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bliography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4초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bile Services Based on Smartphone Application in Academic Libraries)

  • 정종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71-191
    • /
    • 2011
  • 본 연구는 스마트폰과 앱에 관한 정보통신기술의 원리를 소개하고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대표적인 서비스 사례들을 살펴보고 미래 도서관의 모바일서비스 예측에 의거 바람직한 스마트폰 앱기반의 모바일 서비스 전략을 제시하였다.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스마트폰 앱기반 모바일서비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모바일 웹과 앱을 연계한 하이브리드 서비스 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도서관서비스에 적용할 스마트폰 앱 평가 원칙을 수립한다. 셋째, 대학도서관의 마케팅과 교육서비스에 앱을 개발하거나 활용한다. 넷째, 앱정보에 대한 앱서지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학습콘텐츠 공간특성 분석과 디자인 방향 제시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Digital Learning Contents Space and Suggestion on Design Directions)

  • 김미실;문정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11-19
    • /
    • 2010
  •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ave brought sharp changes to every sector such as society, culture, economy and education becaus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 number of classes has decreased, and some schools are closed or incorporated due to decrease of the population. Such phenomenon has brought changes to learning using digital technology and space. A change called digital innovation is characterized by interactive communication centering on the internet network.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predict educational environment to be changed according to digital environment and to note how real learning space is change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n society in general presents two concepts of digital and contents, digitalized information. Such technology is recognized as a new paradigm in education sector and a new space is created through participation of instructors and learners in learning space. This study analysed cases of learning space of elementary schools based on bibliographical examination and related bibliography including data from academic presentations and news release to present developed leaning space. To present healthy and creative learning environment which can lead knowledge and information-based society in the future, the preface described the background, purpose, methods and range of the study, and analysed transitional processes of society and culture, digital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space i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s. Finally the study identified trends and cases of research on learning space and suggested digital learning contents space.

러시아에서의 고려인이 생산한 한글정보자원에 관한 연구 : 1900-1937 (A Study on the Hangeul Information Resources Produced by Korean and Those Contents in Russia: 1900-1937)

  • 김정현;장우권;김홍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57-379
    • /
    • 2006
  • 해외 한민족의 정보자원의 생성과 변화는 민족공동체의 존립방식이나 사회변동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러시아의 곳곳에 산재해 있는 고려인이 생산한 한글정보자원 현황 (1900-1937)을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러시아에서 고려인의 정보자원은 고려인의 이주역사와 함께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고려인 사회와 정보자원, 그리고 고려인 디아스포라의 형성과 발전과정, 고려인 한글정보자원을 출판형태와 주제, 소장 기관별로 나누어 실태조사를 하였다.

  • PDF

한국의 문헌정보학분야 석.박사 학위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1959∼2002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the Master′s & Doctor′s Dissertations in the Field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1959∼2002)

  • 손정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1-42
    • /
    • 2003
  • 이 연구는 1959∼2002년간의 문헌정보학분야 석ㆍ박사학위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1959∼2002년간의 연평균 발표량을 38.5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도별로는 2002년이 가장 많고, 영역별 연평균 발표량은 순위는 도서관경영, 정보학, 공공봉사, 자료조직, 서지학, 장서개발(관리), 도서 및 도서관사, 문헌정보학기초 순으로, 각 영역의 주제별로는 문헌정보학교육, 도서관경영론 전반, 분류법, 장서개발(관리) 일반, 참고 정보봉사, 분석서지학, 도서관사, 정보검색분야가 각 영역의 타 주제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토착적 건축현상으로서 교우마을에 대한 연구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천호마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atholic Villages as an Incultural Architecture Phenomenon - Focusing on Chunho Village, Bibong-myun, Wanju-gun, Chounlabuk-do -)

  • 김학삼;진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89-99
    • /
    • 2005
  • This study aims to give an architectural meaning to the process of change in villages formed to maintain the religious lives. We can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 by reviewing and analyzing primarily the details in relation to the bibliography and actually evaluating and analysing the current status of relevant villages second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al meaning of Catholic village. The architectural Image contained in physical architectural phenomenon displays the change in religious values while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s are responding to the architectural space of Cheonho Village, and this, as a cultural byproduct, is the architectural phenomenon that encompasses the process by which religion takes root in the farming society of Korea that reveals the change in value inherent in the community. The result from study that we conducted via the architectural space of Cheonho Village is interpreted as an architectural phenomenon that encompasses the religion as part of routine lives in a way that is different from the process of becoming in-cultural, and this can be interpreted to have a meaning and character as incultural architecture phenomenon.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 인용(引用)된 "어약원방(御藥院方)" 연구(硏究) (A Study on Yuyaoyuanfang quoted in Hyangyakjipseongbang)

