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hydroxybutyric acid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1초

Candida rugosa 변아주를 이용한 D-\beta-Hydroxybutyric Acid 발효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D-\beta-hydroxybutyric Acid Fermentation Using a Mutant of Candida Rugosa IFO0750)

  • 경수현;신철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355-360
    • /
    • 2000
  • Candida rugosa IFO0750의 UV-변이주를 제조하여 butyric acid를 D-$\beta$-hydroxybutyrin acid(이하 D-$\beta$-HBA)로 전환하는 데 이용하였다. 후보 변이주 중 활성이 가장 높은 Candida rugosa CM42를 이용하여 발효를 수행한 후 NMR 분석, polarimeter 분석 등을 통하여 생성된 물질이 D-$\beta$-HBA 임을 확인하였다. Chemostar 배양을 이용하여 D-$\beta$-HBA 발효 생산의 주요 영향인자를 분석하였으며, 균체의 활성을 나타내는 비생산성의 최대치는 균체의 비증식 속도를 0.06, 발효조 내의 glucose와 butyric acid의 농도를 각각 10g/L와 8.7 g/L로 각각 유지 할 때 얻어졌다. 회분식 배양 중에 glucose와 butyric acid를 공급하여 발효조 내의 glucose 및 butyric acid 농도를 최적조건으로 유지하는 fed-batch 발효를 수행하였다. 배양 180 시간 후에 D-$\beta$-HBA 농도가 약 12.4 g/L에 도달하였으며 회분식 발효에 비하여 4.7배 증가하였다.

  • PDF

Alcaligenes eutrophus phbCAB Operon의 재조합과 Poly-$\beta$-hydroxybutyric Aicd의 대장균내 축적 (Construction of the Recombinant phbCAB Operon of Alcaligenes eutvtrphus for Accumulation of Poly-$\beta$-hydroxybu tyric Acid in Escherichia coli)

  • 김경태;박진서;이용현;허태린;박해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21-228
    • /
    • 1993
  • In order to achieve poly-beta-hydroxybutyric acid (PHB) production using recombinant DNA in various host bacterial cells, the isolation of genes for PHB biosynthesis was attempted. As a result, a 5.2kb DNA fragment containing phbCAB operon of Alcaligenes eutrophus was isolated by colony hybridization using synthetic oligodeoxyribonucleotides as probes. The constructed recmbinant plasmid pSK(+)-phbCAB operon was transferred to Escherichia coli, and the obtained transformant accumulated considerable amount of PHB.

  • PDF

Formatotrophic Production of Poly-β-hydroxybutyric Acid (PHB) from Methylobacterium sp. using Formate as the Sole Carbon and Energy Source

  • Cho, Dae Haeng;Jang, Min Gee;Kim, Yong Hwa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5호
    • /
    • pp.719-721
    • /
    • 2016
  • Formate has been considered as an environmentally sustainable feedstock that can be used to accelerate the production of valuable chemicals. This study presents brief results of the formatotrophic production of Poly-${\beta}$-hydroxybutyric acid (PHB) by Methylobacterium sp. To evaluate the production of PHB, five species of Methylobacteria were tested using formate as the sole carbon and energy source. Methylobacterium chloromethanicum CM4 exhibited the highest productivity of PHB, which showed 1.72 g/L PHB production, 32.4% PHB content, and 0.027 g-PHB/g-formate PHB yield. These results could be used for the formatotrophic production of PHB with the concurrent reduction of $CO_2$ to formate.

Methanol 자화성 세균 Pseudomonas sp. ILS-003에 의한 $poly-{\beta}-hydroxybutyric$ acid의 생산 (Production of $poly-{\beta}-hydroxybutyric$ acid by methanol assimilating bacterium, Pseudomonas sp. ILS-003)

  • 이일석;방원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3호
    • /
    • pp.273-278
    • /
    • 1991
  • Methanol 자화성 세균 Pseudomonas sp. ILS-003 균주를 이용하여 methanol로부터 PHB생산의 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PHB 생산에 있어서 초기 pH 6.4, 온도 $30^{\circ}C$ 및 methanol 농도가 1.0(v/v)일 때 최적이었으며, 질소원으로는 $(NH_4)_2SO_4$가 최적이었으며 농도는 0.8g/l로서 C/N비가 17.4이었다. 또한 2가 금속이온의 결핍은 PHB축적효과를 나타내었다. Fed-batch culture에서 methanol 첨가의 효과는 0.25%(v/v)씩 첨가했을 때 가장 좋았다. 상기의 최적조건하에서 96시간 배양시 균체량은 2.78g/l였고 PHB의 양은 1.94g/l로서 건조균체량의 69.8%이었다.

