경변(肝硬變)에 대한 형방지황탕(荊防地黃湯)의 조직병리학적 영향 (The Histopathology of Hyeungbangjihwang-tang Extracts on the Liver Cirrhosis of Fisher 344 Rats Induced by Long Time Carbon Tetrachloride Injection.)

  • 김승모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75-384
    • /
    • 2008
  • Objective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of Hyeungbangjihwang-tang (HBJHT) on the liver cirrhosis of rats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for 10 weeks. Method : The histopath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The HBJHT extracts were daily dosed at 50, 100 and 200mg/kg for 12 weeks. Results : Severe hepatocellular necrosis and ballooning, hyperplasia of connective tissue, subdued reduction of hepatic lobule, and hyperplasia of bile duct in portal triad were dramatically decreased in the HBJHT-treated group compared to that of the Carbon tetrachloride-treated control group in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The diameter of hepatic lobules was significantly enlarged in the HBJHT-treated group compared to that of the Carbon tetrachloride-treated control group, and the amounts of connective tissue, degenerative cells and bile ducts were significantly and dose-dependently decreased. Conclusion : It is concluded that HBJHT has a significant recovering effect on the liver of rats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 PDF

Dimethylnitrosamine을 투여한 햄스터에서 간홉충감염이 담관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and dimethylnitrosamine administration on the induction of cholangiocarcinoma in Syrian golden hamsters)

  • 이재현;임한종;박응복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1호
    • /
    • pp.21-30
    • /
    • 1993
  • 간흡충은 담관암 발생의 원인적 요소로 알려졌다. 그러나 간흡충이 담관암을 일으키는 병리 기전은 자세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15 ppm의 dimethylnitrosamine(DMN)을 먹는 물로 투여한 햄스터에 간흡충을 감염시켜 담관암의 발생여부를 알아보고 담관암의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DMN을 투여하고 간흡충을 감염시킨 챔스터에서 11주 후에 8마리 중 6마리가 육안적 혹은 조직학적으로 담관암(cholangiocarcinoma)의 소견을 보였으며 나머지 2마리는 담관종(cholangiofibroma)으로 진단할 수 있었으나 부분적으로 악성적인 모습도 관찰 할 수 있었다. 담관암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은 담관상피세포가 선종상 혹은 유두상의 증식을 나타내고 높은 이형성을 보였으며 점액세포화생과 괴사소를 보이고 있었다. DMN 만을, 혹은 간흡충만을 투여하거나 감염시킨 햄스터들에서는 담관암이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본 .실험은 DMN을 투여한 햄스터에 간흡충감염으로 담관암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DMN과 간흡충의 협동작용(synergism)을 보여준 것으로 추정한다.

  • PDF

Long-lasting sonographic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in cured clonorchiasis of rabbits

  • Choi, Dong-Il;Lim, Jae-Hoon;Kim, Seung-Kwon;Kim, Eung-Yeop;Lee, Me-Jeong;Hong, Sung-Ta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7권2호
    • /
    • pp.77-83
    • /
    • 1999
  • To ascertain residual sonographic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of clonorchiasis after treatment, the present study evaluated sonographic findings in rabbits which were infected with 500 metacercariae of C.sinensis every 6 months for 18 months after treatment with praziquantel. The sonographic findings were analyzed in terms of intrahepatic bile duct dilatation and periductal echogenicity,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were observed after the last sonographic examination. Compared with the sonographic findings before treatment, dilatation of the intrahepatic bile ducts became mild to some degree in four of the seven cases and increased periductal echogenicity resolved in four of them. The histopathological specimens after 18 months showed that periductal inflammation has almost resolved but moderate dilatation of the intrahepatic ducts and mucosal hyperplasia persisted. The periductal fibrosis minimally resolved. The log-lasting sonographic findings in cured clonorchiasis make sonography less specific.

  • PDF

흰쥐에 대(對)한 간질피낭유충(肝蛭被囊幼蟲)의 인공감염(人工感染)과 혈액상(血液像)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rtificial infection and the hematological change with Fasciola hepatica metacercariae in rats)

  • 강승원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49-557
    • /
    • 1994
  • This study was done to find the method of the extermination of Fasciola hepatica matacercariae. And the artificial infection was carried out with 30 metacercarae exposed to 5% ammonia water and not-exposed to 5% ammonia water. Serial determinations of live weight, red blood cell, hemoglobin, packed cell volume, and eosinophils were performed in rats at 7 days interval for 16 weeks after infection (WAI). Recovery of worm burden and microscopic findings of livr was performed in rats at 10 WAI. The results in this work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Fasciola spp metacercariae exposed to 5% ammonia water have lost their ability of infection. 2. In teh exposed group, the mean of worm recovered was 2.25 and the common bile duct was swelling up to 0.71cm in diameter. 3. The value of live weight was different in two groups as the not-exposed group and the exposed group were 321.28, 384.38 at 10 WAI, respectively. 4. In the not-exposed group, at 7 WAI, hemoglobin at 5 WAI and packed cell volume at 7 WAI wre minimally decreased to $5.84{\times}10^{-6}/mm^3$, 11.53g/dl and 43.2%, respectively. But those three values were slowly increased at 10 WAI. Rercent cosinophil was increased to 12.2% at 4 WAI and slightly decreased to 7.9% at 10 WAI. But there are no stastistical singnificance between the exposed group and the normal control group. 5. In histolgical findings in the not-exposed group, the dilated common bile ducts and intrahepatic bile ducts showed distinct hyperplasia of the epithelium. Lymphocytes and eosinophils were infilterated around the bile ducts. The hepatic cells and Kupffer cells showed swollen appear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