  • 엄동명;송지청;금경수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1-83
    • /
    • 2013
  • Objective : Printed in early Chosun dynasty Hyangyakjipseongbang quoted several medical books that were published at that time. Yuyaoyuanfang was printed in Yuan dynasty, China and imported to Chosun dynasty. However, Yuyaoyuanfang was vanished in history and another Yuyaoyuanfang, which is now-exist[Guisixinkan-Yuyaoyuanfang], was printed in Japan. In Hyangyakjipseongbang, Yuyaoyuanfang are mentioned 31 times but Yuyaoyuanfang quoteded in Hyangyakjipseongbang is quite different from Guisixinkan-Yuyaoyuanfang. Therefore, we had interests of those differences and tried to find out them in article. Method : We use the method of comparing quotations of Yuyaoyuanfang in Hyangyakjipseongbang with Guisixinkan-Yuyaoyuanfang. Result : 4 of 31 prescriptions of Yuyaoyuanfang quoteded in Hyangyakjipseongbang does not exist in Guisixinkan-Yuyaoyuanfang and several parts such as symtoms, herbs, taking methods of prescrip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Conclusion : Hyangyakjipseongbang prove the fact that Guisixinkan-Yuyaoyuanfang is not original form of Yuyaoyuanfang.

표현형 계층을 중심으로 한 FRBR 모형 분석 및 목록 체계 수용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FRBR Adoption into Cataloging Rule Focused on its Expression Level)

  • 조재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21-239
    • /
    • 2005
  • FRBR(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은 개체-관계형 모델을 기반으로한 서지 정보의 새로운 개념 모델로 향후 개정될 AACR 3의 기본 개념으로 자리잡고 있다. JSC(Joint Steering Committee for Revision of AACR)는 FRBR 개념을 수용하기 위한 다각도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표현형 계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통일 표제의 전면적인 용도 변경과 GMD(General Material Designation)의 개선을 건의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FRBR의 발전 과정과 표현형 계층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FRBR 개념 수용을 위한 AACR3의 개정 방향을 고찰한다. 또한 이러한 세계적 흐름에 따른 우리 목록 규칙과 목록 레코드의 실제 작성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과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본다.

  • PDF

"조선도서해제"의 목록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rn Catalog Characteristics of Chosundoseohaeje)

  • 도태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8
    • /
    • 2003
  • 일제시대 세 차례에 걸쳐서 출간된 $\ulcorner$조선도서해제$\lrcorner$는 다음과 같은 현대적 목록의 특성을 갖추고 있다. 첫째, 각각의 저록에는 서명, 권책수, 편저자, 판본을 기입하고 저술의 시기, 저자, 동기, 구성 및 내용, 편저자의 전기 등을 포괄하여 해당 문헌을 해제하였다. 둘째, 이 목록은 시부분류체계에 의한 주제검색, 오십음순색인에 의한 서명검색, 왕호표, 편저자성별표에 의한 인명검색을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각각의 저록에는 규장각도서번호를 첨부함으로써 해당 도서의 배열위치를 알 수 있게 하였다.

  • PDF

KDC 조기표를 이용한 국내서의 패싯 내비게이션 기능 개선 방안 (Improving Faceted Navigation Using the KDC Tables for the Korean Bibliography)

  • 박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7-6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조기표를 활용하여 차세대 도서관 목록(NGC)에서 강조하는 검색 결과의 패싯 내비게이션 기능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조기표는 자료의 형식적인 측면이나 내용 측면을 체계적으로 나타내므로, 기존의 NGC에서 제공하고 있는 주요 패싯인 언어나 발행년도, 주제(대구분)와 같이 효과적인 패싯이 될 수 있다. 이에 한국십진분류법(KDC)을 적용한 서지레코드의 분류기호를 분석하여, 본표와 조기표의 합성 현황과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본표에 합성된 조기성 기호가 패싯 내비게이션 기능 강화에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 방안은 분류기호를 부여하기 위해 기존에 이루어져 왔던 주제 분석 과정의 산물을 재사용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이점도 가지고 있다.

고려국신조대장교정별록의 분석을 통해 본 초조 및 재조대장경의 변용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ransformation of the First and the Second Carved Tripitaka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Koryokukshinjodaechangkyochongbyollock)

  • 강순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3-146
    • /
    • 1994
  • Koryokukshinjodaechangkyochongbyollock is an epoch-making catalogue for historical study of proofing Buddhist scriptures in Korea. This bibliography was appended to the 30 volumes which was corrected in 70 Ham, 66 scriptures, and 79 cases.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carved Tripitaka' s texts in Korea, texts made in the Sung dynasty, and the Kitan's texts, this catalogue discovered the name of scriptures, translators, volume number, the changed am order as well as omission, defaults, mistranslation of the Tripitaka made in the Sung dynasty. From Chon-ham to Young-ham, 480 sets among Kaewon-sokkyorock and 43 sets among Chongwonrock were correctly laid. Songshinyokkyong and the Sung Emperor, T'ai Tsung's statements were excluded. Even though it was possible to get these scriptures only by import from Sung, these imported scriptures had no reason to be proofed because of their new version and the author's direct selection in Sung. Shinchipchangkyon-geumeuisuhamlock has no authentic Sung's and Koryo's text books for correction. kyochongbyollock delivered the scriptures listed on Kudaechangmoklock, which gives an important clue to research transformation from the first to the second carved Tripitaka. Through the systematic study of the transformated facts beteween the first carved Tripitaka and the second one, This study would help rebulid the original Chojodaechan-gkynng which has been not yet perfectly discovered itself.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