  • PDF

Alcaligenes sp.에 의한 Poly-$\beta$-Hydroxybutyric Acid의 축적 (Accumulation of Poly-$\beta$-Hydroxybutyrie Acid by Alcaligenes sp.)

  • 임명순;손홍주;박수민;이종근;이상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63-370
    • /
    • 1992
  • 토양으로부터 PHB 생산능이 우수한 균주 FL-027을 분리하여 분류학적 제 특성을 검토한 결과 Alcaligenes속으로 동정되었다. Alcaligenes sp.의 최적 생육 조건은 과당 8.0$g/\ell$, $(NH_4)_2S0_4$ 3.0$g/\ell$ (즉 C/N molar ratio가 5.04) 및 pH7.0과 $30^{\circ}C$였으며, PHB 축적은 과당 8.0$g/\ell$, (NH4)2SO4 0.25g/l(즉 C/N molar ratio가 60) 및 pH6.5와 30'C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NH_4^+$, $Ca^{2+}$, $SO_4^{2+}$의 결핍이 PHB축적을 촉진하였으나 이들 중 $NH_4^+$가 가장 효과적으로 PHB축적을 유도하였다. 고농도배양을 위해 과당을 간헐적으로 첨가하여 최적농도를 유지하면서 유가배양을 실시한 결과 균체량은 25.1$g/\ell$, PHB 축적량은 10.84$g/\ell$로 건조균체량의 43까지 축적되었다. 분리정제된 PHB를 IR 및 $^1H-NMR$로 분석한결과 3-hydroxybutyric acid의 homopolymer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Poly ${\beta}>-hydroxybutyric$ Acid를 이용한 약물방출 조절 (Control of Drug Release by Poly ${\beta}>-hydroxybutyric$ Acid)

  • 나재운;김종균김선일
    • KSBB Journal
    • /
    • 제6권1호
    • /
    • pp.79-83
    • /
    • 1991
  • 생물고분자인 PHB로 고분자 matrix를 제조하여 대상약물인 silver sulfadiazine의 방출기전을 연구하였다. 고분자 matrix내의 PHB의 함유량 증가와 matrix의 두께비가 증가할수록 방출속도는 늦어졌다. 그러나 가소제량이 증가함에 따라 방출 기전은 각각 18, 17, 16, 12 및 10시간으로 감소하였다. 이 제형은 약물방출기전은 Higuchi model에 따른 확산으로 생각되었다. 결론적으로 PHB의 함유량과 가소제의 함유량 및 matrix 두께의 상관관계를 조절하므로써 특정한 약물의 방출기전을 얻을 수 있는 maxtrx형태의 개발 가능성을 보였다.

  • PDF

메탄자화균 Methylosinus trichosporium OB3b를 이용한 액화 천연가스로부터 poly-$\beta$-hydroxybutyric acid(PHB)의 생산 (Production of poly-$\beta$-hydroxybutyric acid(PHB) from Liquefied Natural Gas using an Obligatory Methanotroph Methylosinus trichosporium OB3b)

  • 황재웅;박성훈
    • KSBB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246-253
    • /
    • 1996
  • 생분해성 고분자의 생산 단가를 낮추기 위해 값싼 원료인 LNG와 강제성 메탄자화균인 M. tricha­s sparium OS3b를 이용하여 PHS 생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중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업용 기질인 LNG를 에탄 원료로 사용한 경 우 LNG 중의 에탄과 프로판에 의해 비성장 속도가 감소하였으내(저해상수 $K_1=0.12%$) PHS 생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2. 배양액 중 구리 이온이 결핍되면 PHS 축적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3. 각종 영양원 결핍조건에서 PHS 축적능을 시험 하였을 때, 칼륨, 마그네숨, 그리고 질소원 결핍이 높은 PHS 축적율을 보였고, 특히 질소원의 경우 최 고 45%의 축적율을 보였다. 4. 최척의 질소원/탄소원의 비는 존재하지 않았고, 질소원의 농도가 낯을수록 PHS 축적율은 증가 하였다. 5. PHS 축척을 위한 최적 온도와 pH는 각각 $30^{\circ}C$와 7.0이었다.

