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lateral shift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초

Mean Shift Segmentation을 이용한 수채화 스타일 변환 기법 (Retouching Method for Watercolor Painting Style Using Mean Shift Segmentation)

  • 이상걸;김철기;차의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년도 제42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8권2호
    • /
    • pp.433-43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영상처리에서 많이 사용하는 bilateral filtering과 mean shift segmentation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사진을 수채화 스타일로 변환하는 기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먼저 bilateral filtering을 이용하여 사진의 외곽선 부분은 보존하면서 고주파 성분을 약화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bilateral filtering된 영상에서 mean shift segmentation을 수행하여 수채화 스타일의 영상을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으로 다양한 사진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수채화 스타일로 잘 변화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주광에서 촬영한 풍경 사진들에 대하여 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PDF

Bilateral 필터와 Mean-Shift 알고리즘을 이용한 의상 색상 분석기법 (Clothing Color Analysis Techniques using Bilateral Filter and Mean-Shift Algorithm)

  • 김혜민;정창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413-1415
    • /
    • 2015
  • 본 논문에서 우리는 의상영역의 유사성을 검사 시 색상분석에 있어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Bilateral 필터와 Mean-Shift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평가부분에서 필터를 적용한 영상이 의상영역의 구김이나 빛에 의한 영향이 필터를 적용하지 않은 영상보다 적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증명한다.

Mean Shift Segmentation을 이용한 스마트폰 기반의 수채화 효과 변환 기법 (Smartphone Based Retouching Method for Watercolor Painting Effect Using Mean Shift Segmentation)

  • 이상걸;김철기;차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2413-241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최근 급속히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에서 촬영한 사진 영상을 수채화 효과가 나도록 변환하는 기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제안하는 수채화 효과 변환 기법은 영상처리 분야에서 많이 사용하는 양방향 필터링(bilateral filtering)과 평균 이동 분할(mean shift segmentation)을 이용한다. 먼저 입력 영상을 스마트폰 화면 해상도로 크기 변환한 후 양방향 필터링을 이용하여 사진의 외곽선 부분은 보존하면서 고주파 성분을 약화시키도록 한다. 다음으로 양방향 필터링을 거친 영상에서 평균 이동분할을 수행하여 최종영상을 생성한다. 실험을 통하여 스마트폰의 연산속도를 고려한 평균 이동 분할의 파라미터 값을 설정하여 다양한 사진에 대하여 수채화 효과가 잘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Mean Shift Segmentation을 이용한 수채화 효과 생성 기법 (Retouching Method for Watercolor Painting Effect Using Mean Shift Segmentation)

  • 이상걸;김철기;차의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25-3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영상처리에서 많이 사용하는 양방향 필터링(bilateral filtering)과 평균 이동 분할(mean shift segmentation)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사진을 수채화 효과가 나도록 하는 리터칭 기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먼저 양방향 필터링을 이용하여 사진의 외곽선 부분은 보존하면서 고주파 성분을 약화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양방향 필터링된 영상에서 각각 DoG(Difference of Gradient) 에지 추출과 평균 이동 분할을 수행한다. 이때 DoG 에지 추출은 원영상의 RGB 색상 공간을 CIELAB 공간으로 변환 후 휘도(luminance) 성분만 이용하여 추출하도록 하며 두 결과를 결합하여 최종 영상을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으로 다양한 사진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수채화 효과가 잘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주광에서 촬영한 풍경 사진들에 대하여 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Mean Shift Segmentation을 이용한 스마트폰 기반의 수채화 효과 변환 기법 (Smartphone Based Retouching Method for Watercolor Painting Effect Using Mean Shift Segmentation)

  • 이상걸;김철기;차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6-20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최근 급속히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에서 촬영한 사진 영상을 수채화 효과가 나도록 변환하는 기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제안하는 수채화 효과 변환 기법은 영상처리 분야에서 많이 사용하는 양방향 필터링(bilateral filtering)과 평균 이동 분할(mean shift segmentation)을 이용한다. 먼저 입력 영상을 스마트폰 화면 해상도로 크기 변환한 후 양방향 필터링을 이용하여 사진의 외곽선 부분은 보존하면서 고주파 성분을 약화시키도록 한다. 다음으로 양방향 필터링을 거친 영상에서 평균 이동 분할을 수행하여 최종 영상을 생성한다. 실험을 통하여 스마트폰의 연산 속도를 고려한 평균 이동 분할의 파라미터 값을 설정하여 다양한 사진에 대하여 수채화 효과가 잘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견관절 다방향 불안정성의 하방 관절낭 이동술에 대한 중간 추시 결과 (The Mid-term Results of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for Multidirectional Instability of the Shoulder)