  • PDF

분홍색 통성 메탄올 자화세균이 생산하는 Poly-$\beta$-Hydroxybutyrate (Poly-$\beta$-Hydroxybutyrate Produced by Pink-Pigmented Facultative Methylotrophic Bacterium from Methanol)

  • 송미연;이재호;이용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3-279
    • /
    • 1990
  • PHB 생산을 위하여 메탄올을 기질로 한 선별배지에서 토양, 하천수, 퇴비 등으로부터 분홍색 색소를 가지는 PHB 축적 facultative methylotroph를 분리하여, 균주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분리균주의 최적 생육조건과 PHB 축적을 위한 배양조건을 조사한 결과 균체의 생육은 메탄올 농도 1.0(v/v), 질소원인$ NH_4C$ 농도 1.0g/l, 즉 C/N ratio 13.2 일때 그리고 pH 7.0과'$30^{\circ}C$에서 가장 좋았으며, PHB는 C/N ratio가 50.8, 즉 메탄올 농도 1.0(v/v )$NH_4CL$ 0.26g/l 일때, 그리고 pH 6.0일 때 건조중량의 약 40까지 축적되었다. 고농도 메탄올에 의한 생육저해를 극복하기 위하여 기질을 간헐적으로 계속 공급해주는 fed-batch 배양을 시도한 결과 균체량은 14g/l, PHB 축척량은 5.5g/l까지 증가시킬 수 있었다. 생산된 PHB를 분리.정제하여 IR과 $^I H-NMR$로 구조를 분석한 결과 3-hydroxybutyric acid 의 homopolymer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균주의 pink-pigment를 추출하여 absorption spectrum를 조사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였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eta$-Hydroxybutyrate Dehydrogenase- deficient Mutant of Rhodobacter sphaeroides 2.4.1

  • Kho, Dohng-Hyo;Lee, Jeong-Ku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7권5호
    • /
    • pp.360-362
    • /
    • 1997
  • A transposon Tn5 mutant of Rhodobacter sphaeroides 2.4.1 was isolated for its impaired ability of growth on minimal medium containing ${\beta}$-hydroxybutyric acid as a sole carbon source. The mutant, R. sphaeroides S7 showed approximately 6-fold decrease in ${\beta}$-hydroxybutyrate dehydrogenase activity compared with that of wild type. In R. sphaeroides S7 the Tn5 was located in DNA region corresponding to a 4.2-kb EcoRI DNA fragment of R. sphaeroides 2.4.1 chromosome.

  • PDF

Correlation of ketone bodies in blood and spleen

  • Sookyung Jeon;Sumin Lee;Wooyong Park;Chihyun Park;Minjung Kim
    • 분석과학
    • /
    • 제36권4호
    • /
    • pp.170-179
    • /
    • 2023
  • Starvation, diabetes, alcoholism and hypothermia cause ketoacidosis in the human body; therefore, the cause of death can be determined by analyzing ketone bodies in the blood of the deceased. In the case of decomposition of the cadaver, however, since collecting intact blood is impossible, ketone body analysis is performed using the spleen. However, the index for diagnosing ketoacidosis is based on blood concentration, and its correlation with ketone bodies present in the spleen remains unknown. In particular, since decomposition proceeds rapidly during summer, when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high,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ketone bodies in the blood and spleen is important to estimate the state at the time of death from a decaying body.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ketone bodies in the blood and spleen of the deceased was explored. Ketone bodies (beta-hydroxybutyric acid [BHB] and acetone) in the blood and spleen were analyzed and compared from autopsies (>100 mg·L-1 BHB, blood basis) conducted at the Daejeon Forensic Research Institute from June to December 2021. Moreover, the concentration of ketone bodies in the spleen juice and tissues was compared assuming the scenario of extreme decomposition. Ketone retention concentration in the blood and spleen was positively correlated, and the ratio of BHB concentration in the spleen to BHB concentration in the blood ranged from 0.52 to 1.08 (mean = 0.85 ± 0.12), although the ratio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decomposition of the corpse.