  • 이용걸;조창현;이재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3권1호
    • /
    • pp.1-9
    • /
    • 2000
  • Purpose: To report the mid-term results of the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for the multidirectional instability, and to analyze whether the bilateral laxity, the generalized ligamentous laxity and the voluntary instability can influence upon the final outcome. Material and Method: We reviewed 95 patients with 96 shoulders treated by the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for multidirectional instability through an anterior approach. In total, 49 shoulders(51%) showed generalized ligamentous laxity, 56 shoulders(58%) bilateral laxity, and 65 shoulders(68%) voluntary subluxation. Mean follow-up was 27 months(11-60 months). Result: The final Rowe score was 75 points in patients who had had at least one of the bilateral laxity, generalized ligamentous laxity, or the voluntary subluxation and 84 points without any of these in each element. Seventy-five percent of the bilateral laxity and 87% of the unilateral instability continued to function well without any pain and instability postoperatively. Those with a voluntary(74%), those with an involuntary instability(83%), those with a generalized ligamentous laxity(73%) and without laxity(84%) could do well a daily living activity without instability Eighty-six percent who had had the voluntary instability was eliminated completely the voluntability. Eighty-four percent of the patients stated that they were subjectively satisfied with the status of their shoulder. Nine shoulders(9.4%) had recurrence of symptomatic and disabling instability and theses patients had had at least voluntary instability preoperatively. Seven patients(7.3%) suffered from the stiff shoulder after the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Conclusion: The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in multidirectional instability provided satisfactory results both in objective and subjective terms. Nonetheless, a patient who has a bilateral laxity, a generalized ligamentous laxity or a voluntary instability could be expected less favorable results compared to those with neither of these. A careful selection of the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for the multidirectional instability is needed before surgery. But our results suggests that a voluntary instability is not always poor candidate for the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 PDF

양방향 필터 기반 Mean-Shift 기법을 이용한 강인한 얼굴추적 (Bilateral Filtering-based Mean-Shift for Robust Face Tracking)

  • 최완용;이윤형;정문호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319-1324
    • /
    • 2013
  • Mean-Shift 알고리즘은 목표모델과 후보영상 사이의 컬러분포의 유사도를 이용하는 국부적 탐색기법으로서, 그 기법의 단순성 및 안정성 면에서 뛰어나 얼굴추적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컬러분포를 이용한 얼굴추적은 목표모델과 유사한 컬러분포를 갖는 객체나 배경의 영향에 취약하다. 또한 얼굴 추적에서 결정되는 얼굴영역은 얼굴인식 혹은 얼굴방향 등을 계산할 때 중요한 단서가 되는데, 완전히 다른 컬러분포를 갖는 객체의 가려짐으로 얼굴영역의 크기나 위치가 변동될 위험이 있다. 대체로 거리정보는 얼굴과 배경의 구분에 효율적이고 컬러정보는 객체 구분에 유리하다는 가정으로부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거리 정보와 컬러 정보를 함께 이용하는 양방향 필터를 고안하고, 이것을 Mean-Shift 알고리즘에 활용하였다. 일련의 실험을 통해 성공적인 실험결과를 얻었다.

양측 견관절에 발생한 전방 불안정성 (Bilateral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 이용걸;조남수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4권2호
    • /
    • pp.181-185
    • /
    • 2001
  • Purpose: We reviewed the bilateral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to evaluate the final outcomes and influencing factors that had effect on the final outcomes. Materials and Methods: Sixteen patients of the bilateral shoulder instability underwent the operative treatment and 15 patients could be followed up average 29 months. There were Bankart lesions in 28 cases and 46% retracted markedly onto the medial side of the glenoid neck. Capsular redundancy could be seen in 50%, but the generalized ligamentous laxity in only two patients. We performed open Bankart repair in 21 cases and arthroscopic repair in 9 cases. Inferior capsular shift was performed in 12 cases of 15 cases in patients who was shown the capular redundancy. Results: The average increment of the forward flexion was 4° postoperatively but the average decrement of the external rotation was 6° postoperatively. After the inferior capsular shift surgery, there were significantly the decrement in external rotation by 13° even though the forward flexion was at the same level comparing with preoperative motion. There were 13 cases(43%) in excellent result, 14 cases(47%) in good and 3 case(l0%) in poor. Rowe score improved from 53 to 87.3 postoperatively. Conclusion : Re-establishing a proper capsular tensioning in a bilateral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is critical to ultimate success because there was a redundant laxity in a half and majority of them had marked retraction of an anteroinferior glenohumeral ligament complex. Especially,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an unexpected limitation of external rotation could be occurred in the inferior capsular shift surgery.

  • PDF

Clinical Significance of Decompressive Craniectomy Surface Area and Side

  • Jo, KwangWook;Joo, Won Il;Yoo, Do Sung;Park, Hae-Kwa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4권2호
    • /
    • pp.261-270
    • /
    • 2021
  • Objective : Decompressive craniectomy (DC) can partially remove the unyielding skull vault and make affordable space for the expansion of swelling brain cont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linical outcome according to DC surface area (DC area) and side. Methods : A total of 324 patients underwent different surgical methods (unilateral DC, 212 cases and bilateral DC, 112 cases)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analysis. Their mean age was 53.4±16.6 years (median, 54 years). Neurological outcome (Glasgow outcome scale), ventricular intracranial pressure (ICP), and midline shift change (preoperative minus postoperative) were compared according to surgical methods and total DC area, DC surface removal rate (DC%) and side. Results : DC surgery was effective for ICP decrease (32.3±16.7 mmHg vs. 19.2±13.4 mmHg, p<0.001) and midline shift change (12.5±7.6 mm vs. 7.8±6.9 mm, p<0.001). The bilateral DC group showed larger total DC area (125.1±27.8 ㎠ for unilateral vs. 198.2±43.0 ㎠ for bilateral, p<0.001). Clinical outcomes were nonsignificant according to surgical side (favorable outcome, p=0.173 and mortality, p=0.470), significantly better when total DC area was over 160 ㎠ and DC% was 46% (p=0.020 and p=0.037, respectively). Conclusion : DC surgery is effective in decrease the elevated ICP, decrease the midline shift and improve the clinical outcome in massive brain swelling patient. Total DC area and removal rate was larger in bilateral DC than unilateral DC but clinical outcome was not influenced by DC side. DC area more than 160 ㎠ and DC surface removal rate more than 46% were more important than DC 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